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셋 상세
문화 빅데이터
한국문화정보원 - 문화 공연 관람 활성 지수
ㅇ 데이터 소개 - 문화여가 생활 관측소 서비스(문화 서비스 > 문화여가 생활 관측소) 공연 활성 지수 데이터 - 월간 공연관람 활성 지수는 공연 관람객 수 및 관람비 지출액의 월별 변화, 지역별 상대적인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산출한 수치임 - 기준시점은 코로나 이후 경기 회복이 시작되는 시점인 2022년이며, 기준 지역은 통상적으로 문화여가 활동이 가장 활발한 서울지역임 - 기준점(2022년 서울)의 공연관람 활성 값을 100으로 잡고 비교 시점이나 비교 지역의 상대적인 수치를 나타냄 * 예시 : 2023년 1월 서울지역 공연관람 활성 지수가 102.4일 경우, 2022년 1월 대비 서울의 공연관람 활성 정도가 2.4% 증가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음) - 인구 천명당 관람객 수 및 관람비 지출액 차원값을 활용하여, 지역별 인구 수 차이를 표준화 하였음 ㅇ 데이터 활용 - 지역별 시기별 공연관람 활성 분석 ㅇ 데이터 출처 - 문화빅데이터 플랫폼 - 문화여가 생활 관측소 * 원천데이터 출처 : 공연예술통합전산망(KOPIS)
데이터 정보
연관 데이터
한국문화정보원 - 문화 영화 관람 활성 지수
공공데이터포털
ㅇ 데이터 소개 - 문화여가 생활 관측소 서비스(문화 서비스 > 문화여가 생활 관측소) 영화관람 활성 지수 데이터 - 영화관람 활성 지수는 월별 영화 관람 수 및 관람비 지출액의 변화, 지역별 상대적인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산출한 수치임 - 기준시점은 코로나 이후 경기 회복이 시작되는 시점인 2022년이며, 기준 지역은 통상적으로 문화여가 활동이 가장 활발한 서울지역임 - 기준점(2022년 서울)의 영화관람 활성 값을 100으로 잡고 비교 시점이나 비교 지역의 상대적인 수치를 나타냄 * 예시 : 2023년 1월 서울지역 영화관람 활성 지수가 102.4일 경우, 2022년 1월 대비 서울의 영화관람 활성 정도가 2.4% 증가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음) - 인구 천명당 관람 수 및 관람비 지출액 차원값을 활용하여, 지역별 인구 수 차이를 표준화 하였음 ㅇ 데이터 활용 - 지역별 시기별 영화관람 활성 분석 ㅇ 데이터 출처 - 문화빅데이터 플랫폼 - 문화여가 생활 관측소 * 원천데이터 출처 :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한국문화정보원 - 문화 스포츠 관람 활성 지수
공공데이터포털
ㅇ 데이터 소개 - 문화여가 생활 관측소 서비스(문화 서비스 > 문화여가 생활 관측소) 스포츠관람 활성 지수 데이터 - 스포츠관람 활성 지수는 스포츠 관중 수의 월별 변화와 지역별 상대적인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산출한 수치임 - 기준시점은 코로나 이후 경기 회복이 시작되는 시점인 2022년이며, 기준 지역은 통상적으로 문화여가 활동이 가장 활발한 서울지역임 - 기준점(2022년 서울)의 스포츠관람 활성 값을 100으로 잡고 비교 시점이나 비교 지역의 상대적인 수치를 나타냄 * 예시 : 2023년 1월 서울지역 스포츠관람 활성 지수가 102.4일 경우, 2022년 1월 대비 서울의 스포츠관람 활성 정도가 2.4% 증가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음) - 인구 천명당 관중 수 차원값을 활용하여, 지역별 인구 수 차이를 표준화 하였음 ㅇ 데이터 활용 - 지역별 시기별 스포츠관람 활성 분석 ㅇ 데이터 출처 - 문화빅데이터 플랫폼 - 문화여가 생활 관측소 * 원천데이터 출처 : 프로츠포츠 정보광장)
서울특별시 마포구 법정동별 코로나19 확진자 현황
공공데이터포털
