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 통항분리제도중앙선
공공데이터포털
이 데이터는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에서 통항분리제도중앙선(선박의 안전거리 유지를 위해 항로를 분히라거나 특정 유형의 선박을 위해 지정된 항로를 분리하는 선)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수집한 데이터입니다.본 데이터의 주요 내용은 전자해도를 기반으로 한 통항분리제도중앙선의 SHP형태 선형 공간정보 파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선의 교통분리제도 구분, 항로 분리 시작/종료일 및 기타 정보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본 데이터는 항만 및 선박 운항 관리, 해상교통 정책 수립, 해양사고 예방 지도 제작, 전자해도 제작 및 갱신, 해양 공간 관리, 선박 통항경로 분석 등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 양길항로부
공공데이터포털
이 데이터는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에서 양길항로부(제한된 경계 내부의 항해에 위험하거나 어려운 수역에서 선박의 안전한 항해를 위해 양방향 교통이 설치된 항로)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수집한 데이터입니다.본 데이터의 주요 내용은 전자해도를 기반으로 한 양길항로부의 SHP형식 면형 공간정보 파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항로의 해도번호, 교통흐름, 수역 설정 시작/종료일, 방위값 등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본 데이터는 항로 설계 및 개선, 해상 교통 관리 체계 수립, 선박 운항 시뮬레이션, 해양사고 예방 대책 마련, 내비게이션 시스템 업그레이드 등 해양 공간 관리와 관련 정책 수립 및 연구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 통항분리경계선
공공데이터포털
이 데이터는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에서 통항분리경계선(통항 항로부 또는 선회형 통항 분리방식의 바깥쪽 경계)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수집한 데이터입니다.본 데이터의 주요 내용은 전자해도를 기반으로 한 통항분리경계선의 SHP형태 선형 공간정보 파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경계선의 교통분리제도구분, 구역 설정 시작/종료일 및 기타 정보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본 데이터는 선박 운항 시 통항 경로 관리, 항로 안전성 평가, 해양 공간계획 수립, 항만 및 항로 설계 과정에서의 기초 자료, 해상 교통관리 체계 구축 등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 일반항로
공공데이터포털
이 데이터는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에서 일반 항로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수집한 데이터입니다.본 데이터의 주요 내용은 전자해도를 기반으로 한 일반 항로의 SHP형식 면형 공간정보 파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항로의 명칭, 최소수심, 측심특성, 상태, 교통흐름 등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본 데이터는 항만 및 해운업계에서 선박 운항 계획 수립 시 사용하거나, 항로 설계 및 관리, 항로 안전 점검과 해양 공간 관리 정책 수립 등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해양 관련 연구기관에서는 해양 교통 및 항로 특성 분석 자료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 종이해도-항만도
공공데이터포털
이 데이터는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에서 종이해도 중 항만도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수집한 데이터입니다.본 데이터의 주요 내용은 항만도의 SHP형식 공간정보 파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해도의 해도명, 해도번호, 발행일, 축척, 조사기관 등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이 데이터는 해양 관련 연구, 선박 운항계획 수립, 항만 인프라 관리, 해양공학 설계, 교육 자료 등에서 기초정보로 사용할 수 있으며, 항만도 구매 및 활용이 필요한 실무자나 정책 수립 기관, 관련 산업 종사자가 해도 제작 및 최신 항로정보 반영에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 직선영해기선
공공데이터포털
이 데이터는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에서 직선영해기선(영해 또는 기타 외측 한계를 측정하는 한계선)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수집한 데이터입니다.본 데이터의 주요 내용은 전자해도를 기반으로 한 직선영해기선의 SHP형태 선형 공간정보 파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기선의 지정국, 묘사정보, 개발권한 한계구분 및 기타 정보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본 데이터는 관계 기관에서 해양 관할구역 조사, 항해 안전 정보 제공, 관련 법령 적용 및 해양 공간 관리 등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해운 및 물류 관련 기업에서 운항 계획 수립 등 업무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