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셋 상세
문화 빅데이터
한국문화정보원 - 반한류 공감도
ㅇ 데이터 설명 - 국내 유일의 해외 한류콘텐츠 소비자 조사 자료인 해외한류실태조사를 연도별, 국가별로 통합 가공한 데이터 - 특정 질문에 대한 중국, 일본, 대만 등 총 14~17개국의 응답결과를 알 수 있음 - Q. 한국 문화콘텐츠에 대한 부정적 인식에 공감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 2016-2018년도는 2순위까지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있는 다중선택 결과이며, 2019-2020년도는 단일 선택결과임 - n(조사에 응한 반한류 분위기 공감자)값은 연도별로 차이가 있음 - 수치 단위는 % 이며, 표본 수를 성별, 연령대별로 나눈 응답비율임 ㅇ 활용분야 - 한류한국에 대한 이미지 인식 - 한류 지속 가능성 및 발전 방향 제시 - 한류 관련 정책 개발 및 신규 비즈니스 창출에 필요한 기초 자료 제공 ㅇ 데이터출처 -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http:/kofice.or.kr)의 해외한류실태조사 결과보고서
데이터 정보
연관 데이터
한국문화정보원 - 한국문화콘텐츠 소비비중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ㅇ 데이터 설명 - 국내 유일의 해외 한류콘텐츠 소비자 조사 자료인 해외한류실태조사를 연도별, 국가별로 통합 가공한 데이터 - 특정 질문에 대한 중국, 일본, 대만 등 총 14~17개국의 응답결과를 알 수 있음 - Q. 귀하의 평소 한국 문화콘텐츠 시청량·소비량은 얼마나 되십니까? - 2018년도에는 콘텐츠별로 ""월평균 총 콘텐츠 소비량(시간금액)""과 ""한국 문화콘텐츠 월평균 소비량(시간금액)""을 묻고 비율을 환산하는 방식으로 조사했으나, 2019년도에는 콘텐츠별로 ""월 평균 총 콘텐츠 소비량 대비 한국 문화콘텐츠 소비 비중(%)""을 직접 묻는 방식으로 변경하여 조사 실시 - 영화의 경우, '편수'로 조사하고 있어 2018년도 조사 방식 유지 - 표본(n)값은 해당 콘텐츠 경험자이며 수치 단위는 시간, 편, US$, %이다. ㅇ 활용분야 - 한국 문화콘텐츠 소비에 따른 한국에 대한 인식 차이나 한국 제품서비스 소비 등을 분석해 한류 효과 예측 - 해외 현지 한국 문화콘텐츠 경험자들의 한국 문화콘텐츠 소비실태 파악 및 국가별 비교 - 해외 현지 한국 문화콘텐츠 경험자들의 인구통계학적 속성에 기반한 한국 문화콘텐츠 소비동기·유형·선호도 파악 - 한국 문화콘텐츠 선호 및 소비실태의 국가별 차이점을 파악해 국가 맞춤형 한류 지원 방향에 대한 시사점 제공 ㅇ 데이터출처 -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http:/kofice.or.kr)의 해외한류실태조사 결과보고서
한국문화정보원 - 자국에서 인기 있는 해외 콘텐츠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ㅇ 데이터 설명 - 국내 유일의 해외 한류콘텐츠 소비자 조사 자료인 해외한류실태조사를 연도별, 국가별로 통합 가공한 데이터 - 특정 질문에 대한 중국, 일본, 대만 등 총 14~17개국의 응답결과를 알 수 있음 - Q. 귀하의 국가에서 인기 있는 문화콘텐츠는 어느 국가의 문화콘텐츠입니까? - n(조사 응답자)값은 연도별로 차이가 있음 - 수치 단위는 % 이며, 표본 수를 전체, 성별, 연령대별로 나눈 응답비율임 ㅇ 활용분야 - 한류한국에 대한 이미지 인식 - 한류 지속 가능성 및 발전 방향 제시 - 한류 관련 정책 개발 및 신규 비즈니스 창출에 필요한 기초 자료 제공 ㅇ 데이터출처 -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http:/kofice.or.kr)의 해외한류실태조사 결과보고서(2014-2018)
한국문화정보원 - 문화 빅데이터 인사이트 리포트
공공데이터포털
ㅇ 보고서 설명 - 문화 빅데이터 플랫폼 인사이트 리포트 Vol.3 - 외국인의 국내 문화 여가 방문지 및 소비행태 분석 보고서 - 코로나19 발생 이후 국내 장단기 체류 외국인 방문지 트렌드에 변화가 있을까? ㅇ 분석 내용 - 최근 외국인 방한 현황 분석 (입국 및 카드소비) - 서울지역 외국인 방문 및 카드매출 분석 - 외국인 방문 Steady Attraction 및 Rising Spot 도출 및 방문 현황 분석 ㅇ 데이터 출처 - 하나카드 : 외국인 카드 소비 데이터 - LG U+ : 외국인 유동인구 데이터 - 코레일 : 외국어 홈페이지 이용 승하차 예매 데이터 - 서울 열린 데이터 광장 : 외국인 생활인구 데이터 * 본 보고서는 하나카드 및 LG U+, 코레일 협업을 통해 제작된 보고서 입니다.
