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셋 상세
공공데이터포털
서울특별시 자치구별 경제활동별 지역내총부가가치 및 요소소득(2015년 기준) 통계
2015년을 기준으로 합니다. 서울시 자치구별 지역내총생산, 1인당 지역내총생산 현황을 제공하는 일반‧가공통계입니다.서울시 자치구별 지역내총생산, 1인당 지역내총생산, 수준지수 등을 제공합니다.
데이터 정보
연관 데이터
서울특별시 자치구별 지역내 총생산
공공데이터포털
자치구별 지역내총생산(2015년 기준)입니다. 서울시 자치구별 지역내총생산 현황을 제공하는 일반‧가공통계입니다. 지역내총생산 분석을 통해, 지역경제의 생산규모 및 지출수준, 소득수준, 산업구조 등을 파악합니다.
서울특별시 - 서울시 자치구별 지역내총부가가치(2015년 기준)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자치구별 지역내총부가가치(2015년 기준) * 통계종류 : 서울시 자치구별 지역내총부가가치 현황을 제공하는 일반?가공통계 * 작성목적 : 서울시 자치구별 지역내총생산 분석을 통해, 지역경제의 생산규모 및 지출수준, 소득수준, 산업구조 등을 파악하여 지역 경제분석 및 정책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및 자치구 내용 - 서울시 자치구별 지역내총부가가치 현황 ○ 용어설명 * 지역내총생산(시장가격) = 지역내총부가가치(기초가격) + 순생산물세 * 당해년가격과 기준년가격 - 당해년가격 : 당해연도의 경상가격으로 평가, 지역경제의 구조변동이나 지역소득을 구성하는 각 요소들의 중요성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어떻게 변동하는가를 분석하고자 할 경우 이용 - 기준년가격 : 어느 특정 년(통상 끝자리 0,5자 연도)도의 가격으로 평가, 장기간에 걸친 물량수준 및 구조변동을 관찰할 경우 이용 ○ 기 타 * 「서울시 지역내총생산(GRDP)」은 통계청 「시·도별 지역내총생산」의 추계시 이용되는 자료와 일부 상이하나, 자료의 일관성을 위해 시 총생산 규모를 일치시켰음 * 지역내총생산(GRDP)은 생산측면의 부가가치를 파악한 것이며, 각 구에서 경제활동별로 얼마만큼의 부가가치가 발생되었는가를 나타내는 지표임. 소득 및 생활수준 등의 비교자료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함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 처 : 스마트도시담당관 「서울특별시 지역내총생산」
서울특별시 - 서울시 자치구별 지역내총생산(2015년 기준)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자치구별 지역내총생산(2015년 기준) * 통계종류 : 서울시 자치구별 지역내총생산 현황을 제공하는 일반?가공통계 * 작성목적 : 서울시 자치구별 지역내총생산 분석을 통해, 지역경제의 생산규모 및 지출수준, 소득수준, 산업구조 등을 파악하여 지역 경제분석 및 정책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및 자치구 내용 - 서울시 자치구별 지역내총생산 현황 ○ 용어설명 * 지역내총생산(시장가격) = 지역내총부가가치(기초가격) + 순생산물세 * 당해년가격과 기준년가격 - 당해년가격 : 당해연도의 경상가격으로 평가, 지역경제의 구조변동이나 지역소득을 구성하는 각 요소들의 중요성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어떻게 변동하는가를 분석하고자 할 경우 이용 - 기준년가격 : 어느 특정 년(통상 끝자리 0,5자 연도)도의 가격으로 평가, 장기간에 걸친 물량수준 및 구조변동을 관찰할 경우 이용 ○ 기 타 * 「서울시 지역내총생산(GRDP)」은 통계청 「시·도별 지역내총생산」의 추계시 이용되는 자료와 일부 상이하나, 자료의 일관성을 위해 시 총생산 규모를 일치시켰음 * 지역내총생산(GRDP)은 생산측면의 부가가치를 파악한 것이며, 각 구에서 경제활동별로 얼마만큼의 부가가치가 발생되었는가를 나타내는 지표임. 소득 및 생활수준 등의 비교자료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함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 처 : 스마트도시담당관 「서울특별시 지역내총생산」
서울특별시 자치구별 지역내총부가가치
공공데이터포털
2015년을 기준으로 한 서울시 자치구별 지역내총부가가치 현황을 제공하는 일반‧가공통계입니다. 서울시 자치구별 지역내총생산에 대한 분석으로 지역경제의 생산규모 및 지출수준, 소득수준, 산업구조 등을 파악하는 자료를 제공합니다.
