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셋 상세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 - 서울시 경력단절여성 통계
○ 통계개요 * 통계명 : 경력단절여성 * 통계종류 : 서울시 경력단절여성 현황를 제공하는 일반?조사통계 * 통계목적 : 경력단절 여성의 경력단절 방지 및 재취업지원정책 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 * 조사체계 : 조사대상→ 지방통계청(사무소) → 통계청 * 공표주기 : 매년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내용 - 비취업여성 및 경력단절여성 비율 등 ○ 용어설명 * 경력단절여성 : 15~54세의 기혼여성 중 현재 비취업인 여성으로 결혼, 임신 및 출산, 육아, 자녀교육(초등학교), 가족돌봄 때문에 직장을 그만둔 여성 - 육아 : 미취학 자녀를 돌보는 일 - 자녀교육 : 초등학생 자녀 교육에 한함 - 가족돌봄 : 가족(부모, 배우자, 자녀, 배우자의 부모)의 병간호를 의미함 * 비취업여성 : 현재 일을 하고 있지 않은 여성으로 실업자와 비경제활동인구를 말함 ○ 기 타 * 매년 상반기(4월)에 실시하는 지역별고용조사로, 경력단절여성 현황은 15-54세의 기혼여성 중 현재 취업 중이 아닌 직장을 그만둔 경력단절여성을 조사한 결과임 * 2014년부터 경력단절 사유에 '가족돌봄'이 포함되어 2013년(가족돌봄 제외) 자료와 비교시 유의 * 2015년 인구총조사(등록센서스) 결과를 토대로 소급작성된 추계인구의 변경을 반영하여 2011년부터 2017년까지의 자료를 변경하였음 ○ 출 처 : 통계청「지역별고용조사(부가항목) 경력단절여성 현황」
데이터 정보
  • 데이터 포털
  • 서울특별시
  • META URL
  • 라이선스
  • cc-zero
  • 비용
  • 제공기관
  • 관리부서
  • 데이터
연관 데이터
서울특별시 - 서울시 사업체현황 종사자수(종사상 지위별/동별/성별)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사업체현황 종사자수(종사상지위별/동별/성별) * 통계종류 : 서울시 사업체의 종사자수 현황을 종사상지위별로 제공하는 지정ㆍ조사통계 * 작성목적 : 서울시에 등록된 종사자1인 이상의 사업체 및 종사자 현황을 파악하여, 산업활동과 관련된 각종 정책의 수립 및 평가, 기업의 경영계획 수립 및 학계, 연구소 등의 학술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조사체계 : 동 → 자치구 → 서울특별시 스마트도시담당관 * 공표주기 : 정기(매년, 12월 기준)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및 자치구, 행정동 내용 - 서울시 사업체의 종사상지위별(자영업주 및 무급가족, 상용근로자, 임시 및 일용근로자 등), 동별, 성별 종사자수 현황 ○ 용어설명 * 사업체 : 영리ㆍ비영리를 불문하고 개개의 상점, 사무소, 영업소, 은행, 학교, 병원, 여관, 식당, 학원, 교회, 사찰, 공공기관, 사회복지시설 등과 같이 일정한 장소에서 단일소유권 또는 단일통제 하에 제화의 생산ㆍ판매, 서비스 제공 등 산업활동을 영위하고 있는 모든 경영단위 ○ 기 타 * 조사공표주기(12.31)과 조사시점(익년도 조사기간 중)사이에 폐업되어 조사되지 못한 사업체는 직전년도 실적으로 결측치를 대체하였음 ○ 출 처 : 서울특별시 스마트도시담당관
서울특별시 - 서울시 가사분담 실태 (부인)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가사분담 실태(부인) * 통계종류 : 통계청 사회조사의 서울시민 가사분담 실태를 제공하는 지정ㆍ조사통계 * 작성목적 : 사회적 관심사항, 삶의 질에 관한 사항 등 사회구성원의 주관적 관심사를 파악하여 사회개발정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조사체계 : 조사대상 → 지방통계청 → 통계청 * 공표주기 : 정기(2년)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내용 - 서울시민의 "가사분담 실태"에 대한 맞벌이/비맞벌이 가정 부인의 응답을 백분율로 제공 ○ 용어설명 ○ 기 타 * 조사대상 : 19세이상 인구 * 부부가 함께 살고 있는 가구(2018년부터 주말부부 포함)에서 '부인'이 응답 * 통계표에 수록된 숫자는 반올림되었으므로 총계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음 * 문 : 부부가 함께 살고 있는 가구의 남편과 부인만 응답하여 주십시오.(2018년부터 주말부부 포함) 귀댁에서는 평소 가사분담을 어떻게 하고 계십니까? ○ 출 처 : 통계청 「사회조사」
