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 - 서울시 식품위생업 현황 (구별)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식품위생업 현황(구별) * 통계종류 : 서울시 식품위생업소 현황을 자치구별로 제공하는 일반ㆍ보고통계 * 근거법령 :「식품위생법」에 의거 자치구에 영업허가 또는 신고를 한 식품위생 관련업소 * 작성목적 : 식품위생업소의 현황을 파악하여, 사업체에 대한 효율적인 지원과 식품위생 관련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조사체계 : 보건소 → 자치구 → 서울특별시 식품안전과 * 공표주기 : 정기(매년, 12월 기준)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및 자치구 내용 - 서울시 자치구별 식품접객업, 집단급식소, 식품제조업 및 가공업, 판매ㆍ운반ㆍ기타업, 건강기능식품 제조ㆍ수입ㆍ판매업소의 개소수 ○ 용어설명 ○ 기 타 * 관련법 개정(2008년)으로 분류기준 변경 ○ 출 처 : 서울특별시 식품안전과
서울특별시 - 서울시 화재발생 현황 (구별)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화재발생 현황(구별) * 통계종류 : 서울시 각 구별 화재발생 현황 및 피해 현황을 제공하는 일반ㆍ보고통계 * 작성목적 : 화재발생 현황 및 인적 물적 피해 현황을 파악하여, 사고 방지 및 대응 등 효과적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조사체계 : 소방서 → 서울소방재난본부 재난대응과 * 공표주기 : 정기(매년) * 공표범위 : 지역 - 자치구 및 소방서 내용 - 화재건수, 화재피해(인명ㆍ재산피해), 구조인원 현황 등 ○ 용어설명 * 화재건수의 결정 : 1건의 화재란 1개의 발화점으로부터 확대된 것으로 발화부터 진화까지를 말하지만, 다음의 경우에는 당해 각 호에 의함 - 동일범이 아닌 각기 다른 사람에 의한 방화, 불장난은 동일 대상물에서 발화했더 라도 각각 별건의 화재로 집계 - 동일 소방대상물의 발화점이 2개소 이상 있는 다음의 화재는 1건의 화재로 함 ㆍ누전점이 동일한 누전에 의한 화재 ㆍ지진, 낙뢰 등 자연현상에 의한 다발화재 * 세대수의 산정 : 세대수의 산정은 거주와 생계를 함께 하고 있는 사람들의 집단 및 하나의 가구를 구성하여 살고 있는 독신자로서 자신의 주거에 사용 되는 건물에 대하여 재산권을 행사할 수 있는 사람을 말함 * 소실면적의 산정 - 건물의 소실면적 산정은 소실 바닥면적으로 산정 - 소손 및 기타 파손의 경우도 위 항의 규정을 준용 ○ 기 타 * 국가화재분류체계(2007.1.1)변경. 쓰레기소각, 음식물조리, 빨래삼기, 전기스파크 등 오인처리를 화재로 분류 * 화재건수의 기타는 자연적 요인과 미상임 * 숫자의 단위미만은 반올림하였으므로, 내용의 계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 ○ 출 처 : 서울특별시 소방재난본부
서울특별시 - 서울시 여성가구주 현황(구별)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여성가구주 현황(구별) * 통계종류 : 서울시 가구 중 여성가구주 현황을 구별로 제공하는 지정ㆍ조사통계 * 근거법령 :「인구주택총조사 규칙」(기획재정부령 제173호) * 작성목적 : 인구규모, 분포 및 구조와 주택에 관한 제 특성을 파악, 각종 정책 입안의 기초자료 제공하고, 각종 가구관련 경상조사 표본틀 (Sampling Frame)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조사체계 : 전수: 공공기관 및 사법기관 → 통계청 표본: 조사원 → 구·시·군 → 시·도 → 통계청 * 공표주기 : 정기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및 자치구 내용 - 서울시 일반가구수, 여성가구수 가구, 여성가구주 가구 비율 등 ○ 용어설명 * 일반가구 : 가족으로 이루어진 가구, 가족과 5인 이하의 남남이 함께 사는 가구, 1인가구, 가족이 아닌 남남끼리 사는 5인 이하의 가구 ** 가구: 1인 또는 2인 이상이 모여서 취사, 취침 등 생계를 같이하는 생활단위 * 여성가구주 : 일반가구 중 가구주가 여성인 가구 여성가구주 가구 비율 = (여성가구주 가구/일반가구수)*100 ○ 기 타 * 일반가구를 대상으로 집계. 단, 집단가구(6인이상 비혈연가구, 기숙사, 사회시설 등) 및 외국인 가구 제외 * 2015년 이후부터는 행정자료를 이용한 전수조사 (2010년 이전은 전통적 현장조사방식의 집계결과) ○ 출 처 : 통계청「인구주택총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