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셋 상세
환경 빅데이터
세종대학교 산학협력단 - 아시아 미래 기상 일단위 RCP 8.5 자료
RCP 8.5 기후변화 시나리오 기반 강수량, 기온, 풍속자료를 포함하고 있습니다.제공항목 : 기후변화 시나리오 기반 강수량(mm), 최고기온(℃), 최저기온(℃), 평균풍속(m/s)산정기간 : 2010-2100년공간범위 : S9.75˚~N54.75˚ / E60.25˚~E149.75˚ (0.5˚ 격자) 미래 기상 자료를 기반으로 대상지역의 기상학적 특징 파악 및 수자원 구조물 건설을 위한 적지 예비분석 수행
데이터 정보
연관 데이터
세종대학교 산학협력단 - 아시아 미래 기상 일단위 RCP 4.5 자료
공공데이터포털
RCP 4.5 기후변화 시나리오 기반 강수량, 기온, 풍속자료를 포함하고 있습니다.제공항목 : 기후변화 시나리오 기반 강수량(mm), 최고기온(℃), 최저기온(℃), 평균풍속(m/s)산정기간 : 2010-2100년공간범위 : S9.75˚~N54.75˚ / E60.25˚~E149.75˚ (0.5˚ 격자) 미래 기상 자료를 기반으로 대상지역의 기상학적 특징 파악 및 수자원 구조물 건설을 위한 적지 예비분석 수행
세종대학교 산학협력단 - 아시아 미래 수문 일단위 RCP 8.5 자료
공공데이터포털
RCP 8.5 기후변화 시나리오와 지표수문해석모형을 기반으로 모의한 수문자료로 강수량, 유출량, 증발산량을 포함하고 있습니다.제공항목 : 기후변화 시나리오 기반 격자별 강수량(mm),유출량(mm), 증발산량(mm) 전망값산정기간 : 2010-2100년공간범위 : S9.75˚~N54.75˚ / E60.25˚~E149.75˚ (0.5˚ 격자) 미래 수문 자료를 기반으로 대상지역의 수문학적 특징 파악 및 수자원 구조물 건설을 위한 적지 예비분석 수행
세종대학교 산학협력단 - 아시아 미래 수문 일단위 RCP 4.5 자료
공공데이터포털
RCP 8.5 기후변화 시나리오와 지표수문해석모형을 기반으로 모의한 수문자료로 강수량, 유출량, 증발산량을 포함하고 있습니다.제공항목 : 기후변화 시나리오 기반 격자별 강수량(mm), 유출량(mm), 증발산량(mm) 전망값산정기간 : 2010-2100년공간범위 : S9.75˚~N54.75˚ / E60.25˚~E149.75˚ (0.5˚ 격자) 미래 수문 자료를 기반으로 대상지역의 수문학적 특징 파악 및 수자원 구조물 건설을 위한 적지 예비분석 수행
세종대학교 산학협력단 - 아시아 기상 관측소 일단위 자료
공공데이터포털
아시아 범위 내 기상관측 지점별 품질관리 된 기상자료를 포함하고 있습니다.제공항목 : 강수량(in), 평균기온(℉), 최고기온(℉), 최저기온(℉), 이슬점온도(℉), 평균풍속(kn), 평균해면기압(mb)산정기간 : 지점별로 상이공간범위 : 아시아 지역이상치 및 결측치 표기 : 99.6, 99.7, 99.8, 99.9, 999.6, 999.7, 999.8, 999.9, 9999.6, 9999.7, 9999.8, 9999.9 기상 자료를 기반으로 대상지역의 기상학적 특징 파악 및 수자원 구조물 건설을 위한 적지 예비분석 수행
세종대학교 산학협력단 - 아시아 미래 RCP 8.5 수력발전량 자료
공공데이터포털
RCP 8.5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산정한 수력발전량 자료로 격자별 발전효율, 잠재발전량, 발전가능량을 포함하고 있습니다.제공항목 : 기후변화 시나리오 기반 미래 발전효율, 잠재발전량(KW/km2/m), 발전가능량(KW/km2/m) 전망값산정기간 : 2011-2100년공간범위 : S9.75˚~N54.75˚ / E60.25˚~E149.75˚ (0.5˚ 격자)이상치 및 결측치 표기 : -999.0 미래 수력발전 잠재량 자료를 기반으로 수력발전댐 건설 적지를 찾기 위한 예비분석 수행
강원대학교 - 기후변화시나리오 기반 일강수량, 일기온 데이터
공공데이터포털
기후변화 시나리오 기반으로 모의된 각 기상관측소별 2100년까지의 일강수량, 일기온 데이터폴더명은 모의에 활용된 모델명을 나타냄 기후변화시나리오에 따른 미래 재해 및 그린에너지 잠재 발전량 전망 가능
세종대학교 산학협력단 - 아시아 미래 RCP 4.5 수력발전량 자료
공공데이터포털
RCP 4.5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산정한 수력발전량 자료로 격자별 발전효율, 잠재발전량, 발전가능량을 포함하고 있습니다.제공항목 : 기후변화 시나리오 기반 미래 발전효율, 잠재발전량(KW/km2/m), 발전가능량(KW/km2/m) 전망값산정기간 : 2011-2100년공간범위 : S9.75˚~N54.75˚ / E60.25˚~E149.75˚ (0.5˚ 격자)이상치 및 결측치 표기 : -999.0 미래 수력발전 잠재량 자료를 기반으로 수력발전댐 건설 적지를 찾기 위한 예비분석 수행
세종대학교 산학협력단 - 아시아 격자별 일단위 수문자료
공공데이터포털
과거 기후자료와 지표수문해석모형을 기반으로 모의한 수문자료로 강수량, 지표유출량, 기저유출량, 증발산량을 포함하고 있습니다.제공항목 : 격자별 강수량(mm), 지표유출량(mm), 기저유출량(mm), 증발산량(mm)산정기간 : 1950-2005년공간범위 : S9.75˚~N54.75˚ / E60.25˚~E149.75˚ (0.5˚ 격자) 수문 자료를 기반으로 대상지역의 수문학적 특징 파악 및 수자원 구조물 건설을 위한 적지 예비분석 수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