서울특별시 - 서울시 자치구별/경제활동별 지역내총부가가치(기준년가격)(2015년 기준)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자치구별/경제활동별 지역내총부가가치(기준년가격)(2015년 기준) * 통계종류 : 서울시 자치구별, 경제활동별 지역내총부가가치 현황을 제공하는 일반?가공통계 * 작성목적 : 서울시 자치구별 지역내총생산 분석을 통해, 지역경제의 생산규모 및 지출수준, 소득수준, 산업구조 등을 파악하여 지역 경제분석 및 정책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및 자치구 내용 - 서울시 자치구별, 경제활동별 지역내총부가가치 현황 ○ 용어설명 * 지역내총생산(시장가격) = 지역내총부가가치(기초가격) + 순생산물세 * 당해년가격과 기준년가격 - 당해년가격 : 당해연도의 경상가격으로 평가, 지역경제의 구조변동이나 지역소득을 구성하는 각 요소들의 중요성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어떻게 변동하는가를 분석하고자 할 경우 이용 - 기준년가격 : 어느 특정 년(통상 끝자리 0,5자 연도)도의 가격으로 평가, 장기간에 걸친 물량수준 및 구조변동을 관찰할 경우 이용 ○ 기 타 * 「서울시 지역내총생산(GRDP)」은 통계청 「시·도별 지역내총생산」의 추계시 이용되는 자료와 일부 상이하나, 자료의 일관성을 위해 시 총생산 규모를 일치시켰음 * 지역내총생산(GRDP)은 생산측면의 부가가치를 파악한 것이며, 각 구에서 경제활동별로 얼마만큼의 부가가치가 발생되었는가를 나타내는 지표임. 소득 및 생활수준 등의 비교자료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함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출 처 : 스마트도시담당관 「서울특별시 지역내총생산」
서울특별시 - 서울시 경제활동별 지역내총생산 (당해년가격)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경제활동별 지역내총생산(당해년가격) * 통계종류 : 지정, 가공통계(승인번호 101028) * 작성목적 : 지역경제의 생산 규모 및 지출수준, 소득수준, 산업구조 등을 파악하여 지역 경제분석 및 정책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조사체계 : 통계청(기초자료수집→전산처리→결과분석→공표) * 공표주기 : 정기(매년)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내용 - 서울시 당해년가격 경제활동별 지역내총생산 현황 ○ 용어설명 * 지역내총생산(GRDP) : 일정기간 동안에 일정 지역내에서 새로이 창출된 부가가치의 합 * 당해년가격과 기준년가격 - 당해년가격 : 당해연도의 경상가격으로 평가, 지역경제의 구조변동이나 각 요소들의 중요성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어떻게 변동하는가를 분석하고자 할 때 사용 - 기준년가격 : 어느 특정년도(통상 끝자리 0,5자 연도)의 가격으로 평가, 물가의 변동에 따른 요인을 배제하여 장기간에 걸친 물량수준의 변동 등을 분석하고자 할때 사용 ○ 기 타 * 지역내총생산은 각 시ㆍ도별 생산측면의 부가가치를 파악한 것으로써 소득 및 생활수준 등의 비교자료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함 * 2010년 기준 개편 * 연쇄가중법(기준년이 매년 직전년도로 변경되어 실질 GRDP를 구하는 것)을 도입하여 실질 GRDP 추계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개별 구성항목의 연쇄금액은 구성항목 내에서의 상대적 중요도를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상대 비교 시에는 주의를 요함 * 경제활동별 지역내총생산은 한국표준산업분류(9차)를 준용하여 추계하고 있으며, 다만 아래부문은 대분류를 통합.공표하였음 ** 사업서비스업 : M 전문,과학및기술 서비스업, N 사업시설관리및사업지원 서비스업 **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 : R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E 하수.폐기물 처리, 원료재생 및 환경복원업, S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 97 가구내 고용활동 * 통계표상의 수치는 반올림한 것이므로 세항목의 합계와 총합계가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기초자료 수정에 따라 이전에 발간된 보고서의 금액이 다소 수정될 수 있음 ○ 출 처 : 통계청 소득통계과 ○ 담 당 : 서울특별시 스마트도시담당관
