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셋 상세
문화 빅데이터
한국문화정보원 - 거주자 소득 대비 문화시설 지도(공개비공개)
ㅇ데이터 소개 - 전국 시도단위 인구수, 연소득 순위, 예매수, 무용매출액, 연극매출액, 오페라매출액, 뮤지컬매출액, 클래식매출액, 국악매출액 등 현황통계데이터 * 매출액 단위는 천원입니다 - 문화시설(공연) 보급은 거주지역의 소득수준과 연관이 있을까? - 전국 시도단위 연소득과 문화향유분야를 기반으로 문화시설 향유 지수를 알려드립니다. ㅇ활용 분야 - 지역별 거주자 소득대비 문화 향유 지수 비교분석 가능 - 문화시설, 매출액 등을 활용한 문화콘텐츠 수요 분석 및 기획가능 ㅇ데이터 출처 - (통계청) 시도별 연소득 - (한국문화정보원) 전국 KOPIS 공연시설 데이터 - (예술경영지원센터) KOPIS API - (KCB) 시군구별 인구수
데이터 정보
연관 데이터
한국문화정보원 - 전국 지역별 서점(대형 및 소형)데이터
공공데이터포털
ㅇ데이터 소개 - 국내 지역별 서점(대형,소형)의 위치, 주소, 분류코드, 건물번호 등 현황통계데이터 - 출퇴근길에 책읽기 좋은 동네는 어딜까? - 전국 서점의 밀집지수를 알려드립니다. ㅇ활용 분야 - 서점의 지역별 밀집지수 비교분석 가능 - 지역별 서점 수요 분석 및 기획 가능 ㅇ데이터 출처 - 한국문화정보원
한국문화정보원 - 국내 문화체육관광 분야 통계 데이터(이용건수 등 포함)
공공데이터포털
ㅇ데이터 소개 - 국내 문화체육관광 분야의 문예회관시설의 시설명, 행정동명, 운영주체, 공연장 객석수, 공연장 면적, 야외공연장 수용인원, 공연일수, 전시일수, 총이용자수 등의 현황통계 데이터 - 우리 동네 문예회관은 이용자가 얼마나 많을까? - 지역구 문예회관시설 현황을 알려드립니다. - 2022년 12월 문화체육관광부에서 발행한 [2022 전국 문화기반시설 총람]을 기반으로 생산된 데이터로, 시설 통계의 기준시점은 2022년 1월 1일입니다. ㅇ활용 분야 - 지역별 문예회관 현황 비교분석 가능 - 문예회관 시설의 시군구, 행정동, 면적, 객석수, 이용자수를 활용한 분석 및 기획 가능 ㅇ데이터 출처 - 한국문화정보원
한국문화정보원 - 거주인구당 공연시설 공급소비 지도
공공데이터포털
ㅇ 데이터 소개 - 전국 1,589개 공연시설 정보 및 지자체 거주인구 정보 제공 - 공연 시설명 위치(XY좌표, GRID격자정보), 좌석수 공연건수개막건수상연건수예매건수 시군구별 인구수 시군구별 좌석수 순위, 공연건수 순위 등 ㅇ 데이터 활용 - 시군구별 거주인구당 공연시설 소비현황 분석 및 정책기획 ㅇ 데이터 출처 - 한국문화정보원
한국문화정보원 - 국내 문화체육관광 분야 통계 데이터(이용건수 등 포함)
공공데이터포털
ㅇ데이터 소개 - 국내 문화체육관광분야 미술관 시설의 시설명, 위치, 주소, 분류, 연락처, 면적, 전시횟수, 프로그램총계, 관람인원, 관람료, 학예인력 등 현황통계데이터 - 전시당 관람인원이 가장 많은 미술관은 어디일까? - 전국 미술관의 문화향유 지수를 알려드립니다 - 2022년 12월 문화체육관광부에서 발행한 [2022 전국 문화기반시설 총람]을 기반으로 생산된 데이터로, 시설 통계의 기준시점은 2022년 1월 1일입니다. ㅇ활용 분야 - 미술관별 관람객의 전시프로그램 선호도 비교분석 가능 - 미술관 프로그램 수요 분석 및 기획 가능 ㅇ데이터 출처 - 한국문화정보원
