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셋 상세
농식품 빅데이터
케이플러스 - 분기별 인기 판매 메뉴 데이터
※ 본 데이터는 매 분기 단위로 3개월 데이터에 대해 작성 및 배포됩니다. ■ 데이터 개요 시군구 또는 행정동 단위의 지역 기준으로 각 표준 품목(메뉴)에 대한 매출액 및 판매 건수를 정리한 데이터입니다. 요식업 POS 가맹점을 대상으로 각 가맹점에서 판매되고 있는 품목을 분류한 후, 가맹점의 주소를 기준으로 지역을 분류하여 합산하였습니다. ■ 데이터 형태 판매가 이루어진 판매년월과, 지역명, 메뉴 코드 및 메뉴명, 매출 금액 및 판매 건수가 제공됩니다. ■ 데이터 산출 과정 1. 요식업 POS 매장 품목 분류 2. 요식업 POS 매장의 주소를 기준으로 지역 별로 그룹화 3. 지역 별 합산을 통해 데이터 산출 ■ 데이터 컬럼 설명 SLE_QU(판매분-기) : POS 가맹점이 영업을 실시한 분기 AREA_NM(지역명) : 시/군/구 또는 동 레벨의 주소 MENU_CODE(메뉴코드) : 메뉴명에 대한 분류코드 MENU_NM(메뉴명) : POS 기기에서 판매된 상품 이름 TTAL_SELG_AMNT(총합매출금액) : 년월에 대한 총 매출액 SLE_QYT(판매수량) : 년월에 대한 총 판매수
데이터 정보
연관 데이터
케이플러스 - 계절별 인기 판매 메뉴 데이터
공공데이터포털
※ 본 데이터는 매 월 단위로 작성 및 배포됩니다. ■ 데이터 개요 시군구 또는 행정동 단위의 지역 기준으로 각 표준 품목(메뉴)에 대한 매출액 및 판매 건수를 정리한 데이터입니다. 요식업 POS 가맹점을 대상으로 각 가맹점에서 판매되고 있는 품목을 분류한 후, 가맹점의 주소를 기준으로 지역을 분류하여 합산하였습니다. ■ 데이터 형태 판매가 이루어진 판매년월과, 지역명, 메뉴 코드 및 메뉴명, 매출 금액 및 판매 건수가 제공됩니다. ■ 데이터 산출 과정 1. 요식업 POS 매장 품목 분류 2. 요식업 POS 매장의 주소를 기준으로 지역 별로 그룹화 3. 지역 별 합산을 통해 데이터 산출 ■ 데이터 컬럼 설명 SLE_YM(판매연월) : POS 가맹점이 영업을 실시한 년월 AREA_NM(지역명) : 시/군/구 또는 동 레벨의 주소 MENU_CODE(메뉴코드) : 메뉴명에 대한 분류코드 MENU_NM(메뉴명) : POS 기기에서 판매된 상품 이름 TTAL_SELG_AMNT(총합매출금액) : 년월에 대한 총 매출액 SLE_QYT(판매수량) : 년월에 대한 총 판매수
케이플러스 - 소상공인 업종별 매출데이터
공공데이터포털
※ 본 데이터는 매 월 단위로 작성 및 배포됩니다. ■ 데이터 개요 모든 요식업 POS 가맹점을 케이플러스 업종 분류 모형을 이용하여 분류한 데이터입니다. 업종 분류 시 POS 가맹점에 대해 가맹점주가 입력 한 정보 및 가맹점에서 판매되고 있는 품목의 정보 및 매출 상태를 고려하여 업종을 분류하는 인공신경망 모형을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가맹점 상호가 호프여도 치킨 판매량이 맥주 판매량에 비해 매우 많을 경우 치킨 전문점으로 판단합니다.) ■ 데이터 형태 매장 코드 및 매장명, 업종 코드 및 업종명, 총 매출액과 판매 수량 등이 제공됩니다. ■ 데이터 산출 과정 1. 업종 분류를 위한 인공신경망 모형 개발 및 유지보수 2. 요식업 POS 매장 업종 분류 ■ 데이터 컬럼 설명 SLE_YM(판매연월) : POS 가맹점이 영업을 실시한 년월 STR_CODE(매장코드) : POS 가맹점 구분을 위한 고유코드 STR_NM(매장명) : POS 가맹점 상호 TOID_CODE(업종코드) : 업종명에 대한 분류코드 TOID_NM(업종명) : POS 가맹점에 대한 업종분류(케이플러스 기준) TTAL_SELG_AMNT(총합매출금액) : 년월에 대한 총 매출액 SLE_QYT(판매수량) : 년월에 대한 총 판매수
케이플러스 - 소상공인 메뉴별 매출데이터
공공데이터포털
