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 빅데이터
BA - 2020년 서울시 아파트별 숲세권 생활지수
■ 상품 설명 및 특징 - 서울시 아파트단지별 도보권 내에 위치하는 녹지공간 이용가능 정보 - 숲세권을 정의하기위한 관련 요인은 다음과 같음 1) 도시공원 생활권 2) 산책 생활권 3) 생태문화 생활권 4) 한강/지천 생활권 - 관련요인별 평가점수를 기준으로 총 평가점수 산출 - 제공되는 데이터의 도보권 기준은 아파트 단지 출입구를 기준으로 반경 1km내를 의미 - 제공되는 데이터는 네모파트너즈의 공간분석 기술로 정제 가공한 데이터 - 제공되는 데이터는 K-apt에서 관리하는 공동주택단지 중, 단지분류가 '아파트'에 해당되는 단지 목록을 기준으로 개발 수행 ■ 기간 및 범위 - 공간적 범위 : 서울특별시 ■ 컬럼(속성) 정보 -시군구코드 -법정동코드 -단지코드 -단지명 -세대수 -법정동주소 -생활지수 1) 1등급 : 93.32%이상 2) 2등급 : 69.15%이상 ~ 93.32%미만 3) 3등급 : 30.85%이상 ~ 69.15%미만 4) 4등급 : 6.68%이상 ~ 30.85%미만 5) 5등급 : 6.68%미만 * '석차 등급별 분포 확률값'을 활용하여 생활지수 등급화 -생활지수명 : 상위권, 중상위권, 중위권, 중하위권, 하위권 -평가점수(0~100점) : 해당 아파트(단지)가 다른 아파트(단지)와 비교했을 때 가지는 위치 ■ 데이터 키워드 - 숲세권, 서울시아파트, 공세권, 공원, 여가활동, 자전거, 트레킹, 산책, 여가활동 ■ 활용 예제 - 본 데이터 상품을 활용하여 사용자는 다음과 같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시군구별 1등급 아파트 단지수 2) 읍면동별 1등급 아파트 단지수 [원본 데이터](https://www.bigdata-forest.kr/product/NMO003501)는 로그인 후 구매하여 다운로드 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