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빅데이터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갯벌환경정보 강화도 하구역 갯벌 현장퇴적물 평균입도, 퇴적상
KIOST(한국해양과학기술원)에서 낙동강 하구 및 강화도 갯벌에서 취득한 현장데이터를 가공하여 만든 표층퇴적물의 평균입도(Ф), 퇴적상 데이터이며, 데이터 포맷은 CSV이다.-퇴적물 분석용 샘플 현장조사 취득년-* 강화도 하구역: 1997년 8월, 1999년 9월-데이터 사용법-* 본 데이터는 텍스트 파일로 텍스트 에디터나 엑셀에서 매우 쉽게 불러올 수 있습니다.* 전문적 프로그램 활용이 어려운 일반 사용자들을 위해 이미지 파일을 제공합니다.-단위 설명-* 입도의 등급을 표시할 때, 등배수적(Arithmetic) 척도보다는 대수적(Logarithmic) 척도가 유용하기 때문에 ø (파이) 척도를 사용 하였습니다. 변환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여기서, d는 mm로 나타낸 퇴적물 입자의 직경에 해당됩니다.ø = -log2 d-단어 설명-* 퇴적상이란 자갈, 모래, 실트, 점토의 상대비(%)에 따라 분류되는 퇴적물 타입(type)은 다음표에 나타내었습니다.-데이터 확장자 설명-* CSV: 각 항목마다 쉼표(comma)로 구분하여 기록합니다. CSV 형식의 파일은 텍스트 파일로 보존하여 문서 처리기나 편집기에서 열람 ·편집할 수 있습니다. 수많은 애플리케이션에서 취급하는 범용 형식이기 때문에 표의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에도 데이터 파일을 CSV 형식으로 변환해서 송수신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강화도 하구역의 1997년 8월 자료를 추가하여 데이터 열람자의 이해를 돕고자 하였습니다. 하구역(낙동강, 강화도) 표층퇴적물 입자의 평균 크기 및 퇴적물 형태를 파악하기 위한 기초 데이터하구역의 퇴적물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기초데이터갯벌 종류 결정을 위한 기초 데이터해양/갯벌 저서환경 파악을 위한 기초 데이터지형 및 지질과 관련된 인공지능 비즈니스 적용을 위한 기본 데이터로 활용엔지니어링/대학/연구기관/공공기관의 실무 및 교육/연구용 데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