※ 본 데이터는 매 월 단위로 작성 및 배포됩니다. ■ 데이터 개요 모든 요식업 POS 가맹점에서 판매되는 품목에 대해 케이플러스 메뉴 분류 모형을 이용하여 분류한 데이터입니다. 메뉴 분류 시 POS 가맹점에 대한 정보와 품목 정보를 같이 고려하여 분류하는 인공신경망 모형을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가맹점 상호가 **떡볶이인 경우 ‘라면’ 품목은 ‘라면’으로 분류하고, **라멘 인 경우 ‘라면’ 품목을 ‘라멘’으로 판단합니다.) ■ 데이터 형태 매장 코드 및 매장명, 품목 코드 및 품목명(가맹점에서 정한 항목), 메뉴 코드 및 메뉴 명(표준화된 항목), 메뉴에 대한 총 매출액 및 판매 수량 등이 제공됩니다. ■ 데이터 산출 과정 1. 품목 분류를 위한 인공신경망 모형 개발 및 유지보수 2. 요식업 POS 매장 품목 분류 ■ 데이터 컬럼 설명 SLE_YM(판매연월) : POS 가맹점이 영업을 실시한 년월 STR_CODE(매장코드) : POS 가맹점 구분을 위한 고유코드 GD_CODE(상품코드) : POS 가맹점 상품코드 STR_NM(매장명) : POS 가맹점 상호 GD_NM(상품명) : POS 기기에서 판매된 상품 이름 MENU_CODE(메뉴코드) : 메뉴명에 대한 분류코드 MENU_NM(메뉴명) : POS 기기에서 판매된 상품 이름 TTAL_SELG_AMNT(총합매출금액) : 년월에 대한 총 매출액 SLE_QYT(판매수량) : 년월에 대한 총 판매수
케이플러스 - 메뉴 간 연관성 데이터
공공데이터포털
※ 본 데이터는 매 월 단위로 작성 및 배포됩니다. ■ 데이터 개요 매출 빈도 및 분석을 통해 두 메뉴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숫자 형태로 산출 ■ 데이터 형태 기준년월, 메뉴명1, 메뉴명2, 판매비율연관성, 판매수연관성 등이 제공됩니다. ■ 데이터 컬럼 설명 BASE_YN(기준년월) : POS 가맹점에서 매출이 일어난 년월 MENU_NM1(메뉴명1) : 판매된 메뉴 이름1 MENU_NM1(메뉴명2) : 판매된 메뉴 이름2 SALE_RATE_CORR(판매비율연관성) : 두 메뉴의 판매 비율 연관성 SALE_QYT_CORR(판매수연관성) : 두 메뉴의 판매 수 연관성
케이플러스 - 카페 식자재 보고서 데이터
공공데이터포털
※ 본 데이터는 매 월 단위로 작성 및 배포됩니다. ■ 데이터 개요 모든 요식업 POS 가맹점을 케이플러스 업종 분류 모형을 이용하여 분류한 후, 식자재 사용량을 추정하였습니다. 본 데이터는 요식업 POS 가맹점 중 카페, 제과점 업종에 해당하는 매장의 식자재 사용량을 정리한 데이터입니다. ■ 데이터 형태 데이터는 각각의 매장 단위로 제공됩니다. 매장이 판매하는 품목에 대해 표준 품목을 분류하고, 사용되는 주요 식자재를 표준화하여 품목의 판매 수를 곱하여 해당 품목의 식자재 사용량을 산출합니다. 사용된 식자재의 단위는 g, ml 등의 표준 단위를 최대한 사용하도록 하였으나 개, 단, 줌 등의 세는 단위를 사용한 경우도 있습니다. ■ 데이터 산출 과정 1. 품목 별 표준 식자재 사용량 작성 2. 요식업 POS 매장 업종 분류 3. 매장 판매 품목 분류 4. 판매 수량을 고려하여 식자재 사용량 산출 ■ 데이터 컬럼 설명 SLE_YM(판매연월) : POS 가맹점이 영업을 실시한 년월 STR_CODE(매장코드) : POS 가맹점 구분을 위한 고유코드 GD_CODE(상품코드) : POS 가맹점 상품코드 STR_NM(매장명) : POS 가맹점 상호 TOID_CODE(업종코드) : 업종명에 대한 분류코드 TOID_NM(업종명) : POS 가맹점에 대한 업종분류(케이플러스 기준) GD_NM(상품명) : POS 기기에서 판매된 상품 이름 RWMT_NM(원재료명) : 사용된 재료 이름 AVRG_QYT(평균수량) : 추정된 원재료 평균 사용량 UNIT_NM(단위명) : 원재료를 세는 단위(개, ml, g 등)
케이플러스 - 맛집지수 및 관광지수 데이터(맛집지수)
