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셋 상세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 - 서울시 사망확률(서울) 통계
○ 통계개요 * 통계명 : 사망확률(서울) * 통계종류 : 통계법 제18조 규정에 의해 승인된 일반통계(승인번호 제101035호) * 작성목적 : 현재의 사망 수준이 그대로 지속된다는 가정하에서 몇세까지 살수 있는가를 정리하여 장래인구 추계에 활용하고 보건ㆍ의료정책 등의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작성체계 : 기초자료수집→인구동태신고자료보정→연령별사망률산출→연령별사망확률 산출→정지인구산출→생존률산출→총생존자수산출→기대여명산출 * 작성대상범위 : 시도별 생명표 ; 17개 시도별 사망자수, 주민등록연앙인구 * 공표주기 : 부정기(3년 주기)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내용 - 생명표상 x세의 성별 사망확률 ○ 용어설명 * 생명표: 현재의 연령별 사망수준이 그대로 지속된다는 가정하에, 특정한 출생코호트가 연령이 많아짐에 따라 소멸되어가는 과정을 정리한 표. 어떤 연령층의 인구가 주어진 사망력의 유형과 수준이 그대로 적용된다는 가정 하에 평균적으로 더 살수 있는 기간, 연령별 사망확률, 특정연령의 사람이 다른 연령까지 생존할 수 있는 확률 등을 나타냄 * 사망확률 : 특정연령 x세인 사람이 x+n세에 도달하지 못하고 사망할 확률임 ○ 기 타 * 시도별 자료는 3년주기로 생산됨('05, '08, '11, '14). 전국은 1년주기 * 전국 생명표가 2016.12.2. 갱신됨에 따라 시도별 생명표도 2017.3.31. 갱신됨으로 사용에 유의바람 ○ 출 처 : 통계청「생명표」
데이터 정보
연관 데이터
서울특별시 - 서울시 특정사망원인별 사망확률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특정사망원인별 사망확률 * 통계종류 : 통계법 제18조 규정에 의해 승인된 일반통계(승인번호 101035) * 작성목적 : 현재의 사망 수준이 그대로 지속된다는 가정하에서 몇세까지 살수 있는가를 정리하여 장래인구 추계에 활용하고 보건ㆍ의료정책 등의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작성체계 : 기초자료수집→인구동태신고자료보정→연령별사망률산출→연령별사망확률 산출→정지인구산출→생존률산출→총생존자수산출→기대여명산출 * 공표주기 : 부정기(3년 주기)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내용 - 악성신생물, 순환기계통질환, 사망의 외인 등의 사망확률 등 ○ 용어설명 * 생명표 : 현재의 연령별 사망 수준이 그대로 지속된다는 가정하에, 특정한 출생코호트가 연령이 많아짐에 따라 소멸되어 가는 과정을 정리한 표. 어떤 연령층의 인구가 주어진 사망력의 유형과 수준이 그대로 적용된다는 가정 하에 평균적으로 더 살 수 있는 기간, 연령별 사망확률, 특정연령의 사람이 다른 연령까지 생존할 수 있는 확률 등을 나타냄 * 특정사인별 사망확률 : 특정연령 x세인 사람이 특정사인으로 사망하게 될 확률 * 증가기대여명 : 특정사인제거시 증가기대여명으로, 특정사인을 예방하거나 퇴치함으로 써 그 사인으로 사망하지 않고, 이후 다른 사인으로 사망함으로써 사망 시기가 연장되어 증가되는 기대여명으로, 특정사인으로 인해 감소되는 기대수명과 같은 의미 ○ 기 타 * 시도별 자료는 3년주기로 생산됨('05, '08, '11, '14), 전국은 1년주기 * 전국 생명표가 2016.12.2. 갱신됨에 따라 시도별 생명표도 2017.3.31. 갱신됨으로 사용에 유의바람 ○ 출 처 : 통계청 인구동향과 「생명표」 _ 시도별 생명표