서울특별시 - 서울시 공무원 (현원)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공무원(현원) * 통계종류 : 서울시 공무원 현원 현황을 제공하는 지정ㆍ보고통계 * 근거법령 :「지방공무원임용령」에 의한 지방공무원 인사에 관한 통계보고 * 작성목적 : 서울시 공무원의 전반적인 현황을 파악하여 인사정책의 운영 및 제도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고 공직내 인적자원의 주기별 변동사항 기록유지 등에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조사체계 : 동 → 자치구 → 서울특별시 인사과 * 공표주기 : 정기(매년, 12월 기준)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및 자치구 내용 - 서울시 공무원의 직류별ㆍ직급별 현원 현황 ○ 용어설명 * 정무직 : 선출직 공무원과 같이 담당 업무의 성격이 정치적 판단이나 정책결정을 필요로 하는, 중앙정부의 차관급 이상 공무원과 특별시의 행정부시장, 정무부시장 등 특수경력직 공무원 * 별정직 : 전문위원ㆍ상임위원ㆍ비서 등 공무원법상 특수경력직의 별정직으로 규정되어 있거나 다른 법령ㆍ조례에서 별정직으로 지정하는 공무원 * 일반직 : 행정일반 또는 기술연구에 대한 업무를 담당하며, 실적과 자격에 의해 임용되고 신분이 보장되는 경력직 공무원 * 기능직 : 체신현업ㆍ토목건축ㆍ전신ㆍ기계ㆍ화공ㆍ선박ㆍ농림ㆍ보건위생ㆍ 사무보조ㆍ방호 업무 등의 기능적인 업무에 종사하는 경력직 공무원 * 고용직 : 단순한 노무에 종사하는 특수경력직 공무원 ○ 기 타 * 소방직, 교원직 제외 ○ 출 처 : 서울특별시 인사과
서울특별시 - 서울시 퇴직사유별 공무원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퇴직사유별 공무원 * 통계종류 : 서울시 공무원의 퇴직사유를 제공하는 일반ㆍ보고통계 * 근거법령 :「지방공무원임용령」에 의한 지방공무원 인사에 관한 통계보고 * 작성목적 : 서울시 공무원의 전반적인 현황을 파악하여 인사정책의 운영 및 제도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고 공직내 인적자원의 주기별 변동사항 기록유지 등에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조사체계 : 동 → 자치구 → 서울특별시 인사과 * 공표주기 : 정기(매년, 12월 기준)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및 자치구 내용 - 서울시 공무원의 직류별ㆍ직급별 퇴직사유 (의원면직, 정년퇴직 등) ○ 용어설명 * 정무직 : 선출직 공무원과 같이 담당 업무의 성격이 정치적 판단이나 정책결정을 필요로 하는, 중앙정부의 차관급 이상 공무원과 특별시의 행정부시장, 정무부시장 등 특수경력직 공무원 * 별정직 : 전문위원ㆍ상임위원ㆍ비서 등 공무원법상 특수경력직의 별정직으로 규정되어 있거나 다른 법령ㆍ조례에서 별정직으로 지정하는 공무원 * 일반직 : 행정일반 또는 기술 연구에 대한 업무를 담당하며, 실적과 자격에 의해 임용되고 신분이 보장되는 경력직 공무원 ○ 기타 ○ 출 처 : 서울특별시 인사과
서울특별시 - 서울시 소기업ㆍ소상공인 체감경기지수 (고용여력 수준)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소기업·소상공인 체감경기지표(고용여력 수준) * 작성목적 : 풀뿌리 경제의 근간인 서울시 소기업ㆍ소상공인 현장체감경기 실적과 전망 등을 지수화하여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현장 경영애로를 파악 * 공표주기 : 정기(매분기)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내용 - 소기업, 소상공인의 기업규모별, 업종별 체감경기지표(S-BSI) ○ 용어설명 * 소기업 : 중소기업기본법 시행령에서 정한 소기업(상시근로자수 기준) ① 광업, 제조업, 건설업, 운수업 등 : 50인 미만 ② 이외 업종 : 10인 미만 * 소상공인 : 소기업 및 소상공인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서 정한 소상공인 (상시근로자수 기준) ① 광업, 제조업, 건설업, 운수업 : 10인 미만 ② 이외 업종 : 5인 미만 ○ 기타 * 고용여력 : 소기업·소상공인이 매출, 자금사정 등을 고려하여 채용 가능하다고 판단하는 인력 수준을 나타냄 * '고용여력' 은 2013. 2/4분기 부터 조사 실시 ○ 출 처 : 서울신용보증재단
서울특별시 - 서울시 연령별 취업자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연령별 취업자 * 통계종류 : 경제활동참가자 중 취업자 현황을 연령별로 제공하는 지정ㆍ표본통계 * 작성목적 : 국민의 경제활동 즉 국민의 취업, 실업 등과 같은 경제적 특성을 조사하여 거시경제분석과 인력 자원의 개발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인 노동공급, 고용구조, 가용노동시간 및 인력자원 활용정도를 제공하고 정부의 고용정책 입안 및 평가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조사체계 : 조사담당자 → 지방통계청(사무소) → 통계청 * 공표주기 : 정기(매분기)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내용 - 서울시 경제활동참가자 중 취업자의 연령별, 성별 현황 ○ 용어설명 * 취업자 - 조사대상 주간 중 수입을 목적으로 1시간 이상 일한 자 - 자기에게 직접적인 이득이나 수입이 오지 않더라도 자기가구에서 경영하는 농장이나 사업체의 수입을 높이는 데 도운 가족종사자로서 주당 18시간이상 일한 자 (무급가족종사자) - 직장 또는 사업체를 가지고 있으나 조사대상 주간 중 일시적인 병, 일기불순, 휴가 또는 연가, 노동쟁의 등의 이유로 일하지 못한 일시휴직자 ○ 기 타 * 구직기간 4주기준 * 2015년 인구총조사(등록센서스) 결과를 토대로 소급작성된 추계인구의 변경을 반영하여 2018년 1월에 2000년 7월 ~ 2017년 12월까지의 자료를 변경 하였음 ○ 출 처 : 통계청 사회통계국