공공데이터포털
※ 본 데이터는 매 월 단위로 작성 및 배포됩니다. ■ 데이터 개요 ※ 맛집지수: 모든 요식업 POS 가맹점에 대해서 매출액을 기반으로 생성한 맛집지수 데이터입니다. 기본적으로 매출액이 큰 매장에 대해 높은 맛집지수가 산출되며, 메뉴 수가 적은 경우 약간 가산점이 부여됩니다. ※ 관광지수: 관광지수는 시군구 또는 행정동 단위의 지역 기준으로 해당 지역 내 맛집지수를 통해 산출된 데이터입니다. 기본적으로 지역 내 POS 가맹점 들의 맛집지수 평균치를 고려하며, 전국 기준 맛집지수 상위에 포함된 지역 내 가맹점 수와 비율을 가산점으로 부여하여 최종 산출됩니다. ■ 데이터 형태 ※ 맛집지수: 맛집지수 값과 맛집지수가 산출된 기준년월 데이터와 매장명, 매장코드가 제공됩니다. ※ 관광지수: 관광지수 값과 관광지수가 산출된 기준년월 데이터와 지역 이름이 제공됩니다. ■ 데이터 산출 과정 1. 요식업 POS 매장 업종 분류 2. 맛집지수 산출 3. 요식업 POS 매장의 주소를 기준으로 지역 별로 그룹화 4. 관광지수 산출 ■ 데이터 컬럼 설명 BASE_YM(기준연월) : POS 가맹점이 영업을 실시한 년월 STR_CODE(매장코드) : POS 가맹점 구분을 위한 고유코드 STR_NM(매장명) : POS 가맹점 상호 FAREST_IDEX(맛집지수) : 추정된 맛집지수 값
케이플러스 - 한식 식자재 보고서 데이터
공공데이터포털
※ 본 데이터는 매 월 단위로 작성 및 배포됩니다. ■ 데이터 개요 모든 요식업 POS 가맹점을 케이플러스 업종 분류 모형을 이용하여 분류한 후, 식자재 사용량을 추정하였습니다. 본 데이터는 요식업 POS 가맹점 중 한식(국, 탕, 찌개, 찜, 전골, 면류, 고깃집, 일반한식, 전, 해산물 등) 업종에 해당하는 매장의 식자재 사용량을 정리한 데이터입니다. ■ 데이터 형태 데이터는 각각의 매장 단위로 제공됩니다. 매장이 판매하는 품목에 대해 표준 품목을 분류하고, 사용되는 주요 식자재를 표준화하여 품목의 판매 수를 곱하여 해당 품목의 식자재 사용량을 산출합니다. 사용된 식자재의 단위는 g, ml 등의 표준 단위를 최대한 사용하도록 하였으나 개, 단, 줌 등의 세는 단위를 사용한 경우도 있습니다. ■ 데이터 산출 과정 1. 품목 별 표준 식자재 사용량 작성 2. 요식업 POS 매장 업종 분류 3. 매장 판매 품목 분류 4. 판매 수량을 고려하여 식자재 사용량 산출 ■ 데이터 컬럼 설명 SLE_YM(판매연월) : POS 가맹점이 영업을 실시한 년월 STR_CODE(매장코드) : POS 가맹점 구분을 위한 고유코드 GD_CODE(상품코드) : POS 가맹점 상품코드 STR_NM(매장명) : POS 가맹점 상호 TOID_CODE(업종코드) : 업종명에 대한 분류코드 TOID_NM(업종명) : POS 가맹점에 대한 업종분류(케이플러스 기준) GD_NM(상품명) : POS 기기에서 판매된 상품 이름 RWMT_NM(원재료명) : 사용된 재료 이름 AVRG_QYT(평균수량) : 추정된 원재료 평균 사용량 UNIT_NM(단위명) : 원재료를 세는 단위(개, ml, g 등)
케이플러스 - 중식/일식/양식 식자재 보고서 데이터
공공데이터포털
※ 본 데이터는 매 월 단위로 작성 및 배포됩니다. ■ 데이터 개요 모든 요식업 POS 가맹점을 케이플러스 업종 분류 모형을 이용하여 분류한 후, 식자재 사용량을 추정하였습니다. 본 데이터는 요식업 POS 가맹점 중 중식, 일식, 양식, 기타 외국식 업종에 해당하는 매장의 식자재 사용량을 정리한 데이터입니다. ■ 데이터 형태 데이터는 각각의 매장 단위로 제공됩니다. 매장이 판매하는 품목에 대해 표준 품목을 분류하고, 사용되는 주요 식자재를 표준화하여 품목의 판매 수를 곱하여 해당 품목의 식자재 사용량을 산출합니다. 사용된 식자재의 단위는 g, ml 등의 표준 단위를 최대한 사용하도록 하였으나 개, 단, 줌 등의 세는 단위를 사용한 경우도 있습니다. ■ 데이터 산출 과정 1. 품목 별 표준 식자재 사용량 작성 2. 