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셋 상세
공공데이터포털
국립생태원 생태계정밀조사 생태계조사지역 점
국립생태원에서 수행한 생태계정밀조사의 조사지역(점) 정보입니다. 조사지역의 위치정보(점)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데이터 정보
연관 데이터
국립생태원 생태계정밀조사 생태계조사지역 면
공공데이터포털
국립생태원에서 수행한 생태계정밀조사의 조사지역(면) 정보입니다. 조사지역의 위치정보(면)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국립생태원 생태계정밀조사 식물상 점
공공데이터포털
국립생태원에서 수행한 생태계정밀조사 식물상 분야에서 조사되어 구축된 정보입니다. 식물상의 위치정보(점), 한글명, 학명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국립생태원 제5차전국자연환경조사 식생자료
공공데이터포털
국립생태원에서 수행한 제5차 전국자연환경조사(2019, 2020년) 식생 분야에서 조사되어 구축된 공간정보
국립생태원 지형평가
공공데이터포털
지형평가 등급(1,2,3 등급), 지형 명칭, 전국자연환경조사 결과에 의하여 작성된 지형현황도 및 위성영상 자료를 이용하여 작성한 중분류 토지피복도 등을 평가자료로 반영한 지형평가 등급 정보
국립생태원 지형평가 서비스
공공데이터포털
생태·자연도는 전 국토의 산·하천·내륙습지·호소·농지·도시 등의 자연환경을 생태적 가치, 자연성, 경관적 가치 등에 따라 등급화하여 「자연환경보전법」 제34조의 규정에 의해 작성된 지도를 말한다. 국립생태원에서는 자체수행중인 전국자연환경조사 및 유관기관의 생태분야 조사자료를 수집하여 공간데이터를 구축하고, 작성지침에 따라 생태·자연도를 작성한다. 생태·자연도는 세부적으로 “식생, 습지, 지형, 멸종위기 야생생물” 항목을 기준으로 작성한다. 이렇게 작성된 생태·자연도는 각종 개발계획의 수립 및 환경영향평가 등에 활용되고 있다. 국립생태원에서는 전국자연환경조사 결과를 반영한 전국 800개 도엽의 생태·자연도를 고시하였으며, 고시된 생태·자연도와 평가 정보는 국립생태원 생태정보포털시스템(에코뱅크)를 통해 GIS공간데이터(SHP) 및 오픈 API형태로 제공하고 있다.
국립생태원 특정지역자연환경조사
공공데이터포털
국립생태원 특정지역(도서 등)에 대한 조사 결과(조사연도, 조사시작일, 조사종료일, 한글종명, 학명, 좌표정보)를 제공합니다.
국립생태원 동식물자료 및 현존식생도(2차 3차 5차)
공공데이터포털
제 2,3,5차 전국자연환경조사에서 구축된 현존식생도 및 5차 전국자연환경조사에서 구축된 동식물 분포도로 멸종위기야생생물에 대한 정보는 제외됨
국립생태원 습지평가
공공데이터포털
생태자연도 평가 기초자료로 활용되는 습지평가 관련 정보(등급, 정밀습지 명칭, 센서스 명칭 등)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국립생태원 제5차 전국자연환경조사 포유류 출현지점
공공데이터포털
제5차 전국자연환경조사에서 조사된 포유류(멸종위기종 제외)의 위치정보를 제공합니다.데이터는 1-4차년도(2019-2022) 자료이며, 현 시점(2024.3월)기준 최신자료입니다.5차년도(2023) 자료는 차후 EcoBank(www.nie-ecobank.kr)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국립생태원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조류 조사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1997∼2005년) 조류 조사자료(멸종위기야생생물 정보 제외)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