데이터셋 상세
문화 빅데이터
한국문화정보원 - 문화시설 수요 정보
• 데이터 소개 한국문화관광연구원에서 조사한 지역별 문화시설 입지지수 정보 지역별 인구비율 대비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문예회관, 문화원, 문화의집 입지지수 입지지수 = (비 서비스 비율 * 0.49)+(인구 비율0.27)+(14세 이하 청소년 계층 비율0.15)+(재정의존도*0.09)
데이터 정보
연관 데이터
한국문화정보원 - 문화시설 대비 주차장 투자 예보
공공데이터포털
ㅇ 데이터 소개 - 차도 많은 지역에 주차장도 많을까? - 지역별 문화시설대비 편의시설(주차장) 정보 - 지역별 문화시설 대비 주차장 수요 예측 데이터 - 시설 700m 반경의 주차시설에 대하여 수용 가능 인구를 집계하여 시설의 이용자수는 많지만 주차장이 부족한 곳 파악가능 - 공연장, 박물관, 도서관 등 문화시설 명위치정보(XY좌표, GRID격자코드) 연간이용자 주변주차장수 주차대수 데이터 제공 - 2022년 12월 문화체육관광부에서 발행한 [2022 전국 문화기반시설 총람]을 기반으로 생산된 데이터로, 시설 통계의 기준시점은 2022년 1월 1일입니다. ㅇ 데이터 활용 - 문화시설의 주차장 부족여부 및 수요예측 ㅇ 데이터 출처 - (문화체육관광부) 문화기반시설총람 - (행정안전부) 전국 주차장 표중데이터 - (한국문화정보원) 국내 문화체육관광 분야 공공도서관 시설 및 소장자료 통계 데이터 - (한국문화정보원) 국내 문화체육관광 분야 박물관 시설 및 소장자료 통계 데이터 - (한국문화정보원) 국내 문화체육관광 분야 미술관 시설 및 현황통계 데이터 - (한국문화정보원) 국내 문화체육관광 분야 문예회관 시설 및 현황 통계 데이터 - (한국문화정보원) 국내 문화체육관광 분야 지방문화원 시설 및 현황 통계 데이터 - (한국문화정보원) 국내 문화체육광광 분야 문화의 집 시설 및 현황 통계 데이터 ㅇ 특이사항 - 2020년 신규 데이터는 2020년에 새롭게 추가된 시설만 제공하고 있습니다. - 추가, 수정, 삭제 등이 반영된 통합본이 필요하신 경우에는 상위 메뉴에 데이터 상담소 이용을 부탁드립니다.
한국문화정보원 - 지역문화생활 SOC 분석 보고서
공공데이터포털
ㅇ 분석 보고서 소개 - (2019) 문화생활 수요 및 공급 분포에 따른 사각지대 도출 및 사각지대에 대한 정책 지원 방향 도출 - (2020) 부산 지역의 문화시설 배후 특성 및 문화소비 현황 분석 ㅇ 활용 분야 - 문화소비 현황 분석 모델 기반 부산 지역 SOC 정책 수립 지원 - 정책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한 대시보드 서비스 개발 가능 ·부산 지역의 구별, 연령별 문화소비 현황 분석 시각화 가능 ·소득 및 소비대비 문화소비현황 및 배후지 특성 분석 가능 ㅇ 데이터 출처 - 한국문화정보원 : 문화센터, 도서관 현황 통계 - 코리아크레딧뷰로(KCB) : 금융신용정보, 거주지역별 인구특성소득소비 데이터, 사업자 통계 정보 - 부산광역시 : 부산시 생활문화센터 조성 현황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문화누리카드 가입자별 이용 집계 등 - KB카드 : 가입자별 이용 집계, 카드이용 결제 O-D정보 등 - BC카드 : 거주지 업종별 소비금액, 거주 지역별 카드 소비데이터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