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셋 상세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 - 서울시 여성긴급전화 (1366) 운영실적 통계
○ 통계개요 * 통계명 : 여성긴급전화(1366) 운영실적 * 통계종류 : 서울시 여성긴급전화(1366) 운영실적을 제공하는 일반ㆍ보고통계 * 작성목적 : 여성폭력 관련 상담현황 및 피해자 지원내역 파악을 통하여 여성의 권익증진을 위한 여성정책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조사체계 : 해당기관 및 자치구 → 시도 → 여성가족부 * 공표주기 : 정기(매월)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내용 - 여성긴급전화1366 서울센터의 상담유형별 실적 현황 ○ 용어설명 * 1366 : 위기에 처한 여성에게 1년 365일에 하루를 더하여 충분하고 즉각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의미로 여성인권 향상을 위해 연중 24시간 운영되는 여성긴급전화임 * 가정폭력: 남편과 아내, 부모와 자녀, 형제자매 및 기타 동거가족을 포함한 가족구성원 중의 한사람이 다른 구성원에게 의도적으로 물리적인 힘을 사용하거나, 정신적인 학대를 통하여 고통을 주는 행위 * 성폭력: 강간, 윤간, 강도·강간 뿐만 아니라 성추행, 언어적 희롱, 음란전화, 성기노출, 아내 강간 및 위해를 가하는 성적 행위로 모든 신체적, 언어적, 정신적 폭력을 포괄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며, 피해자의 의사에 반하여 피해자가 거부감이나 고통을 느끼게 하는 위법한 행위임 * 성매매: 불특정인을 상대로 금품 그 밖의 재산상의 이익을 수수하거나 이를 약속하고 성교행위 등을 하거나 그 상대방이 되는 것 * 데이트폭력: 데이트 과정에서 일어나는 육체적·언어적·정신적인 폭력을 말함 * 디지털성범죄 : 촬영물유포, 불법촬영, 유포불안, 사이버 괴롭힘 및 성희롱, 몸캠 및 해킹, 기타 등 * 스토킹 : 온라인, 오프라인 모두 포함 ○ 기 타 * 외국인 상담실적 포함 * 서울센터 실적 기준임 ○ 출 처 : 서울특별시 여성가족정책담당관, 여성긴급전화 1366 서울센터
데이터 정보
  • 데이터 포털
  • 서울특별시
  • META URL
  • 라이선스
  • cc-zero
  • 비용
  • 제공기관
  • 관리부서
  • 데이터
연관 데이터
서울특별시 - 서울시 여성폭력상담(2006년 이후)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여성폭력상담 * 통계종류 : 서울시 여성폭력관련 상담 및 피해자 지원내역을 제공하는 일반ㆍ보고통계 * 근거법령 : 「성매매방지 및 피해자 보호등에 관한 법률」에 의한 상담소 운영 * 작성목적 : 여성폭력 관련 상담현황 및 피해자 지원내역 파악을 통하여 여성의 권익증진을 위한 여성정책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조사체계 : 해당기관 및 자치구 → 시도 → 여성가족부 * 공표주기 : 정기(매년, 12월)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및 자치구 내용 - 서울시 여성폭력(가정폭력, 성폭력, 성매매 피해 등) 관련 상담소 개소수 및 상담건수, 피해자 지원내역(심리ㆍ정서적지원, 수사ㆍ 법적 지원 등) 현황 ○ 용어설명 ○ 기 타 * 피해자 지원내역건수는 중복지원 가능 * 기타에 가정폭력 피해회복프로그램 포함 ○ 출 처 : 서울특별시 여성정책담당관
대전광역시 여성긴급전화 1366번 대전센터 운영현황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대전광역시 2020년 여성긴급전화 1366대전센터 운영현황입니다. 2022년 공공데이터 기업매칭지원사업으로 수행되었습니다
서울특별시 - 서울시 소외여성 복지시설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소외여성 복지시설 * 통계종류 : 서울시 소외여성 복지시설 현황을 자치구별로 제공하는 일반ㆍ보고통계 * 근거법령 :「성매매방지및피해자보호등에 관한 법률」등에 의거 설치ㆍ운영되는 여성복지시설 * 작성목적 : 여성복지시설 설치신고를 마친 여성복지시설의 수, 생활인원을 집계하여 적정수의 시설수요와 충족율을 분석하고, 분석결과에 따른 정책 수립 및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조사체계 : 해당시설 → 자치구 → 서울특별시 여성가족정책담당관 * 공표주기 : 정기(매년, 12월 기준)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및 자치구 내용 - 서울시 자치구별 소외여성 복지시설의 시설수 및 생활인원수 현황 ○ 용어설명 ○ 기타 * 소외여성 복지시설 생활인원은 정원기준임 * 기타에 해당하는 부랑인시설은 '용인시'에 위치함 ○ 출 처 : 서울특별시 여성정책담당관
서울특별시 소외여성 복지시설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서울특별시 소외여성 복지시설 현황을 자치구별로 제공하는 일반ㆍ보고통계입니다. 서울특별시 자치구별 소외여성 복지시설의 시설수 및 생활인원수 현황을 제공합니다.
서울특별시 - 서울시 여성복지시설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여성복지시설 * 통계종류 : 서울시 여성복지시설 현황을 자치구별로 제공하는 일반ㆍ보고통계 * 근거법령 :「모부자복지법」「성매매방지및피해자보호등에 관한 법률」등에 의거 설치ㆍ운영되는 여성복지시설 * 작성목적 : 여성복지시설 설치신고를 마친 여성복지시설의 수, 생활인원을 집계하여 적정수의 시설수요와 충족율을 분석하고, 분석결과에 따른 정책 수립 및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조사체계 : 해당시설 → 자치구 → 서울특별시 여성가족정책담당관 * 공표주기 : 정기(매년)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및 자치구 내용 - 서울시 자치구별 여성복지시설(한부모가족 복지시설, 소외여성 복지시설)의 시설수 및 생활인원수 현황 ○ 용어설명 * 한부모가족 복지시설 : 모자보호시설, 모자일시보호시설, 미혼모자 공동생활가정, 미혼모자시설, 부자공동생활 가정 등 * 소외여성 복지시설 : 성매매피해자보호시설, 가정폭력피해자보호시설, 성폭력 피해자보호시설, 여성부랑인시설 ○ 기 타 * 미혼모자 공동생활가정에 미혼모 공동생활가정 포함 * 소외여성 복지시설 생활인원은 정원기준임 * 기타에 해당하는 부랑인시설은 '용인시'에 위치함 ○ 출 처 : 서울특별시 여성정책담당관
제주특별자치도 여성복지시설현황
공공데이터포털
제주특별자치도 내 소재하고 있는 여성 대상 복지시설에 관련한 데이터로 시설명, 소재지, 연락처 등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대전광역시 행정기관 여성폭력피해 상담전화
공공데이터포털
대전광역시 행정기관 여성폭려력피해 상담전화에 대한 데이터로 명칭, 소재지, 운영시간, 전화번호 등의 항목을 제공합니다.
경기도 - 여성 복지시설 현황
공공데이터포털
경기도 내 여성 복지시설 현황입니다. 남녀평등의 촉진, 여성의 사회참여 확대 및 복지 증진을 위한 시설에 대한 정보입니다. ※경기도 31개 시군의 인ㆍ허가 데이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