요식업 POS 매장 업종 분류 3. 매장 판매 품목 분류 4. 판매 수량을 고려하여 식자재 사용량 산출 ■ 데이터 컬럼 설명 SLE_YM(판매연월) : POS 가맹점이 영업을 실시한 년월 STR_CODE(매장코드) : POS 가맹점 구분을 위한 고유코드 GD_CODE(상품코드) : POS 가맹점 상품코드 STR_NM(매장명) : POS 가맹점 상호 TOID_CODE(업종코드) : 업종명에 대한 분류코드 TOID_NM(업종명) : POS 가맹점에 대한 업종분류(케이플러스 기준) GD_NM(상품명) : POS 기기에서 판매된 상품 이름 RWMT_NM(원재료명) : 사용된 재료 이름 AVRG_QYT(평균수량) : 추정된 원재료 평균 사용량 UNIT_NM(단위명) : 원재료를 세는 단위(개, ml, g 등)
케이플러스 - 맛집지수 및 관광지수 데이터(관광지수)
공공데이터포털
※ 본 데이터는 매 월 단위로 작성 및 배포됩니다. ■ 데이터 개요 ※ 맛집지수: 모든 요식업 POS 가맹점에 대해서 매출액을 기반으로 생성한 맛집지수 데이터입니다. 기본적으로 매출액이 큰 매장에 대해 높은 맛집지수가 산출되며, 메뉴 수가 적은 경우 약간 가산점이 부여됩니다. ※ 관광지수: 관광지수는 시군구 또는 행정동 단위의 지역 기준으로 해당 지역 내 맛집지수를 통해 산출된 데이터입니다. 기본적으로 지역 내 POS 가맹점 들의 맛집지수 평균치를 고려하며, 전국 기준 맛집지수 상위에 포함된 지역 내 가맹점 수와 비율을 가산점으로 부여하여 최종 산출됩니다. ■ 데이터 형태 ※ 맛집지수: 맛집지수 값과 맛집지수가 산출된 기준년월 데이터와 매장명, 매장코드가 제공됩니다. ※ 관광지수: 관광지수 값과 관광지수가 산출된 기준년월 데이터와 지역 이름이 제공됩니다. ■ 데이터 산출 과정 1. 요식업 POS 매장 업종 분류 2. 맛집지수 산출 3. 요식업 POS 매장의 주소를 기준으로 지역 별로 그룹화 4. 관광지수 산출 ■ 데이터 컬럼 설명 BASE_YM(기준연월) : POS 가맹점이 영업을 실시한 년월 AREA_NM(지역명) : 시/군/구 또는 동 레벨의 주소 TURSM_IDEX(관광지수) : 추정된 관광지수 값
케이플러스 - 기타업종 식자재 보고서 데이터
공공데이터포털
※ 본 데이터는 매 월 단위로 작성 및 배포됩니다. ■ 데이터 개요 모든 요식업 POS 가맹점을 케이플러스 업종 분류 모형을 이용하여 분류한 후, 식자재 사용량을 추정하였습니다. 본 데이터는 요식업 POS 가맹점 중 기타 업종(떡집, 패스트푸드, 퓨전음식, 돈까스, 덮밥, 게, 샤브샤브, 양꼬치, 분식 등)에 해당하는 매장의 식자재 사용량을 정리한 데이터입니다. ■ 데이터 형태 데이터는 각각의 매장 단위로 제공됩니다. 매장이 판매하는 품목에 대해 표준 품목을 분류하고, 사용되는 주요 식자재를 표준화하여 품목의 판매 수를 곱하여 해당 품목의 식자재 사용량을 산출합니다. 사용된 식자재의 단위는 g, ml 등의 표준 단위를 최대한 사용하도록 하였으나 개, 단, 줌 등의 세는 단위를 사용한 경우도 있습니다. ■ 데이터 산출 과정 1. 품목 별 표준 식자재 사용량 작성 2. 요식업 POS 매장 업종 분류 3. 매장 판매 품목 분류 4. 판매 수량을 고려하여 식자재 사용량 산출 ■ 데이터 컬럼 설명 SLE_YM(판매연월) : POS 가맹점이 영업을 실시한 년월 STR_CODE(매장코드) : POS 가맹점 구분을 위한 고유코드 GD_CODE(상품코드) : POS 가맹점 상품코드 STR_NM(매장명) : POS 가맹점 상호 TOID_CODE(업종코드) : 업종명에 대한 분류코드 TOID_NM(업종명) : POS 가맹점에 대한 업종분류(케이플러스 기준) GD_NM(상품명) : POS 기기에서 판매된 상품 이름 RWMT_NM(원재료명) : 사용된 재료 이름 AVRG_QYT(평균수량) : 추정된 원재료 평균 사용량 UNIT_NM(단위명) : 원재료를 세는 단위(개, ml, g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