한국문화정보원 - 문화 빅데이터 인사이트 리포트
공공데이터포털
ㅇ 보고서설명 - 문화 빅데이터 인사이트 리포트 Vol.1 - 코로나19 전후 문화여가 트렌드 변화는 어떻게 될까? ㅇ 분석내용 - 뉴스 키워드 분석 : 네이버 뉴스의 공연전시, 여행레저 분야 키워드 분석 - 온라인 검색량 분석 : 전국 문화시설의 네이버 온라인 검색량 추이 분석 - 유동인구 분석 : SKT 유동인구 데이터 분석 - 목적지 검색량 분석 : T-map 문화시설 목적지 검색량 분석 ㅇ 관련문의 - 문화빅데이터플랫폼 담당자(apfapf@kcisa.kr)
한국문화정보원 - 주간 한류 외신동향 분석 보고서
공공데이터포털
o 보고서 소개 - 해외문화홍보원이 운영 중인 세계 28개국 33개 한국문화원의 언론 모니터링을 바탕으로 함 - 해외문화홍보원 외신분석팀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기타국 언론의 한류 기사도 포함 - 주간 평균 120~130건 내외 한류 기사에 대해 키워드 분석을 실시 - 권역별, 주제별로 한류 및 한국 문화콘텐츠에 대한 선호도 및 특징을 분석 o 활용분야 - 한류 데이터 기반 비즈니스 활용 - 한류 데이터 기반 정책 활용 - 해외에서 바라본 한국의 문화콘텐츠에 대한 호감도, 유형, 선호도 파악 - 한국 문화콘텐츠 경험자들의 소비동기, 지속적인 소비 욕구를 파악 - 한류 트렌드와 한국 문화콘텐츠에 대한 평가를 확인해 학술, 비즈니스 목적의 시사점 제공 o 출처 - 해외문화홍보원 - 문의처: 외신분석팀(kim643@korea, 02-731-1525)
컨슈머인사이트 - 해외여행 자원풍족도 평가
공공데이터포털
ㅇ 데이터 소개 - 온라인(PC모바일) 소비자 서베이 데이터로, 한국인의 해외여행지 관광환경 평가. - 해외 6개 대륙, 51개 국가, 63개 도시의 관광자원 풍족도를 5개 측면(놀거리, 먹거리, 볼거리, 살거리, 쉴거리)에 대해 5점 척도로 평가하게 하고, 이를 100점 만점으로 환산함. ㅇ 데이터 활용 해외 여행지의 관광자원 풍족도 경쟁력을 진단 ㅇ 데이터 출처 ㈜컨슈머인사이트 정기 기획조사 2020년 ‘여름휴가 여행 만족도 조사'(총 26,308명 응답) ㅇ 특이사항 - 맛보기상품은 실제 데이터 값이 아니므로 참고용으로만 확인.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국내 문화예술 공연시설 외국인 이용 실태정보
공공데이터포털
ㅇ 데이터 소개 - 외래관광객의 한국 여행성향과 외래관광객의 문화서비스 부문에 대한 이용 현황을 파악 - 주요필드일부: 외국인 관광객 수,전년동기 외국인 관광객 수,외국인 관광객 증감률,전체 지출액 증감률,전년동기 문화서비스 지출액등 ㅇ 활용분야 - 연도별, 월별, 일별 변화추이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외래관광객 유치 증대 및 향후 문화서비스태세 개선을 위한 정책 수립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 ㅇ 데이터출처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관광 데이터랩 (https:/datalab.visitkorea.or.kr) - 신용카드 데이터 (비씨카드㈜, 신한카드)
원투씨엠 - 방문자 지역별 쇼핑 성향
공공데이터포털
ㅇ 데이터 소개 - 중국 주요 도시의 쇼핑 품목 별 선호도 - (쇼핑 성향) 품목 별 선호도 평점을 백분위로 나열하였을 때 상위 50% 여부 ㅇ 활용 분야 - 방한 중국인 타겟의 마케팅 전략 수립을 위한 비교 분석 자료 활용 가능 - 방한 외국인 출신 지역 별 타게팅 상품 선정 가능 ㅇ 데이터 출처 - (12CM China) 와이파이 동글 대여사업 수집 데이터 ㅇ 특이사항 - 해당 데이터는 관련사업 종료로 인해 2022년부터 업데이트가 중단되었습니다. 추가적인 문의는 데이터 상담소 > 데이터 문의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한국문화정보원 - 문화 빅데이터 인사이트 리포트
공공데이터포털
ㅇ 보고서 설명 - 문화 빅데이터 인사이트 리포트 Vol.2 - 위드코로나시대 문화생활 변화 분석 인사이트 리포트 -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라 문화생활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을까? ㅇ 분석내용 - 뉴스 키워드 분석 : 네이버 및 다음 포털 영화, 공연분야 키워드 분석 - 보건복지부 코로나19 감염현황 데이터 분석 : 2020년, 2021년 상반기 코로나 확진자 수 추이분석 - 영화 매출액 및 상영편수 분석 : 영화 시기별 매출액 및 상영편수 분석 - 공연 매출액 및 상연편수 분석 : 공연 시기별규모별 매출액 및 상영편수 분석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코로나19 이전 이후 문화시설 취약계층 유동인구 분석
공공데이터포털
ㅇ 데이터 소개 - 코로나19 이전 이후 문화시설 취약계층 유동인구 분석 ㅇ 활용분야 - 문화시설에 대한 코로나19 이전 취약계층 유동인구 데이터와 이후 유동인구 데이터를 비교 분석 - 코로나19에 따른 취약계층 문화시설 유동인구 현황을 분석하여 사업방향 및 정책자료로 활용 ㅇ 데이터출처 - 예술경영지원센터 ㅇ 특이사항 - 데이터가 필요할 경우 한국문화예술위원회와 협의 필요 (연락처: 061-900-2282 한국문화예술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