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평가데이터㈜ - 조기경보등급
공공데이터포털
- 기업별 단기연체정보(5일이상의 연체), 휴폐업 정보, 신용등급, 채무불이행, 국세 체납, 상거래 연체 정보 등의 데이터를 가공하여 위험 등급을 산정하고, 이를 지역, 업종별 통계화하여 지역산업위기의 사전 지표로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 생성한 데이터 - 조기경보등급 정상, 관심, 관찰1, 관찰2, 관찰3, 휴업, 부도, 폐업 - 조기경보등급에 따른 부도율(참조) - 관심 : 12.2% - 관찰1 : 20.7% - 관찰2 : 32.4% - 관찰3 : 95.7% - 전국단위(동단위) 기준 데이터 - 지역별 업종별 규모별 업력 조기경보등급별 기업현황 정보 - 2019 월단위 데이터
한국평가데이터㈜ - 채무불이행정보
공공데이터포털
- 신용정보원의 기업별 채무불이행정보를 지역별, 업종별, 업력별 통계화 하여, 채무불이행 건수, 연체 금액 등의 통계값을 시계열로 생성한 데이터 - 사유설명 신용보증대지급금, 당좌수표부도, 지급보증 대지급 대위변제, 허위 부실자료제출, 기일경과어음미결제, 회생파산 사기, 주택자금대출연체 등 - 지역별 업종별 규모별 발생사유별 금융권 채무불이행정보(이자, 원금 체납 등)기업현황수, 평균금액 - 2011-01 이후 월단위 데이터
한국평가데이터㈜ - 기업신용등급 예측정보
공공데이터포털
한국평가데이터의 기업별 신용등급 현황정보를 지역별, 업종별, 업력별 신용등급(AAA~D)의 분포 정보를 로지스틱 회귀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AI가공을 통한 기업신용등급 예측정보 데이터 - 신용등급명 AAA, AA+, AA, AA-, A+, A, A-, BBB+, BBB, BBB-, BB+, BB, BB-, B+, B, B-, CCC+, CCC, CCC-, CC, C, D, NR - 전국단위(동단위) 기준 데이터 - KED에서 등급생성된 기업수 대상(조사, 평가, 재무정보 입수 등을 통해 신용등급 산출 기준 충족 업체 대상) - 지역별 업종별 규모별 업력 신용등급별 기업현황 데이터의 AI가공을 통한 기업신용등급 예측정보
한국평가데이터㈜ - 주요 재무비율 (외감기업)
공공데이터포털
- 외감 기업의 재무데이터를 산식에 따라 재무 비율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비율데이터를 지역(읍면동), 업종(중분류), 기업규모, 업력 기준으로 통계화하여 생성 (영업이익 증가율, 매출액 증가율, EBITDA 등) - 항목명(재무비율항목) 매출총이익률, EBITDA(천원), 매출액증가율, ROIC, 매출원가율, ROE, 영업이익률 등 - 전국단위(동단위) 외감법인 기준 데이터 - 지역별 업종별 규모별 업력별 재무비율항목에따른 평균값 - 2016 이후 년단위 데이터 (결산일 기준년)
한국평가데이터㈜ - 주요 재무현황 (외감기업)
공공데이터포털
- 지역(읍면동), 업종(중분류), 기업규모, 업력 기준으로 통계화된 주요 재무 정보 데이터 생성 (매출액, 영업이익, 자본금 등) 외감법인이란 유가증권, 코스닥, 코넥스, 외감 기업으로 한국기업데이터에서 모든 재무정보를 보유하고 있어 정확한 통계값을 제공할 수 있어 별도 분류하여 생성 - 항목명(재무비율항목) 매출총이익률,EBITDA(천원),매출액증가율,ROIC,매출원가율,ROE,영업이익률 등 - 전국단위(동단위) 외감법인 기준 데이터 - 지역별 업종별 규모별 업력별 재무비율항목에따른 평균값 - 2016 이후 년단위 데이터 (결산일 기준년)
한국평가데이터㈜ - 종업원 현황
공공데이터포털
- 국민연금에서 공개한 종업원수(국민연금가입자수) 정보를 가공 매핑하여 기업 식별화 하고, 해당기업을 지역별, 업종별 가공한 종업원수, 평균연봉 통계값 등을 시계열로 생성한 데이터 - 전국단위(동단위) 기준 데이터 - 3인이상 기업 기준 데이터 가공 - 지역별 업종별 규모별 총 종업원수, 평균종업원수, 입사자, 퇴사자 수 - 2015-11 이후 월단위 데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