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셋 상세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 - 서울시 특정사망원인별 사망확률 통계
○ 통계개요 * 통계명 : 특정사망원인별 사망확률 * 통계종류 : 통계법 제18조 규정에 의해 승인된 일반통계(승인번호 101035) * 작성목적 : 현재의 사망 수준이 그대로 지속된다는 가정하에서 몇세까지 살수 있는가를 정리하여 장래인구 추계에 활용하고 보건ㆍ의료정책 등의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작성체계 : 기초자료수집→인구동태신고자료보정→연령별사망률산출→연령별사망확률 산출→정지인구산출→생존률산출→총생존자수산출→기대여명산출 * 공표주기 : 부정기(3년 주기)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내용 - 악성신생물, 순환기계통질환, 사망의 외인 등의 사망확률 등 ○ 용어설명 * 생명표 : 현재의 연령별 사망 수준이 그대로 지속된다는 가정하에, 특정한 출생코호트가 연령이 많아짐에 따라 소멸되어 가는 과정을 정리한 표. 어떤 연령층의 인구가 주어진 사망력의 유형과 수준이 그대로 적용된다는 가정 하에 평균적으로 더 살 수 있는 기간, 연령별 사망확률, 특정연령의 사람이 다른 연령까지 생존할 수 있는 확률 등을 나타냄 * 특정사인별 사망확률 : 특정연령 x세인 사람이 특정사인으로 사망하게 될 확률 * 증가기대여명 : 특정사인제거시 증가기대여명으로, 특정사인을 예방하거나 퇴치함으로 써 그 사인으로 사망하지 않고, 이후 다른 사인으로 사망함으로써 사망 시기가 연장되어 증가되는 기대여명으로, 특정사인으로 인해 감소되는 기대수명과 같은 의미 ○ 기 타 * 시도별 자료는 3년주기로 생산됨('05, '08, '11, '14), 전국은 1년주기 * 전국 생명표가 2016.12.2. 갱신됨에 따라 시도별 생명표도 2017.3.31. 갱신됨으로 사용에 유의바람 ○ 출 처 : 통계청 인구동향과 「생명표」 _ 시도별 생명표
데이터 정보
연관 데이터
서울특별시 - 서울시 사망확률(서울)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사망확률(서울) * 통계종류 : 통계법 제18조 규정에 의해 승인된 일반통계(승인번호 제101035호) * 작성목적 : 현재의 사망 수준이 그대로 지속된다는 가정하에서 몇세까지 살수 있는가를 정리하여 장래인구 추계에 활용하고 보건ㆍ의료정책 등의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작성체계 : 기초자료수집→인구동태신고자료보정→연령별사망률산출→연령별사망확률 산출→정지인구산출→생존률산출→총생존자수산출→기대여명산출 * 작성대상범위 : 시도별 생명표 ; 17개 시도별 사망자수, 주민등록연앙인구 * 공표주기 : 부정기(3년 주기)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내용 - 생명표상 x세의 성별 사망확률 ○ 용어설명 * 생명표: 현재의 연령별 사망수준이 그대로 지속된다는 가정하에, 특정한 출생코호트가 연령이 많아짐에 따라 소멸되어가는 과정을 정리한 표. 어떤 연령층의 인구가 주어진 사망력의 유형과 수준이 그대로 적용된다는 가정 하에 평균적으로 더 살수 있는 기간, 연령별 사망확률, 특정연령의 사람이 다른 연령까지 생존할 수 있는 확률 등을 나타냄 * 사망확률 : 특정연령 x세인 사람이 x+n세에 도달하지 못하고 사망할 확률임 ○ 기 타 * 시도별 자료는 3년주기로 생산됨('05, '08, '11, '14). 전국은 1년주기 * 전국 생명표가 2016.12.2. 갱신됨에 따라 시도별 생명표도 2017.3.31. 갱신됨으로 사용에 유의바람 ○ 출 처 : 통계청「생명표」
서울특별시 - 서울시 기대여명(전국)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기대여명(전국) * 통계종류 : 어떤 출생집단의 기대수명을 제공하는 일반ㆍ가공 통계 * 작성목적 : 현재의 사망 수준이 그대로 지속된다는 가정하에서 몇세까지 살수 있는가를 정리하여 장래인구 추계에 활용하고 보건ㆍ의료정책 등의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조사체계 : 통계청 * 공표주기 : 정기(매년, 익년 12월 기준) * 공표범위 : 지역 - 전국 내용 - 생명표상 0세의 성별 기대여명 ○ 용어설명 * 생명표 : 현재의 연령별 사망 수준이 그대로 지속된다는 가정하에, 특정한 출생코호트가 연령이 많아짐에 따라 소멸되어 가는 과정을 정리한 표. 어떤 연령층의 인구가 주어진 사망력의 유형과 수준이 그대로 적용된다는 가정 하에 평균적으로 더 살 수 있는 기간, 연령별 사망확률, 특정연령의 사람이 다른 연령까지 생존할 수 있는 확률 등을 나타냄 * 기대수명 : 0세 출생자가 향후 생존할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생존년수로 '0세의 기대여명'을 말함 ○ 기 타 * 본 자료는 전국범위 자료이며, 시도별자료는 부정기('05, '08, '11)으로 생산됨. KOSIS 생명표(시도별 간이생명표) 참조 ○ 출 처 : 통계청 인구동향과
서울특별시 - 서울시 기대여명 (서울)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기대여명(서울) * 통계종류 : 통계법 제18조 규정에 의해 승인된 일반통계(승인번호 제101035호) * 작성목적 : 현재의 사망 수준이 그대로 지속된다는 가정하에서 몇세까지 살수 있는가를 정리하여 장래인구 추계에 활용하고 보건ㆍ의료정책 등의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작성체계 : 기초자료수집→인구동태신고자료보정→연령별사망률산출→연령별사망확률 산출→정지인구산출→생존률산출→총생존자수산출→기대여명산출 * 작성대상범위 : 시도별 생명표 ; 17개 시도별 사망자수, 주민등록연앙인구 * 공표주기 : 부정기(3년 주기)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내용 - 생명표상 x세의 성별 기대여명 ○ 용어설명 * 생명표: 현재의 연령별 사망수준이 그대로 지속된다는 가정하에, 특정한 출생코호트가 연령이 많아짐에 따라 소멸되어가는 과정을 정리한 표. 어떤 연령층의 인구가 주어진 사망력의 유형과 수준이 그대로 적용된다는 가정 하에 평균적으로 더 살 수 있는 기간, 연령별 사망확률, 특정연령의 사람이 다른 연령까지 생존할 수 있는 확률 등을 나타냄 * 기대수명 : 0세 출생자가 향후 생존할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생존년수로 '0세의 기대여명'을 말함 * 기대여명 : 특정연령 x세의 생존자가 앞으로 생존할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생존년수 ○ 기 타 * 시도별 자료는 3년주기로 생산됨('05, '08, '11, '14), 전국은 1년주기 * 전국 생명표가 2016.12.2. 갱신됨에 따라 시도별 생명표도 2017.3.31. 갱신됨으로 사용에 유의바람 ○ 출 처 : 통계청 인구동향과 「생명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