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셋 상세
공공데이터포털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환경보건종합정보시스템 환경보건분야 국내 연구논문 목록
2015년부터 2022년까지의 환경보건분야 국내 연구논문 목록(번호 ,구분,논문명,핵심키워드,연관키워드,저자명 등)을 제공
데이터 정보
연관 데이터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연도별 사업장별 환경정보공개
공공데이터포털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환경정보공개시스템 환경정보공개 기업의 공개정보데이터(사업장, 주요생산품 등) 2021년도 정보 입니다.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세탁세제 소분 리필 판매기 매장 위치
공공데이터포털
본 데이터는 생활화학제품 \"안전·환경 실속형 가치소비\" 시범사업을 통한 생활화학제품의 안전성 확보, 용기 재활용을 통한 생활화학제품 안전사고 방지, 자원 절약 활성화 목적의 세탁세제 소분 리필을 하는 판매점 위치를 제공(2021년 6월 기준/ 지점명,시범기간 시작일,시범기간 종료일,운영 시작일,위치,데이터기준일,협력기관 등) 합니다.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석면피해(특별유족) 연도별 인정 현황
공공데이터포털
본 데이터는 석면피해구제시스템(adrc.or.kr)에서 담당하는 석면피해 및 특별유족 인정현황에 대해 비식별화 처리를 통해 제공하는 가공 데이터입니다. 활용자께서는 기준일자를 꼭 확인바랍니다.해당데이터 포함 기간 2011년 ~2024년 10월 23일입니다.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환경보건종합정보시스템 환경보건분야 연구개발 사업공고 및 입찰정보 목록
공공데이터포털
2019년도부터 2023년 6월까지의 환경보건분야 연구개발 사업 공고 목록(번호,사업분야,공고기관명,과제명,공고기간,진행상태 등)을 제공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환경책임투자종합플랫폼 분야별 환경정보공개항목
공공데이터포털
본 데이터는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환경책임투자종합플랫폼(https://www.gmi.go.kr)에서 제공 및 실시하는 환경정보공개제도 관련하여, 2021년 1월 기준의 분야별 환경정보 등록기업(공개항목, 제조, 공공행정, 교육서비스, 보건, 기타 서비스 등)의 정보공개 대상 세부항목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인검증 환경신기술 활용 실적 목록 현황
공공데이터포털
인검증 환경신기술 활용 실적 목록 현황(2020-10-26 기준 / 기술명, 실적제출년도, 적용건수, 사용공정, 사용제품명 등)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환경책임투자 업종별 환경정보
공공데이터포털
본 데이터는 환경책임투자 모듈에서 업종별·연도별 환경 지표를 제공합니다. ‘공개년도’, ‘업종코드’, ‘용수사용량(㎥)’, ‘에너지사용량(GJ)’, ‘대기오염물질배출량(kg)’, ‘수질오염물질배출량(kg)’, ‘폐기물발생량(톤)’, ‘화학물질배출량(kg)’, ‘용수재활용량(㎥)’, ‘폐기물재활용량(톤)’ 등 11개 필드를 포함하며, 업종별 자원 소비와 오염 배출 현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 습니다. 업종 간 비교 분석, 시계열 추이 시각화, 친환경 기술 도입 효과 평가, ESG 보고서 작성, 정책 성과 모니터링, 자원 효율화 전략 수립 등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환경책임투자 종합플랫폼 메뉴 제공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본 데이터는 환경산업기술원이 제공하는 환경책임투자 종합플랫폼의 메뉴 구조와 메타데이터를 수록한 공공데이터입니다. 이 데이터에는 ‘메뉴명’, ‘메뉴설명’, ‘참조주소(URL)’, ‘노출여부’, ‘삭제여부’, ‘메뉴코드’, ‘메뉴평가등급(평점)’, ‘메뉴깊이’, ‘부모메뉴’ 등 13개 필드를 포함하며, 플랫폼 내 기능별 메뉴 계층과 접근 경로를 체계적으로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UX/UI 설계 최적화, 메뉴 변경 이력 관리, 권한 체계 구축, API 연동 설계, 사용자 가이드 제작, 대시보드 설계 및 모니터링 자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환경책임투자 산업별 환경오염 자가진단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본 데이터는 환국환경산업기술원의 환경책임투자시스템에서 산업별 자가진단한 환경오염 현황 및 평가 점수를 제공합니다. ‘산업코드’, ‘산업구분’, ‘온실가스점수’, ‘대기오염점수’, ‘용수점수’, ‘ 폐기물점수’, ‘평균점수’, ‘배출량1’~배출량4’, ‘배출량점수1’~배출량점수4’ 등 16개 필드를 포함하며, 산업별 환경 성과를 다각도로 정량 평가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고위험 산업 식별, 환경 리스크 관리 모델 개발, 정책 인센티브 설계,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작성, 내부 감사체계 구축, 산업 간 벤치 마킹 등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