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셋 상세
산림 빅데이터
BA - 2010~2019년 수출입 임산물 효능 정보
■ 상품 설명 및 특징 -수출입 임산물 품목별 효능 정보(임산물 별 HS코드 매칭) -제공되는 데이터는 네모파트너즈의 데이터 분석 기술로 정제 가공한 데이터 -제공되는 데이터의 식재료ID는 한국 한의학연구원에서 제공하는 약용 생물자원 데이터를 기준으로 함 [활용 데이터] 1) 2020년 기준 산림청 임산물 HSK코드 (산림청) 2) 고문헌 약용 생물자원 효능 (한국 한의학연구원) 3) 수출입 통계정보 (관세청) ■ 컬럼(속성) 정보 -식재료ID -식재료명 -식재료효능설명 -품목코드 : 임산물 HS코드 * 참고 사이트 https://www.forest.go.kr/newkfsweb/cop/bbs/selectBoardArticle.do;jsessionid=Tz1qkI2Ib8WDgMEyAuPUWEWFGT8YevklVvQWHnGldPUsxBhTVKIyaVD75sJYv1I v.frswas01_servlet_engine1? nttId=3142691&bbsId=BBSMSTR_1653&pageUnit=10&pageIndex=1&searchtitle=title&searchcont=&searchkey=&searchwriter=&searchWrd=&ctgryLrcls=&ctgryMdcls=&ctgrySmcls=&ntcStartDt=&ntcEndDt=&mn=KFS_02_03_03_08&orgId=kfs -품목명 -기준연도 -수출금액(단위 : 천 달러(USD, 1,000)) -수입금액(단위 : 천 달러(USD, 1,000)) *금액단위(단위 : 천 달러(USD, 1,000))는 unipass.customs.go.kr/ets/index.do?menuId=ETS_MNU_00000102에서 참고 ■ 데이터 키워드 임산물, HS코드, 수출입, 효능 [원본 데이터](https://www.bigdata-forest.kr/product/NMO004401)는 로그인 후 구매하여 다운로드 하십시오.
데이터 정보
연관 데이터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물질수출입데이터
공공데이터포털
원자재 및 제품의 물질(CAS No)과 수출입 코드(HS Code)를 연계하여 각 물질의 수출/수입국가 및 거래금액을 수집 생성한 데이터로서, 제품의 수출입 무역 상황 및 국가별 수출입 의존국가, 수출 가능성 등을 파악, 분석할 수 있는 데이터
임포트지니어스 코리아 - 2023년 미국의 소스 및 조미료 품목 수입현황 데이터 (샘플)
공공데이터포털
1) 데이터 개요 - 2023년 미 관세청에 수입 신고가 (=통관) 완료된 소스 및 조미료 품목에 대한 개별 기업들의 선하증권 (B/L) 데이터 2) 데이터 산출근거 - 기간: 2023년 1월 1일~ 2023년 12월 31일 - 품목명 (HS Code): SAUCE, SEASONING, CONDIMENT, KETCHUP, MUSTARD, MAYONNAISE (2103.90) 2) 데이터 필요성 - COVID-19, 러우전쟁 등 외부충격으로 인해 무역시장의 변화와 그 정도를 예측하기 어려움. - 비대면 거래로 트렌드가 바뀌어감에 따라 국내 업체들의 정보력 증대가 절실하게 필요함. - 급변하는 시장사황 내 신규 거래 상대를 발굴하고 거래를 진행하는데 데 어려움을 겪고 있음. - 그러므로, 공급망 안정화 및 수출 증대 등 기업성장을 실현하기 위해 실거래 수출입 통관 데이터가 시장에 제공되어 우리 기업들의 정보력 증강이 반드시 필요함. 3) 활용분야 - 수출입 업체는 ①신규 바이어 및 공급업체 발굴 ②경쟁업체 분석 ③시장조사에 활용 - 운송 및 포워더 업체는 ①새로운 화주 발굴 ②항로별 물동량 및 주요 화주 파악에 활용. 4) 데이터 활용방안 - 실거래 통관 데이터를 통해 검증된 신규 바이어, 공급업체, 화주 등 발굴 - 경쟁업체들의 거래관계 및 물량변동 파악 기반 자사 마케팅 전략수립 - 취급 제품의 가장 최근 실거래 내역 분석을 통해 선제적 대응방안 고안 등 5) 데이터 포함 내용 - 각각의 개별 선하증권에 대해 품목명, 수출입 업체명, 양하일, 물량, 항구 등의 컬럼으로 정리되어 있음.
에이콘컴퍼니 - 임농산물 수출입통계정보
공공데이터포털
● 상품 설명 및 특징 - 임산물의 월별, 국가별 수출입통계 데이터 - 데이터 종 : 농림산물 수출입통계데이터 - 데이터 기간 : 2015.~2019 - 데이터 제공 포맷 : CSV - 데이터 제공 방식 : 다운로드 - 데이터 활용 분야 : 임산물 수출전략 수립, 수입유통계획 수립 ● 데이터 키워드 - 임산물수출입, 수출입통계 ● 컬럼 (속성 ) 정보 STNDD_YR 기준년도 STNDD_MONTH 기준월 HSK_CD HSK코드 PRLST_NM 품목명 NTN_SMBL_NM 국가기호명 NTN_NM 국가명 DLNGS_WEGHT 거래중량 DLNGS_TFML 거래물량 IPEP_AMT 수출입금액 THSND_DLLR_UNIT_STNDD_VAL 천달러단위기준값 IPEP_SCTIN_VAL 수출입구분값 [원본 데이터](https://www.bigdata-forest.kr/product/DTS008301)는 로그인 후 구매하여 다운로드 하십시오.
한국무역정보통신 - 로컬수출 거래물품 지역별 점유율
공공데이터포털
HS Code 6단위별 지역별(시도) 로컬수출공급(구매확인서+내국신용장) 실적(원화) 통계
한국무역통계진흥원 - 농수축산물 대분류의 포장용기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업체가 실질적인 수출입 유통 현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농축수산물 품목에 대하여 포장종류 및 포장 단위별 금액, 중량, 업체수
한국무역통계진흥원 - 농수축산물(대분류)의 포장용기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업체가 실질적인 수출입 유통 현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농축수산물 품목에 대하여 포장종류 및 포장 단위별 금액, 중량, 업체수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 HSK품목매핑목록조회 (2015-12-03 ~ 2015-12-03)
공공데이터포털
2015년 제·개정된 농축수산물 표준코드의 품목코드 기준으로 동일한 HSK(Harmonized Commodity Description and Coding System Korea)정보
한국무역정보통신 - 구매확인서 품목별 (HS 10자리) 상세 공급 지역 현황
공공데이터포털
HS Code 10단위별 상세지역별(시군구) 구매확인서 공급실적(원화) 통계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분석무역통계
공공데이터포털
국가별 수출 성장성 지표 (SSA - 품목수입증가율지수, 4개년 세계 시장 수입점유율 증감, 전년대비 對 한국 수입비중 증감) → HS CODE 입력하면 '유망시장 고급검색'에서 다운로드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