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자연도는 전 국토의 산·하천·내륙습지·호소·농지·도시 등의 자연환경을 생태적 가치, 자연성, 경관적 가치 등에 따라 등급화하여 「자연환경보전법」 제34조의 규정에 의해 작성된 지도를 말한다. 국립생태원에서는 자체수행중인 전국자연환경조사 및 유관기관의 생태분야 조사자료를 수집하여 공간데이터를 구축하고, 작성지침에 따라 생태·자연도를 작성한다. 생태·자연도는 세부적으로 “식생, 습지, 지형, 멸종위기 야생생물” 항목을 기준으로 작성한다. 이렇게 작성된 생태·자연도는 각종 개발계획의 수립 및 환경영향평가 등에 활용되고 있다. 국립생태원에서는 전국자연환경조사 결과를 반영한 전국 800개 도엽의 생태·자연도를 고시하였으며, 고시된 생태·자연도와 평가 정보는 국립생태원 생태정보포털시스템(에코뱅크)를 통해 GIS공간데이터(SHP) 및 오픈 API형태로 제공하고 있다.
국립생태원 자연환경조사 정보(지형 식생 동식물)
공공데이터포털
전국자연환경조사 9개 분류군(곤충, 조류, 어류, 포유류, 양서파충류, 저서무척추동물, 지형, 식생, 식물상) 조사 결과를 제공합니다.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환경영향평가 동식물상정보
공공데이터포털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의 환경영향평가 사업 중 동식물상 녹지자연도, 조사, 조사자, 조사범위의 속성정보 제공 및 공간정보(조사지점)에 대해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조사속성에는 조사차수, 조사지점, 주소, 좌표와 함께 동식물상 정보(식물상/포유류/조류/양서파충류/곤충류/어류/저서생물(동물) 국명 목록, 식물상/포유류/조류/양서파충류/곤충류/어류/저서생물(동물) 학명 목록)를 포함하며, 조사범위속성은 조사에 대한 시물상조사유무, 포유류조사유무, 양서파충류조사유무, 곤충류조사유무, 어류조사유무, 저서생물(동물)유무정보를 제공합니다. 녹지자연도에는 사업시행전 후의 녹지자연도(면적), 녹지자연도(비율) 등급을 제공하며 훼손수목량(주), 재활용 이식수목량(주) 등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조사지점에 대한 공간정보는 WMS 및 WFS 형태로 제공되며, 사용자는 좌표체계, 반환 이미지 타입, 배경 이미지 포함 여부, 이미지 너비/높이 등의 설정을 통해 특정 좌표 기준의 동식물상 조사지점 포인트 이미지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생태·자연도는 전 국토의 산·하천·내륙습지·호소·농지·도시 등의 자연환경을 생태적 가치, 자연성, 경관적 가치 등에 따라 등급화하여 「자연환경보전법」 제34조의 규정에 의해 작성된 지도를 말한다. 국립생태원에서는 자체수행중인 전국자연환경조사 및 유관기관의 생태분야 조사자료를 수집하여 공간데이터를 구축하고, 작성지침에 따라 생태·자연도를 작성한다. 생태·자연도는 세부적으로 “식생, 습지, 지형, 멸종위기 야생생물” 항목을 기준으로 작성한다. 이렇게 작성된 생태·자연도는 각종 개발계획의 수립 및 환경영향평가 등에 활용되고 있다. 국립생태원에서는 전국자연환경조사 결과를 반영한 전국 800개 도엽의 생태·자연도를 고시하였으며, 고시된 생태·자연도와 평가 정보는 국립생태원 생태정보포털시스템(에코뱅크)를 통해 GIS공간데이터(SHP) 및 오픈 API형태로 제공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