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 - 장소별 화재발생(소방서별)(1993~2008)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장소별 화재발생(소방서별) * 통계종류 : 소방서별 화재발생 건수를 발생장소별로 제공하는 일반ㆍ보고통계 * 작성목적 : 화재발생 건수를 주거, 비주거, 임야 등 장소별 정보(소방서별)를 제공하여 사고 방지 및 대응 등 효과적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조사체계 : 소방서 → 서울소방재난본부 재난대응과 * 공표주기 : 정기(매년, 12월 기준) * 공표범위 : 지역 - 자치구 및 소방서 내용 - 화재발생 장소(주거, 비주거, 임야 등)별 화재발생 건수 등 ○ 용어설명 * 임야화재 : 숲이나 초지, 덤불, 툰드라 등 개간되지 않은 자연상태의 대지에서 발생한 화재. 그러나 숲지대에서 발생한 화재의 경우에는 그 구성 관목의 종류에 관계 없이 모두 임야화재로 봄 ○ 기 타 * 명칭 변경 : 성동소방서 → 광진소방서 (2008.01.01) * 국가화재분류체계(2007.1.1)변경. 쓰레기소각, 음식물조리, 빨래삼기, 전기스파크 등 오인처리를 화재로 분류 ○ 출 처 : 서울특별시 소방재난본부 ○ 담 당 : 서울특별시 스마트도시담당관
이 데이터는 광주광역시 서구 관내의 연도별 화재발생 건수 및 화재로 인한 재산 피해액(천원 단위)을 집계한 공공데이터입니다. 화재 건수는 소방서 등 관계기관의 공식 통계를 기반으로 하며, 피해액은 사고 당시 현장 조사 및 피해 산정 기준에 따라 집계됩니다. 해당 자료는 지역별 화재 위험도 분석, 계절별 화재 패턴 예측, 소방 인력 및 장비 배치계획 수립, 화재 예방 정책 수립, 보험 위험평가, 생활 안전지표 작성 등 다양한 공공 및 민간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는 CSV 형식으로 제공되며, 연 1회 이상 정기적으로 갱신됩니다. 각 행은 특정 연도 기준의 화재 발생 수와 피해액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