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은평성모병원 - (은평)알코올 사용 장애 환자의 인구학적 특성 데이터 2020
공공데이터포털
병원정보시스템에 저장되어 있는 전체 데이터에서 ICD-10 코드 중 F101, F102, F103, F104, F109의 진단코드를 가진 환자와 K700, K701, K703, K7030, K7031, K7041, K709의 진단코드를 가진 환자들을 추출한 코호트의 인구통계학적 정보 데이터임. 환자들의 최초 처방 당시의 연령, 성별 데이터를 이용하여 연령대별 특성과 성별 특성을 분석할 수 있음. -SEX : 0은 남자, 1은 여자로 구분 하였음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 (서울)알코올 사용 장애 환자의 주효과 혈액 검사 데이터
공공데이터포털
알코올 사용 장애 환자들이 시행한 혈액 검사 중에 간기능의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주요 검사 데이터를 포함하며 검체 채취 일자와 접수 일자를 이용하여 처방시점으로 부터의 기간을 계산한 시점 데이터를 생성함. 검사항목은AST(GOT), ALT(GPT), ALP, γ-GTP 등 간기능 개선 성과와 알코올 사용을 평가할 수 있는 주요 검사항목이 포함됨 -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 GOT(Glutamic Oxalacetic Transaminase)), ALT(alanine aminotransferase, GPT(glutamic pyruvate transaminase)) : 간세포 손상을 반영하는 아미노전이효소(Aminotransferases)로 기본적인 간기능검사 항목임 - ALP(alkaline phosphatase, 알칼리인산분해효소) : 간세포 내 담관에 존재하는 효소로 즈로 담즙 배설 장애 시 빠르게 상승함 - γ-GTP(gamma(γ)-glutamyl transferase, GGT, 감마-글루타밀전이효소) : 간세포 내 담관에 존재하는 효소로 ALP와 함께 담즙 배설 장애를 판단하는데 사용되나, 간질환 없이도 알코올 중독자, 비만한 사람의 일부, 아세트아미노펜, 페니토인, 카르바마제핀 같은 약물의 과다복용 때도 상승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