서울특별시 마포구의 법정동별 코로나19 확진자 수 현황입니다. 2020년 1월 1일부터 2023년 8월 31일까지의 코로나19 유행 기간 동안 법정동별 확진자 수를 제공합니다. ※2023년 9월부터 코로나19 확진자 집계가 수행되지 않아 본 데이터는 더이상 업데이트 되지 않습니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코로나19 이전 이후 문화시설 유동인구 분석
공공데이터포털
ㅇ 데이터 소개 - 코로나19 이전 이후 문화시설 유동인구 분석 ㅇ 활용분야 - 문화시설에 대한 코로나19 이전 유동인구 데이터와 이후 유동인구 데이터를 비교 분석 - 코로나19에 따른 문화시설 유동인구 현황을 분석하여 사업방향 및 정책자료로 활용 ㅇ 데이터출처 - 예술경영지원센터 ㅇ 특이사항 - 데이터가 필요할 경우 한국문화예술위원회와 협의 필요 (연락처: 061-900-2282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한국문화정보원 - 공연시설 투자 예보
공공데이터포털
ㅇ데이터 소개 - 전국 시군구별 공연시설, 위도경도, 총이용자수, 검색량수 등 현황통계데이터 - 공연시설이 가장 활성화된 지역은 어디일까? - 온라인 관심도와 오프라인 이용자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공연시설이 필요할 지역을 예측해드립니다. ㅇ활용 분야 - 지역별 공연 활성화 지수 비교분석 가능 - 공연시설, 총이용자수 등을 활용한 문화시설 투자 수요 분석 및 기획가능 ㅇ데이터 출처 - (문화체육관광부) 전국문화기반시설총람 - (한국문화정보원) 국내 문화체육관광 분야 문예회관 시설 및 현황통계 데이터 - (한국문화정보원) 전국 KOPIS 공연시설 데이터 - (예술경영지원센터) KOPIS API - (데이터마케팅코리아) 전국문화기반시설총람 검색량 데이터 - (데이터마케팅코리아) KOPIS 공연시설 검색량 데이터
한국문화정보원 - 전국 연극장 및 소극장 데이터
공공데이터포털
ㅇ 데이터 소개 - 공연 상세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연극장 및 소극장, 독립극장 데이터 입니다. ㅇ 활용 분야 - 공연시설별 공연 현황 분석 - 전국 소극장 및 연극장 분포 현황 분석 ㅇ 데이터 출처 - 한국문화정보원 ㅇ 특이사항 - 공연 명 기준으로 구축되었기 때문에, 공연시설이 중복되어 보일 수 있으나, 중복이 아닌, 공연 별로 서로 다른 독립 건임을 안내드립니다. - 컬럼 "최종작성일" 기준으로 구축되었기 때문에, 조회 시점 별로 정보가 상이할 수 있습니다.
서울특별시 - 서울시 문화공연 및 전시회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문화공연 및 전시회 * 통계종류 : 서울시 공연ㆍ전시 등 문화행사 현황을 제공하는 일반ㆍ보고통계 * 작성목적 : 객관적이고 신뢰성있는 공연예술 분야의 통계산출 및 공연예술시장 운용 실태에 대한 체계적 분석으로 예술정책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조사체계 : 해당기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공표주기 : 정기(매년)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내용 - 미술전시건수, 국악, 양악, 연극, 무용 등 공연건수 ○ 용어설명 * 공연건수 : 한 공연장에서 일정기간 동안 한 공연이 무대에 오르는 것을 한 건으로 함 * 시각예술 : 회화, 서예, 공예, 조소, 디자인, 영상, 만화, 건축, 행위, 조형, 혼합, 기타 등 * 국악 : 기악, 성악, 합창, 연희, 복합, 기타 * 양악 : 기악, 성악, 합창, 오페라, 복합, 기타 * 무용 : 한국무용, 현대무용, 발레, 복합, 기타 * 연극 : 연극, 뮤지컬,복합, 기타 * 혼합 : 국악, 양악, 무용, 연극 장르간 결합된 공연 ○ 기 타 * 전시는 국내전시건수임 * 2015년도부터 혼합(장르간 결합된 공연) 항목 추가 ** 혼합 : 다른 종류의 것이 뒤섞어 한데 합쳐지는 것을 의미하며, 본 조사에서는 소분류1(장르)차원에서 결합된 형태를 조작적으로 정의함 ○ 출 처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문예연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