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셋 상세
환경 빅데이터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갯벌환경정보 강화도 하구역 갯벌 현장퇴적물 자갈,모래,실트,점토 함량
KIOST(한국해양과학기술원)에서 낙동강 하구 및 강화도 갯벌에서 일정한 깊이에 퇴적율판을 설치하여 계절별 깊이 변화를 측정한 퇴적/침식 수치 데이터이며, 데이터 포맷은 CSV이다.-퇴적물 분석용 샘플 현장조사 취득년, 월-* 강화도 하구역: 1997년 08월, 1999년 9월-데이터 사용법-* 본 데이터는 텍스트 파일로 텍스트 에디터나 엑셀에서 매우 쉽게 불러올 수 있습니다.* 전문적 프로그램 활용이 어려운 일반 사용자들을 위해 이미지 파일을 제공합니다.-데이터 확장자 설명-* CSV: 각 항목마다 쉼표(comma)로 구분하여 기록합니다. CSV 형식의 파일은 텍스트 파일로 보존하여 문서 처리기나 편집기에서 열람 ·편집할 수 있습니다. 수많은 애플리케이션에서 취급하는 범용 형식이기 때문에 표의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에도 데이터 파일을 CSV 형식으로 변환해서 송수신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강화도 하구역의 1997년 8월 자료를 추가하여 데이터 열람자의 이해를 돕고자 하였습니다. 하구역(낙동강, 강화도) 표층퇴적물의 자갈, 모래, 실트, 점토 함량 비율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 데이터하구역의 퇴적물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기초데이터갯벌 퇴적물을 구성하는 입자로서 모래, 실트, 점토의 함량에 따라 퇴적물 형태를 결정하기 위한 기초 데이터지형 및 지질과 관련된 인공지능 비즈니스 적용을 위한 기본 데이터로 활용엔지니어링/대학/연구기관/공공기관의 실무 및 교육/연구용 데이터
데이터 정보
연관 데이터
환경과학기술 - 한반도 수심별 월평균 수온 데이터셋
공공데이터포털
우리나라 연안 해양의 해양정선관측정보를 활용한 계절 연직분포를 알아볼 수 있는 수심별 월평균 수온 자료를 제공하는 데이터셋 ∙우리나라 수심별 수온변화에 따른 환경연구 기초정보로 활용
환경과학기술 - 한반도 연안 저질미량금속정보의 위치별 날짜별 데이터셋
공공데이터포털
2010년 부터 10년간의 환경영향평가정보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비정형의 환경영향평가 결과 자료(PDF)를 수집하여 해양저질미량금속정보의 환경정보를 분석 추출하여 데이터셋으로 제작 - 국내 환경영향평가 사업을 진행하는 기업에 비교 분석자료로 활용 - 지역별 다양한 저질환경에 대한 기초 학술연구자료로 활용
해봄데이터㈜ - 한국 연안해역 해파리 모니터링 지리공간 데이터셋
공공데이터포털
국립수산과학원에서 생산하는 해파리 모니터링 주간보고를 활용하여 해파리 출현지역 및 기간에 해당하는 주변해역 해황자료를 제공
해양환경공단 해양수질자동측정망 인천송도
공공데이터포털
전국 연안 및 근해 정점 수질 상시측정을 통하여 향후 해양환경 상태 측정 및 변화를 예측·예보 할 수 있는 실시간 해양수질자료, 정제한 자료는 한달에 한번씩 meis.go.kr에서 갱신되며 해수일반(수온,염분등 6개), COD,TN,TP등의 자료를 5분 단위로 측정한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