서울특별시 - 서울시 자치구별/경제활동별 지역내총부가가치(당해년가격)(2015년 기준)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자치구별/경제활동별 지역내총부가가치(당해년가격) (2015년 기준) * 통계종류 : 서울시 자치구별, 경제활동별 지역내총부가가치 현황을 제공하는 일반?가공통계 * 작성목적 : 서울시 자치구별 지역내총생산 분석을 통해, 지역경제의 생산규모 및 지출수준, 소득수준, 산업구조 등을 파악하여 지역 경제분석 및 정책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및 자치구 내용 - 서울시 자치구별, 경제활동별 지역내총부가가치 현황 ○ 용어설명 * 지역내총생산(시장가격) = 지역내총부가가치(기초가격) + 순생산물세 * 당해년가격과 기준년가격 - 당해년가격 : 당해연도의 경상가격으로 평가, 지역경제의 구조변동이나 지역소득을 구성하는 각 요소들의 중요성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어떻게 변동하는가를 분석하고자 할 경우 이용 - 기준년가격 : 어느 특정 년(통상 끝자리 0,5자 연도)도의 가격으로 평가, 장기간에 걸친 물량수준 및 구조변동을 관찰할 경우 이용 ○ 기 타 * 「서울시 지역내총생산(GRDP)」은 통계청 「시·도별 지역내총생산」의 추계시 이용되는 자료와 일부 상이하나, 자료의 일관성을 위해 시 총생산 규모를 일치시켰음 * 지역내총생산(GRDP)은 생산측면의 부가가치를 파악한 것이며, 각 구에서 경제활동별로 얼마만큼의 부가가치가 발생되었는가를 나타내는 지표임. 소득 및 생활수준 등의 비교자료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함 ○ 출 처 : 스마트도시담당관 「서울특별시 지역내총생산」
서울특별시 - 서울시 경제활동별 지역내총생산 (기준년가격)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경제활동별 지역내총생산(기준년가격) * 통계종류 : 지정, 가공통계(승인번호 101028) * 작성목적 : 지역경제의 생산 규모 및 지출수준, 소득수준, 산업구조 등을 파악하여 지역경제분석 및 정책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조사체계 : 통계청(기초자료수집→전산처리→결과분석→공표) * 공표주기 : 정기(매년)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내용 - 서울시 기준년가격 경제활동별 지역내총생산 현황 ○ 용어설명 * 지역내총생산(GRDP) : 일정기간 동안에 일정 지역내에서 새로이 창출된 부가가치의 합 * 당해년가격과 기준년가격 - 당해년가격 : 당해연도의 경상가격으로 평가, 지역경제의 구조변동이나 각 요소들의 중요성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어떻게 변동하는가를 분석하고자 할 때 사용 - 기준년가격 : 어느 특정년도(통상 끝자리 0,5자 연도)의 가격으로 평가, 물가의 변동에 따른 요인을 배제하여 장기간에 걸친 물량수준의 변동 등을 분석하고자 할때 사용 ○ 기 타 * 지역내총생산은 각 시ㆍ도별 생산측면의 부가가치를 파악한 것으로써 소득 및 생활수준 등의 비교자료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함 * 2010년 기준 개편 * 연쇄가중법(기준년이 매년 직전년도로 변경되어 실질 GRDP를 구하는 것)을 도입하여 실질 GRDP 추계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개별 구성항목의 연쇄금액은 구성항목 내에서의 상대적 중요도를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상대 비교 시에는 주의를 요함 * 경제활동별 지역내총생산은 한국표준산업분류(9차)를 준용하여 추계하고 있으며, 다만 아래부문은 대분류를 통합.공표하였음 ** 사업서비스업 : M 전문,과학및기술 서비스업, N 사업시설관리및사업지원 서비스업 **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 : R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E 하수.폐기물 처리, 원료재생 및 환경복원업, S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 97 가구내 고용활동 * 통계표상의 수치는 반올림한 것이므로 세항목의 합계와 총합계가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기초자료 수정에 따라 이전에 발간된 보고서의 금액이 다소 수정될 수 있음 ○ 출 처 : 통계청 소득통계과
