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셋 상세
통계데이터센터
최재원 - 성・연령별 주거인구
2016년부터 2017년까지 서울/부산 정보만 제공, 2018년부터 SKT에서 추정한 전국의 건물 단위 성연령별 주거인구 데이터로 기준년도, 소지역코드, 건물관리번호, X, Y 좌표 등의 제공 데이터를 기반으로 비식별화 및 통계화하여 제공된 자료
데이터 정보
  • 데이터 포털
  • 통계데이터센터
  • META URL
  • 라이선스
  • cc-by
  • 비용
  • 제공기관
  • 관리부서
  • 데이터
연관 데이터
서울특별시 - 서울시 인구추이 (주민등록인구)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인구추이(주민등록인구) * 통계종류 : 서울시 인구추이(주민등록인구)를 제공하는 일반ㆍ보고통계 * 작성목적 : 서울지역 인구의 변동상황 및 연령구조를 파악하여 제반 행정사항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조사체계 : 행정자치부·법무부 → 서울특별시 스마트도시담당관 * 공표주기 : 정기(매분기)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및 자치구 내용 - 서울시 등록인구 및 등록외국인 추이(인구수 및 인구밀도, 고령인구 등) 현황 ○ 용어설명 * 등록인구 = 주민등록인구 + 등록외국인 * 주민등록인구는 "거주자", "거주불명자", "재외국민"이 포함 - 거주자: 거주지가 분명한 사람(재외국민 제외) - 거주불명자 : 거주사실이 불분명하여 거주불명으로 등록된 사람(2010년 1월부터 통계에 포함) - 재외국민: 외국의 영주권을 취득한(영주목적으로 외국거주 포함) 대한민국 국민으로 주민등록을 한 사람(2015년 1월부터 통계에 포함) * 등록외국인은 출입국관리법에 의해 90일 초과 장기체류자 중에서 작성기준일 현재 외국인 등록표에 등재된 자의 집계결과로서 실제로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 수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기 타 * 1958년~1965년, 1967년은 60세이상 인구 * 출생, 사망, 전입 등의 미신고, 지연·허위신고 등에 따라 실제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실제로 국내의 가족과 살고 있지 않더라도 주민등록표에 등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집계되기 때문에 상주인구 기준의 조사결과와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출 처 : 서울특별시 스마트도시담당관
서울특별시 - 서울시 인구이동(연령별/월별)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인구이동(연령별/월별) * 통계종류 : 서울시 인구이동 현황을 연령별ㆍ월별로 제공하는 지정ㆍ보고통계 * 근거법령 :「인구동태조사규칙」(재정경제부령 591호) * 작성목적 : 대한민국 국민의 지역별 인구이동량 및 이동방향 등을 파악하여 지역간의 균형적 국토개발, 교통, 교육 및 주택 등의 정책수립 자료와 지역별 인구추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조사체계 : 동 → 자치구 → 시도 → 통계청 * 공표주기 : 정기(매년, 12월 기준)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및 자치구 내용 - 연령별ㆍ월별ㆍ성별, 시도내ㆍ시도간 이동 인구수 등 ○ 용어설명 * 전입 : 행정 읍면동 경계를 넘어 다른 지역에서 특정 지역으로 이동해 온 경우 * 전출 : 행정 읍면동 경계를 넘어 특정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 이동해 간 경우 * 순이동 : 총전입-총전출 * 시도내 이동 : 이동전과 이동후의 시도는 같고 행정 읍면동이 다른 이동 - 시군구내 이동 : 시도내 이동 중에서 이동전후의 시군구는 같고 행정 읍면동이 다른 이동 - 시군구간 이동 : 시도내 이동 중에서 이동전후의 시군구가 다른 이동 * 시도간 이동 : 시도를 달리하는 이동(이동전과 이동후의 시도가 다른 경우) ○ 기타 * 주민등록 전입신고서를 기초로 집계ㆍ작성된 것으로, 이동사항의 미신고, 자연신고 및 위장신고 등으로 사실상의 이동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출 처 : 통계청 사회통계국 인구동향과
서울특별시 - 서울시 생활권계획 생활권경계 공간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서울특별시 도시계획시스템에서 제공하는 2018년기준(5년단위생성) 생활권경계 데이터입니다. 생활권경계에 대한 분류명, 고시일자, 도형데이터 등을 제공합니다. [좌표계] EPSG:5174 (Bessel 1841타원체의 TM 직각좌표계) [인코딩] windows-949 ※ 서울의 모든 공간정보는 공간정보담당관(2133-2847)을 경유하여 서울 열린데이터 광장에 제공됩니다. ※ 본 자료는 법적 효력이 없으며 참고자료로만 활용 가능합니다.
서울특별시 - 서울시 인구이동률(구별)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인구이동률(구별) * 통계종류 : 보고통계, 지정통계(승인번호 10115) * 작성목적 : 인구 이동 상황을 주기적으로 파악하여 인구정책 및 지역간 균형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 조사체계 : 주민등록전입신고 -> 통계청 * 공표주기 : 정기(매년)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및 자치구 내용 - 자치구별 성별 인구이동률 등 ○ 용어설명 * 전입 : 행정 읍면동 경계를 넘어 다른 지역에서 특정 지역으로 이동해 온 경우 * 전출 : 행정 읍면동 경계를 넘어 특정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 이동해 간 경우 * 시군구내 이동:시도내 이동 중에서 이동전후의 시군구는 같고 행정 읍면동이 다른 이동 * 시군구간 이동:시도내 이동 중에서 이동전후의 시군구가 다른 이동 * 이동률 : 주민등록연앙인구대비 이동자수 * 전입률 : 전입자수/연앙인구*100 * 전출률 : 전출자수/연앙인구*100 * 순이동률 : 순이동자수/연앙인구*100(=전입률-전출률) ※ 주민등록연앙인구 : [연초 주민등록인구+연말 주민등록인구]/2 ○ 기 타 * 국내인구이동통계는 주민등록 전입신고서를 기초로 집계ㆍ작성된 것으로, 이동 사항의 미신고, 지연신고 및 위장신고 등으로 사실상의 이동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이동률 산출은 주민등록인구를 기준으로 하였으므로 인구주택총조사 인구나 추계인구 등을 기준으로 할 때와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출 처 : 통계청「인구이동통계연보」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빈집현황
공공데이터포털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빈집 현황 정보입니다. 빈집이 위치한 자치구명, 해당동, 용도지역, 주택유형 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서대문구 고시원 현황
공공데이터포털
서대문구 고시원 정보에 대한 데이터로 상호명, 주소를 포함하여 제공합니다. 2020년 1월 1일자 데이터입니다.
