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전국오염원조사 통계자료
공공데이터포털
매년 전국 광역지자체(17개). 기초지자체(229개)에서 제출한 자료를 바탕으로 국립환경과학원에서 통계자료 등과 비교·검토하여 확정한 자료임. 조사항목은 생활계(인구수/물사용량), 축산계(농가수/사육두수), 산업계, 토지계, 양식계, 매립계, 환경기초시설, 기타수질오염원 8개 항목에 대하여 조사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전국오염원 조사자료
공공데이터포털
매년 전국 광역지자체(17개). 기초지자체(229개)에서 제출한 자료를 바탕으로 국립환경과학원에서 통계자료 등과 비교·검토하여 확정한 자료임. 조사항목은 생활계, 축산계, 산업계, 토지계(국토부자료), 양식계, 매립계, 환경기초시설, 기타수질오염원 8개 항목에 대하여 조사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전국오염원조사시스템 환경기초시설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매년 전국 광역지자체(17개), 기초지자체(229개)의 시도별, 시군구별 및 4대강 수계별 매립장, 하수종말, 마을하수도, 분뇨처리, 가축분뇨, 산업단지폐수종말, 농공단지폐수종말처리시설수를 조사하여 비교 검토한 데이터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전국오염원조사 토지계통계
공공데이터포털
매년 전국 광역지자체(17개), 기초지자체(229개)의 시도별, 시군구별 및 4대강 수계별 전(밭), 답(논), 임야, 대지, 기타 토지에 대한 면적을 조사하여 비교 검토한 데이터
생태·자연도는 전 국토의 산·하천·내륙습지·호소·농지·도시 등의 자연환경을 생태적 가치, 자연성, 경관적 가치 등에 따라 등급화하여 「자연환경보전법」 제34조의 규정에 의해 작성된 지도를 말한다. 국립생태원에서는 자체수행중인 전국자연환경조사 및 유관기관의 생태분야 조사자료를 수집하여 공간데이터를 구축하고, 작성지침에 따라 생태·자연도를 작성한다. 생태·자연도는 세부적으로 “식생, 습지, 지형, 멸종위기 야생생물” 항목을 기준으로 작성한다. 이렇게 작성된 생태·자연도는 각종 개발계획의 수립 및 환경영향평가 등에 활용되고 있다. 국립생태원에서는 전국자연환경조사 결과를 반영한 전국 800개 도엽의 생태·자연도를 고시하였으며, 고시된 생태·자연도와 평가 정보는 국립생태원 생태정보포털시스템(에코뱅크)를 통해 GIS공간데이터(SHP) 및 오픈 API형태로 제공하고 있다.
㈜지오시스템리서치 - 전국연안 지점별 침식등급
공공데이터포털
내용 : 전국 360개소 지역의 침식등급 평가 결과 원자료 : 측량자료, 침식현황, 피해현황 데이터가공방법 : 5가지 평가항목(해빈폭, 해빈단면적, 국부침식, 침식변동률, 침식피해)을 평가하여 평가등급(A(양호), B(보통), C(우려), D(심각)) 산출 특징 및 활용방법 : 각 대상지역의 연도별 침식변화, 지자체 및 해역별 연도별 침식변화에 대하여 통계자료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