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셋 상세
산림 빅데이터
시선아이티 - 시계열 산불발생분석지도 전국
■ 상품 설명 및 특징 - 공간 범위 : 전국 (2021년 기준 데이터 제공) - 파일형식 : ALL.shp(shp, shx, dbf, prj) - 제공파일형식 : zip파일 - 파일타입 : point - 좌표계 : 단일평면직각좌표계 UTM-K (100000, 200000), EPSG:5179 * 산불발생에 관한 정보를 연도별로 확인할수 있는 데이터 * 시계열산불발생위치도에 대한 조회는 산림빅데이터플랫폼 시각화포털을 통해 확인가능 ■ 컬럼정보 - 발생일시 : 산불발생일시 - 발생요일 : 산불발생요일 - 진화일시 : 산불진화일시 - 소요시간 : 산불진화소요시간 - 발생원인명 : 산불발생원인명 - 피해면적 : 산불피해면적 - 피해금액 : 산불피해금액 ■ 활용예제 - 산불발생위치도 정보(발생지역, 연도, 진화정보, 원인 등)를 이용하여 산불위험 예보, 과거 산불발생 자료, 산불통계 등의 정보를 구축하여 산불 연구에 활용 - 산불예방대책 수립 지원 및 산불 재난에 대응 할 수 있는 산불발생위치정보시스템과 같은 대국민 서비스로 활용 ※ 해당파일(SHP)을 확인하시려면 QGIS프로그램을 설치하셔야 확인가능하며. 아래의 링크로 들어가 QGIS 무료오픈소스 프로그램을 다운받으시면 됩니다. https://www.qgis.org/ko/site/ → 무료 QGIS프로그램 다운로드 https://docs.qgis.org/3.10/ko/docs/user_manual/ → QGIS 사용자 지침서 확인 [원본 데이터](https://www.bigdata-forest.kr/product/FRT003801)는 로그인 후 구매하여 다운로드 하십시오.
데이터 정보
연관 데이터
부산광역시 신호등 현황(SHP)
공공데이터포털
부산광역시 신호등 현황 (관리번호, 설치장소, 신호종류, 설치일자, 형태, 위도, 경도 등) 지도표출용 공간정보(SHP) 파일입니다. ( ※ 일반 파일은 SHP 없는 목록명을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 *2020년 11월 23일 기준 데이터로 이후 업데이트 자료가 없습니다. 유사한 데이터로는 "부산광역시_교통신호제어기 현황" 데이터가 있습니다.
부산광역시 신호등 설치 횡단보도 위치정보(SHP)
공공데이터포털
부산광역시 횡단보도 (구군, 위치, 크기, 신호등 보유 여부, 가로길이, 세로길이, 면적 등) 지도표출용 공간정보(SHP) 파일입니다. ( ※ 일반 파일은 SHP 없는 목록명을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 *2021년 6월 30일 기준 데이터로 이후 업데이트 자료가 없습니다. 유사한 데이터로는 "부산광역시_교통신호제어기 현황" 데이터가 있습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탄전지질도 탄층노두선(1:1만)
공공데이터포털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조사한 문경, 보은, 삼척, 정선 지역에 대한 1:1만 축적의 탄전 지질도이며, 탄층노두선의 .shp 정보가 있습니다.- 데이터 사용법 -* 본 데이터를 사용하려면 상용프로그램인 ArcGIS S/W나 오픈 소프트웨어인 QGIS 프로그램( https://qgis.org/en/site/forusers/download.html에서 다운)을 사용하면 됩니다.* asc파일은 각 셀의 값을 나타내는 텍스트 파일로 텍스트 에디터나 엑셀에서 불러올 수 있습니다.* 전문적 프로그램 활용이 어려운 일반 사용자들을 위해 이미지파일을 제공합니다.- 데이터 확장자 설명 -geotiff : 지리 참조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이미지 파일형식의 데이터 입니다. (.tiff)grid: 각 격자에 고유한 값이 저장되어있는 Esri사 고유의 래스터 파일형식의 데이터입니다. (.grid)ASCII: 래스터의 속성을 정의하는 헤더 정보와 공백으로 구분 된 각 셀의 값으로 래스터를표현하는 텍스트 파일이며, 프로그램간 자료 호환을 위해 만들어진 파일입니다. (.asc) 지형, 지질 등 지표면 및 지하 현황 파악 및 분석을 위한 기초 데이터산사태, 홍수, 지진 등 자연재해 분석을 위한 기초 데이터지하수, 광물자원, 골재 등 지하자원 개발을 위한 기초 데이터도시 및 토지 개발, 도로, 철도 적지 선정 등을 위한 기초 데이터지형 및 지질과 관련된 인공지능 비즈니스 적용을 위한 기본 데이터로 활용엔지니어링 업체, 대학 및 연구기관의 실무 및 교육/연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