서울특별시 - 서울시 인구이동 (구별/월별)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인구이동(구별/월별) * 통계종류 : 서울시 인구이동 현황을 구별ㆍ월별로 제공하는 지정ㆍ보고통계 * 근거법령 :「인구동태조사규칙」(재정경제부령 591호) * 작성목적 : 대한민국 국민의 지역별 인구이동량 및 이동방향 등을 파악하여 지역간의 균형적 국토개발, 교통, 교육 및 주택 등의 정책수립 자료와 지역별 인구추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조사체계 : 동 → 자치구 → 시도 → 통계청 * 공표주기 : 정기(매년, 12월 기준)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및 자치구 내용 - 자치구별ㆍ월별ㆍ성별, 시도내ㆍ시도간 이동 인구수 등 ○ 용어설명 * 전입 : 행정 읍면동 경계를 넘어 다른 지역에서 특정 지역으로 이동해 온 경우 * 전출 : 행정 읍면동 경계를 넘어 특정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 이동해 간 경우 * 순이동 : 총전입-총전출 * 시도내 이동 : 이동전과 이동후의 시도는 같고 행정 읍면동이 다른 이동 - 시군구내 이동 : 시도내 이동 중에서 이동전후의 시군구는 같고 행정 읍면동이 다른 이동 - 시군구간 이동 : 시도내 이동 중에서 이동전후의 시군구가 다른 이동 * 시도간 이동 : 시도를 달리하는 이동(이동전과 이동후의 시도가 다른 경우) ○ 기타 * 주민등록 전입신고서를 기초로 집계ㆍ작성된 것으로, 이동사항의 미신고, 자연신고 및 위장신고 등으로 사실상의 이동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출 처 : 통계청 사회통계국 인구동향과
[SKT]서울특별시-은평구[11380] 201912 서비스인구
공공데이터포털
SK텔레콤 기지국 데이터를 GIRAF에서 수집, 가공하여 공간통계로서 해당 지역 내의 총인구, 거주인구, 방문인구, 근무자 인구를 추정 제공합니다. 해당 데이터는 전체 MS 50%를 차지하는 고객의 네트워크 데이터를 기초로, 통계청 등 공공데이터를 결합, 전국 250개 시군구 단위로 가공되었습니다. 50M 의 가상격자 내에 존재하는 인구수를 월별/성연령별/목적별(거주,직장 등) 로 집계하여 전체 인구 기준으로 환산하였으며, 세부항목은 거주인구 (야간체류) / 직장인구 (주간체류) / 유입인구 ( 거주와 직장을 제외한 순수방문인구 ) 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세개의 필드를 합산하면 해당 장소에 존재하는 전체 인구를 추정 가능합니다. (시간대별, 일별, 요일별 데이터가 필요하신 경우 별도 요청을 부탁드립니다) GIRAF는 Geo Intelligence Rapid Analytic Framework의 약자로 SK텔레콤의 가장 스마트한 위치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입니다. SK텔레콤의 GIRAF 데이터를 활용하면 시간대 별 해당지역 존재인구 추이를 볼 수 있고, 평일과 공휴일의 유동인구 비교 분석이 가능하며 지역내 거주인구 특성을 이해할 수 있고, 유동인구의 추이를 파악 가능합니다.
[SKT]서울특별시-동대문구[11230] 201912 서비스인구
공공데이터포털
SK텔레콤 기지국 데이터를 GIRAF에서 수집, 가공하여 공간통계로서 해당 지역 내의 총인구, 거주인구, 방문인구, 근무자 인구를 추정 제공합니다. 해당 데이터는 전체 MS 50%를 차지하는 고객의 네트워크 데이터를 기초로, 통계청 등 공공데이터를 결합, 전국 250개 시군구 단위로 가공되었습니다. 50M 의 가상격자 내에 존재하는 인구수를 월별/성연령별/목적별(거주,직장 등) 로 집계하여 전체 인구 기준으로 환산하였으며, 세부항목은 거주인구 (야간체류) / 직장인구 (주간체류) / 유입인구 ( 거주와 직장을 제외한 순수방문인구 ) 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세개의 필드를 합산하면 해당 장소에 존재하는 전체 인구를 추정 가능합니다. (시간대별, 일별, 요일별 데이터가 필요하신 경우 별도 요청을 부탁드립니다) GIRAF는 Geo Intelligence Rapid Analytic Framework의 약자로 SK텔레콤의 가장 스마트한 위치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입니다. SK텔레콤의 GIRAF 데이터를 활용하면 시간대 별 해당지역 존재인구 추이를 볼 수 있고, 평일과 공휴일의 유동인구 비교 분석이 가능하며 지역내 거주인구 특성을 이해할 수 있고, 유동인구의 추이를 파악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