서울특별시 - 서울시 기대여명 (서울)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기대여명(서울) * 통계종류 : 통계법 제18조 규정에 의해 승인된 일반통계(승인번호 제101035호) * 작성목적 : 현재의 사망 수준이 그대로 지속된다는 가정하에서 몇세까지 살수 있는가를 정리하여 장래인구 추계에 활용하고 보건ㆍ의료정책 등의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작성체계 : 기초자료수집→인구동태신고자료보정→연령별사망률산출→연령별사망확률 산출→정지인구산출→생존률산출→총생존자수산출→기대여명산출 * 작성대상범위 : 시도별 생명표 ; 17개 시도별 사망자수, 주민등록연앙인구 * 공표주기 : 부정기(3년 주기)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내용 - 생명표상 x세의 성별 기대여명 ○ 용어설명 * 생명표: 현재의 연령별 사망수준이 그대로 지속된다는 가정하에, 특정한 출생코호트가 연령이 많아짐에 따라 소멸되어가는 과정을 정리한 표. 어떤 연령층의 인구가 주어진 사망력의 유형과 수준이 그대로 적용된다는 가정 하에 평균적으로 더 살 수 있는 기간, 연령별 사망확률, 특정연령의 사람이 다른 연령까지 생존할 수 있는 확률 등을 나타냄 * 기대수명 : 0세 출생자가 향후 생존할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생존년수로 '0세의 기대여명'을 말함 * 기대여명 : 특정연령 x세의 생존자가 앞으로 생존할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생존년수 ○ 기 타 * 시도별 자료는 3년주기로 생산됨('05, '08, '11, '14), 전국은 1년주기 * 전국 생명표가 2016.12.2. 갱신됨에 따라 시도별 생명표도 2017.3.31. 갱신됨으로 사용에 유의바람 ○ 출 처 : 통계청 인구동향과 「생명표」
서울특별시 - 서울 거주기간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서울 거주기간 * 통계종류 : 서울서베이의 서울시민 서울 거주기간을 제공하는 일반ㆍ조사통계 * 작성목적 : 도시정책지표에 대한 포괄적인 자료구축 및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서울의 현재 상태에 대한 객관적이고 심층적인 분석과 현재 도시발전 수준을 모니터링 하는 한편, 시정의 변화에 따른 시민과 기업의 입장에서 느끼는 정책의 실효성을 객관적으로 측정하여 보다 발전된 정책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음 * 조사체계 : 조사기관 → 서울특별시 스마트도시담당관 * 공표주기 : 정기(매년) ※ 2008년 조사종료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및 자치구 내용 - 서울시민(자치구별)의 서울 거주기간 및 평균 거주년수 등 ○ 용어설명 ○ 기 타 * 2009년부터 조사 항목에서 제외함 * 조사항목 변경으로 인해 2008년부터 거주 년수만 표기함 ○ 출 처 : 서울특별시 스마트도시담당관
서울특별시 - 서울시 귀농어·귀촌인 현황 (서울→타지역)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귀농어?귀촌인 현황(서울→타지역) * 통계종류 : 귀농?귀촌인통계를 제공하는 일반통계 * 작성목적 : 귀농?귀촌인 규모를 파악 제공하여 귀농?귀촌 정책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 * 조사체계 : (귀농) 행정자료 보유기관의 자료제공 → 통계청 통계작성 (귀촌) 시군(읍면) → 시도 → 농림축산식품부 분석 집계 * 공표주기 : 정기(매년) * 공표범위 : 내용 - 타지역 귀농 전입 가구수 및 가구원수(연령별), 귀촌 전입 가구수 ○ 용어설명 * 귀농인 : 통계작성 기준일(매년 11월 1일)을 기준으로 1년전(前) 주소가 동(洞)지역이고 현(現)주소가 읍?면(邑?面)지역인 자 중에서 농업경영체등록명부의 경영주, 축산업등록명부의 종축업자?사육업자?부화업자, 농지원부의 농업인으로 신규 등록한 자 * 귀농가구 : 주민등록부상 귀농인이 포함된 세대 * 귀촌인 : 전원생활 등을 목적으로 농어촌으로 이주한 자. 단, 회사원, 교사 등 별도 직업이 있는 경우는 제외됨 ○ 기타 * 작성방법 : (귀농) 농업경영체등록명부, 축산업등록명부, 농지원부, 주민등록부 등 행정자료 DB 구축, 통계작성용 원시자료 생성, 통계적 처리를 거친후 최종적으로 통계를 생산함 (귀촌) 시군(읍면) 귀촌담당 공무원이 해당 시군의 귀촌 가구 현황 조사, 농림축산 식품부에서 전체 자료 분석 집계 * 귀농?귀촌 전 거주지역이 서울시로 한정된 자료임 * 귀농인통계는 신고에 기초한 행정자료를 집계한 결과이므로 해당지역에 상주하는 귀농인(가구)수와는 다를 수 있음 ○ 출 처 : 통계청「귀농귀촌인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