서울특별시 - 서울시 지역내총생산에 대한 지출 (기준년가격)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지역내총생산에 대한 지출(기준년가격) * 통계종류 : 지정, 가공통계 * 작성목적 : 지역경제의 생산 규모 및 지출수준, 소득수준, 산업구조 등을 파악하여 지역 경제분석 및 정책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조사체계 : 통계청 * 공표주기 : 정기(매년)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내용 - 기준년가격 지역내총생산에 대한 지출(최종소비지출 등) 현황 ○ 용어설명 * 지역내총생산(GRDP) : 일정기간 동안에 일정 지역내에서 새로이 창출된 부가가치의 합 * 당해년가격과 기준년가격 - 당해년가격 : 당해연도의 경상가격으로 평가, 지역경제의 구조변동이나 각 요소들의 중요성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어떻게 변동하는가를 분석하고자 할 때 사용 - 기준년가격 : 어느 특정년도(통상 끝자리 0,5자 연도)의 가격으로 평가, 물가의 변동에 따른 요인을 배제하여 장기간에 걸친 물량수준의 변동 등을 분석하고자 할때 사용 ○ 기 타 * 지역내총생산은 각 시ㆍ도별 생산측면의 부가가치를 파악한 것으로써 소득 및 생활수준 등의 비교자료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함 * 불변(기준년)가격은 기준년도의 상대적 가격지수를 이용하여 부가가치 변동을 조정, 년도별 비교자료로 사용 * 2010년 기준 개편 * 연쇄가중법(기준년이 매년 직전년도로 변경되어 실질 GRDP를 구하는 것)을 도입하여 실질 GRDP 추계 * 연쇄가중법에 의해 추계된 실질 GRDP는 비가법적 특성에 의해 총량(또는 상위부문) 금액과 그 구성항목 금액의 합이 일치하지 않음 * 개별 구성항목의 연쇄금액은 구성항목 내에서의 상대적 중요도를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상대 비교 시에는 주의를 요함 * 1인당민간최종소비지출액(천원) : 민간최종소비지출 ÷ 추계인구 × 1000 ○ 출 처 : 통계청 소득통계과
서울특별시 - 서울시 자치구별 지역내총생산(2010년 기준)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자치구별 지역내총생산 * 통계종류 : 서울시 자치구별 지역내총생산 현황을 제공하는 일반?가공통계 * 작성목적 : 서울시 자치구별 지역내총생산 분석을 통해, 지역경제의 생산규모 및 지출수준, 소득수준, 산업구조 등을 파악하여 지역 경제분석 및 정책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및 자치구, 내용 - 서울시 자치구별 지역내총생산 현황 ○ 용어설명 * 지역내총생산(시장가격) = 지역내총부가가치(기초가격) + 순생산물세 * 당해년가격과 기준년가격 - 당해년가격 : 당해연도의 경상가격으로 평가, 지역경제의 구조변동이나 지역소득을 구성하는 각 요소들의 중요성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어떻게 변동하는가를 분석하고자 할 경우 이용 - 기준년가격 : 어느 특정 년(통상 끝자리 0,5자 연도)도의 가격으로 평가, 장기간에 걸친 물량수준 및 구조변동을 관찰할 경우 이용 ○ 기 타 * 2019년 2월 공표한 서울시 자치구별 지역내총생산(2010-2016년) 자료임 * 「서울시 지역내총생산(GRDP)」은 통계청 「시·도별 지역내총생산」의 추계시 이용되는 자료와 일부 상이하나, 자료의 일관성을 위해 시 총생산 규모를 일치시켰음 * 지역내총생산(GRDP)은 생산측면의 부가가치를 파악한 것이며, 각 구에서 경제활동별로 얼마만큼의 부가가치가 발생되었는가를 나타내는 지표임. 소득 및 생활수준 등의 비교자료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함 ○ 출 처 : 스마트도시담당관 「서울특별시 지역내총생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