코리아크레딧뷰로 - 부산 격자단위 문화생활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ㆍ데이터 소개 - 격자단위 및 문화생활 타입별 (추정)수요자수 - 문화생활 타입 : 문화체험공연전시음악활동영상관람 ㆍ활용 분야 - 문화생활 타입별 수요 현황분석 및 시각화 ㆍ데이터 출처 - KCB, 통계청 데이터 기반으로 융합분석한 데이터 ㆍ특이사항 - 공간 파일(확장자 : shp, dbf, shx)
한국문화정보원 - 전국 KOPIS 공연시설 데이터(시군구, 행정동 100미터격자코드 포함)
공공데이터포털
ㅇ데이터 소개 - 전국예매정보를 모아 소비현황통계를 제공하는 한국공연통합정보시스템 "공연예술통합전산망(KOPIS)"의 전국 공연시설, 객석수, 공연건수, 예매수 등 현황통계데이터 - 좌석수가 제일 많은 공연장은 어디일까? - 전국 공연시설을 기반으로 계산된 공연관람 지수를 알려드립니다 ㅇ활용 분야 - 지역별 문화공연 지수 비교분석 가능 - 공연건수,예매수, 상연횟수 등을 활용한 공연관람 수요 분석 및 기획가능 ㅇ데이터 출처 - 한국문화정보원
한국문화정보원 - 문화역세권
공공데이터포털
ㅇ데이터 소개 - 전국 격자코드 내 인구수, 문화시설수, 문화지표 등 현황통계데이터 - 문화지표가 가장 높은 그리드(지역)은 어딜까? - 전국 격자코드 단위 인구수와 문화지표를 기반으로 문화향유 밀집지수를 알려드립니다. ㅇ활용 분야 - 그리드별 문화향유 밀집지수 비교분석 가능 - 문화지표, 격자코드내 인구수 등을 활용한 그리드별 문화 향유 개선 수요 분석 및 기획가능 ㅇ데이터 출처 - (문화지표) 수치가 높을수록 인구대비 문화시설이 많이 밀집되어 있는 장소입니다.
코리아크레딧뷰로 - 부산 격자단위 문화생활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ㆍ데이터 소개 - 격자단위 및 문화생활 타입별 (추정)수요분포 - 문화생활 타입 : 문화체험공연전시음악활동영상관람 ㆍ활용 분야 - 문화생활 타입별 수요 현황분석 및 시각화 ㆍ데이터 출처 - KCB, 통계청 데이터 기반으로 융합분석한 데이터 ㆍ특이사항 - 공간 파일(확장자 : shp, dbf, shx)
한국문화정보원 - 공연분야별 고객경험지도
공공데이터포털
ㅇ데이터 소개 - 우리동네 공연고객경험과 문화소비흐름은 잘 흘러가고 있을까? - 지역별 매출과 만족도를 기반으로 공연분야별 문화 향유 만족지수를 알려드립니다. ㅇ활용 분야 - 지역별 문화향유 만족도 지수 비교분석 가능 - 매출액, 만족도 등을 활용한 지역별 문화 향유 개선 수요 분석 및 기획가능 ㅇ데이터 출처 - (문화체육관광부) 문화향수실태조사 - (예술경영지원센터) KOPIS 지역통계(20180101~20181231) ㅇ 특이사항 - (만족도) 1점에서 7점까지로, 해당 만족도 점수의 비율(%)을 알려드립니다.
코리아크레딧뷰로 - 유출 인구(시군구-->시도, 행정동-->시군구)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ㆍ데이터 소개 - 이전 거주지(행정동)현 거주지(시군구)성별연령별 월환산 평균 소득 (단위 : 천원) - 월환산 소득 : KCB 소득추정서비스(통계모형을 통해 산출) 기준 연소득12 ㆍ활용 분야 - 유출지역별 소득수준 파악 - 행정동-시군구단위 유출지역별 소득수준 시각화 ㆍ데이터 출처 - KCB가 각 금융사로부터 매일 수집하는 최신 금융데이터를 기반으로 재가공한 데이터 ㆍ특이사항 - 비식별화 기준(5인이하 마스킹처리) - 행정동단위 집계지역을 기준으로 유입유출 정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