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셋 상세
공공데이터포털
국립중앙의료원 연령별 집중검진 대상자 조기검진 사업 이용자 수
연령별 집중검진 대상자의 치매 조기검진 사업 이용자 수를 제공합니다.* 집중검진 대상자: 75세 진입 노인 및 75세 이상 독거노인■ 데이터 출처- 치매안심통합관리시스템- 퇴록자는 제외함■ 데이터 기준- 2024년 12월 31일■ 제공 항목- 연령 구분- 조기검진 사업 이용자 중 75세 이상 독거노인 수- 조기검진 사업 이용자 중 당해연도 주민등록상 만 75세 진입 노인 수- 계(75세 이상 독거노인 및 당해연도 주민등록상 만 75세 진입 노인 중 중복 대상자를 제외한 인원)■ 연령 구분- 75~79세- 80~84세- 85~89세- 90세 이상
데이터 정보
연관 데이터
국립중앙의료원 배회가능 어르신 인식표 보급 사업 대상자 수
공공데이터포털
연도별, 연령별 배회가능 어르신 인식표 보급 사업의 대상자 수를 제공합니다.■ 데이터 출처- 치매안심통합관리시스템- 서비스 신청일을 기준으로 산출하였으며, 퇴록자는 제외함■ 데이터 기간- 2020년 ~ 2024년■ 제공 항목- 연령 구분- 2020년 인식표 보급 사업 대상자 수- 2021년 인식표 보급 사업 대상자 수- 2022년 인식표 보급 사업 대상자 수- 2023년 인식표 보급 사업 대상자 수- 2024년 인식표 보급 사업 대상자 수■ 연령 구분- 60세 미만- 60~64세- 65~69세- 70~74세- 75~79세- 80세 이상
국립중앙의료원 치매검사비 지원 대상자 수
공공데이터포털
연도별, 연령별 치매검사비를 지원받은 대상자의 수를 제공합니다.■ 데이터 출처- 치매안심통합관리시스템- 서비스 신청일을 기준으로 산출하였으며, 퇴록자는 제외함■ 데이터 기간- 2020년 ~ 2024년■ 제공 항목- 연령 구분- 2020년 치매검사비 지원 대상자 수- 2021년 치매검사비 지원 대상자 수- 2022년 치매검사비 지원 대상자 수- 2023년 치매검사비 지원 대상자 수- 2024년 치매검사비 지원 대상자 수■ 연령 구분- 60세 미만- 60~64세- 65~69세- 70~74세- 75~79세- 80세 이상
연세대학교원주산학협력단 - 평창 코호트 추적 조사 데이터 일반정보 및 과거력
공공데이터포털
[개요] - 평창 농촌에 거주하는 40세 이상 남녀 일반인을 대상자로 구성한 코호트 대상자를 약 10년간의 추적조사한 데이터 - 조사 대상자의 직업과 심뇌혈관질환 및 만성질환의 진단 여부를 포함 [특징] - 한국인의 질병 부담이 가장 큰 심혈관질환 및 만성질환을 중심으로 코호트 구축 [제공항목] - 심뇌혈관질환 및 만성질환의 진단여부(과거력) - 나이, 성별 - 직업 [활용예시] - 개인별 질환 발생 가능성 예측 서비스 - 만성질환 발생가능성 기반 맞춤형 운동/식단 관리 서비스 제공 - 만성질환 발생 가능성 높은 환자 대상 타켓마케팅 서비스 [데이터 상품성] ㅇ 임상시험을 통해 획득된 실생활 데이터 - 의료기관이 진행한 임상시험을 통해 획득한 신뢰성을 갖춘 데이터 - 일상생활에서 반복적으로 기록한 실생활 데이터(real world data) ㅇ 활용성 높은 데이터 - 각종 만성질환 관리 및 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활용이 가능한 데이터 - 특정 질환군을 대상으로 모여진 활용가치를 갖는 데이터 ㅇ 대표성과 희귀성을 갖춘 데이터 - 데이터 마트나 타 플랫폼에서 쉽게 구하기 어려운 희귀성 있는 데이터 - 다양한 범위의 대사증후군 환자로부터 얻어진 대표성을 갖는 데이터 ※ 맞춤 데이터 안내 해당 코호트에 대한 과거력, 가족력, 식습관, 식품섭취빈도, 우울증, 혈액검사, 신체계측 데이터 등 다양한 데이터를 보유 중입니다. 데이터 사용 목적에 맞게 컬럼을 구성하여 별도의 데이터 상품 생산이 가능합니다. 맞춤 데이터 구매를 희망하실 경우, [데이터 개방 요청] 게시판 또는 [Q&A] 게시판에 문의 주시기 바랍니다. (요청 사항 검토 후 제공 불가능한 경우, 제공이 불가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