서울특별시 - 서울시 가사분담에 대한 견해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가사분담에 대한 견해 * 통계종류 : 통계청 사회조사의 서울시민 가사분담에 대한 견해를 제공하는 지정ㆍ조사통계 * 작성목적 : 사회적 관심사항, 삶의 질에 관한 사항 등 사회구성원의 주관적 관심사를 파악하여 사회개발정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조사체계 : 조사대상 → 지방통계청 → 통계청 * 공표주기 : 정기(2년)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내용 - 서울시민의 "가사분담에 대한 견해"에 대한 응답을 백분율로 제공 ○ 용어설명 ○ 기 타 * 조사대상 : 13세 이상 인구(2010년이전 15세 이상 인구) * 통계표에 수록된 숫자는 반올림되었으므로 총계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음 * 문 : 가사분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 출 처 : 통계청 「사회조사」
서울특별시 - 서울시 가사분담 실태 (남편)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가사분담 실태(남편) * 통계종류 : 통계청 사회조사의 서울시민 가사분담 실태를 제공하는 지정ㆍ조사통계 * 작성목적 : 사회적 관심사항, 삶의 질에 관한 사항 등 사회구성원의 주관적 관심사를 파악하여 사회개발정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조사체계 : 조사대상 → 지방통계청 → 통계청 * 공표주기 : 정기(2년)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내용 - 서울시민의 "가사분담 실태"에 대한 맞벌이/비맞벌이 가정 남편의 응답을 백분율로 제공 ○ 용어설명 ○ 기 타 * 조사대상 19세 이상 인구 * 부부가 함께 살고 있는 가구(2018년부터 주말부부 포함)에서 '남편'이 응답 * 통계표에 수록된 숫자는 반올림되었으므로 총계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음 * 문 : 부부가 함께 살고 있는 가구의 남편만 응답하여 주십시오.(2018년부터 주말부부 포함) 귀댁에서는 평소 가사분담을 어떻게 하고 계십니까? ○ 출 처 : 통계청 「사회조사」
서울특별시 - 서울시 사업체현황 (산업대분류별/동별)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사업체현황(산업대분류별/동별) * 통계종류 : 서울시 사업체 현황을 산업대분류별, 구ㆍ동별로 제공하는 지정ㆍ조사통계 * 작성목적 : 서울시에 등록된 종사자1인 이상의 사업체 및 종사자 현황을 파악하여, 산업활동과 관련된 각종 정책의 수립 및 평가, 기업의 경영계획 수립 및 학계, 연구소 등의 학술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조사체계 : 동 → 자치구 → 서울특별시 스마트도시담당관 * 공표주기 : 정기(매년)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및 자치구 내용 - 서울시 전체 사업체수 및 여성대표자 현황, 성별 종사자수, 구ㆍ동별ㆍ산업대분류별(농림어업, 광업, 제조업 등) 사업체수 및 종사자수 현황 ○ 용어설명 * 사업체 : 영리ㆍ비영리를 불문하고 개개의 상점, 사무소, 영업소, 은행, 학교, 병원, 여관, 식당, 학원, 교회, 사찰, 공공기관, 사회복지시설 등과 같이 일정한 장소에서 단일소유권 또는 단일통제 하에 제화의 생산ㆍ판매, 서비스 제공 등 산업활동을 영위하고 있는 모든 경영단위 ○ 기 타 * 조사공표주기(12.31)과 조사시점(익년도 조사기간 중)사이에 폐업되어 조사되지 못한 사업체는 직전년도 실적으로 결측치를 대체하였음 ○ 출 처 : 서울특별시 스마트도시담당관
서울특별시 사업체현황 (종사자규모별 동별)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서울시 사업체 현황을 종사자 규모별, 구ㆍ동별로 제공하는 지정ㆍ조사통계입니다. 서울시 전체 사업체수 및 여성대표자 현황, 성별 종사자수, 구ㆍ동별ㆍ종사자 규모별 사업체수 및 종사자수 현황을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