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 빅데이터
우림엔알 - 임산물 문헌목록정보
■ 상품 설명 및 특징 - 단기임산물 관련하여 논문, 연구정보, 단행본 등 문헌에 있는 생육관련 정보와 출처 정보 수집, 생산 ■ 기간 및 범위 - 해당 품목 : 고비, 고사리, 곤달비, 곤드레, 곰취, 눈개승마, 더덕, 도라지, 두릅, 산마늘, 어수리, 원추리, 참나물, 표고, 송이, 목이, 석이, 능이, 꽃송이버섯, 복령, 싸리, 고로쇠(수액), 골담초, 구기자, 꾸지뽕나무, 느릅나무, 두충, 마가목, 산겨릅나무, 산수유, 산초나무, 오갈피, 오미자, 옻나무, 음나무, 참죽나무, 초피나무, 황칠나무, 구절초, 당귀, 마, 산양삼, 삼지구엽초, 삽주, 작약, 잔대, 천마, 하수오, 다래, 도토리(상수리), 돌배, 머루, 복분자, 산딸기, 대추나무, 떫은감, 밤나무, 은행, 잣, 호두나무 ■ 컬럼(속성) 정보 - 품목명 : 임산물명 - 기후적응성 : 기후의 적응 정도 - 생육지역 : 생육하고 있는 지역 - 생육환경 : 생육가능한 환경 정보 - 종자발아적정온도 : 종자가 발아하기 위한 적정온도 - 최저극기온 : 생육에 가능한 최저 기온 - 연평균기온 : 생육에 적당한 연평균기온 - 지열온도 : 생육에 적당한 지열 온도 - 강수량 : 해당 임산물의 생육하는 지역의 강수량 - 생육적정온도 : 생육에 적정한 온도 - 형태특성 : 임산물의 형태적 특성 - 햇빛요구도 : 햇빛을 요구하는 정도 - 물요구도상대습도 : 물요구도 - 토성 : 생육 가능한 토성 - 지하수위 : 지하수위 요구 정도 - 적정토심 : 임산물재배에 있어 적정한 토양의 깊이 - 적정토양습도 : 임산물재배에 있어 적정한 토양의 습도 - 적정토양pH : 임산물재배에 있어 적정한 토양의 pH - 적정토양배수 : 임산물재배에 있어 적정한 토양의 배수 - 표토층유기물함량 : 임산물재배에 있어 적정한 토양의 배수 - 토양경도 : 임산물재배에 있어 적정한 토양의 배수 - 토양적응성 : 임산물의 토양 적응 정도 - 적정해발고도 : 임산물재배에 있어 적정한 해발고(표고) - 적정경사도 : 임산물재배에 있어 적정한 경사도 - 적정방위 : 임산물재배에 있어 적정한 방위 - 생육지형 : 생육가능한 지형 - 적정임상 : 임산물재배에 있어 적정한 임상(침엽수, 활엽수, 혼효림 또는 수종 등) - 영급경급 : 임산물재배에 있어 적정한 나무의 나이 또는 나무의 굵기 - 바람요구 : 임산물재배에 있어 바람의 요구정도 - 나무높이 : 임산물재배에 있어 나무의 높이 - 임지능력급수 : 임산물재배에 있어 요구되는 임지능력급수 - 적정소밀도 : 임산물재배에 있어 적정한 소밀도 - 발아기 : 종자가 발아하는 시기 - 기타 : 기타사항 - 주산지 : 주로 재배되는 지역 - 분포지역 : 해당 임산물이 분포하는 지역 - 제외지역 : 재배가 불가능한 지역 ■ 약어/전문용어 설명 토성 : 등가직경이 < 2mm인 토양무기입자는 크기에 따라 모래, 실트, 점토의 토양분리물(soil separates)로 구분되며 이들의 상대적 함량비를 토성 지하수위 : 지표면에서 지하수면까지의 깊이를 말한다. 지하수위는 해발고도에 의해 나타나는 곳도 있지만 보통 지표면에서는 우물의 측점(測點)에서의 깊이로 표시된다. ■ 활용 예제 - 본 데이터 상품을 활용하여 사용자는 다음과 같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단기임산물 재배 정보를 활용한 재배 [원본 데이터](https://www.bigdata-forest.kr/product/MTW004201)는 로그인 후 구매하여 다운로드 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