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셋 상세
충청남도
충청남도 지역사회건강조사(비만율(자기보고))
충청남도 지역사회건강조사(2008~2023 비만율(자기보고))입니다. 항목은 시군명,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등 입니다.
데이터 정보
연관 데이터
충청남도 지역사회건강조사(저작불편호소율(65세 이상))
공공데이터포털
충청남도 지역사회건강조사(2008~2023 저작불편호소율(65세 이상))입니다. 항목은 시군명,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등 입니다.
서울특별시 - 서울시 비만도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비만도 * 통계종류 : 서울시 자치구별 비만도 현황을 제공하는 일반ㆍ조사통계 * 근거법령 :「국민건강증진법」제19조에 의거 실시되는 지역사회건강조사 * 작성목적 : 만성질환의 주요원인이 되는 비만관리 및 시민 건강증진을 위한 지역보건 의료계획 수립과 정책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조사체계 : 질병관리본부 * 공표주기 : 정기(매년)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및 자치구 내용 - 서울시 자치구별 BMI(비만도 비율) 및 평균 비만도 ○ 용어설명 * 비만율 : 체질량지수(kg/㎡) 25이상인 사람의 분율 체질량지수(BMI) = 체중(kg) ÷ (신장(m)×신장(m)) ○ 기 타 * 보건복지부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보고서 참고 ○ 출 처 : 질병관리본부, 지역사회건강조사 「지역사회건강통계」
충청남도 지역사회건강조사(고혈압 약물치료율)
공공데이터포털
충청남도 지역사회건강조사(2008~2023 고혈압 약물치료율)입니다. 항목은 시군명,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등 입니다.
서울특별시 - 서울시 저체중 출생아 비율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저체중 출생아 비율 * 통계종류 : 보건복지부 '지역사회 건강조사',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서울특별시 '주민등록인구' 등을 활용한 가공통계 * 작성목적: 서울 시민들의 건강문제를 진단하고, 건강격차에 대한 인식과 관심을 증가시켜 건강한 공공보건정책 수립의 기초자료 제공 * 공표주기 : 정기(매년)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및 자치구 내용 - 성별, 생애주기별, 학력별, 직업별, 자치구별 ○ 용어설명 * 3년 이동합계 평균율 : 기대여명, 건강기대여명이나 사망률을 자치구 단위로 분석하는 경우 기준시점 전후 1년을 포함하여 3년을 윈도우로 하는 이동합(moving sum)을 분자와 분모에 각기 적용, 3년 이동합계 평균율 산출 * 상대격차 : 상대위험도(relative risk)나 상대격차백분율(relative gap)로 제시 - 상대위험도는 해당집단의 표준화율을 기준집단의 표준화율로 나누어준 값으로 상대 위험도가 1.3이라는 것은 기준집단에 비해 위험이 1.3배 높다는 것을 의미함 - 상대격차백분율은{(해당집단 표준화율 - 기준집단 표준화율) / 기준집단 표준화율 ×100} * 절대격차 : 해당집단의 표준화율에서 기준집단의 표준화율을 뺀 값 * 각 값은 반올림한 값이기 때문에 표준하율들의 비와 제시된 값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 ○ 기 타 ○ 출 처 : 보건의료정책과, 서울시 건강격차 모니터링 결과
서울특별시 - 서울시 비만율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비만율 * 통계종류 : 보건복지부 '지역사회 건강조사',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서울특별시 '주민등록인구' 등을 활용한 가공통계 * 작성목적: 서울 시민들의 건강문제를 진단하고, 건강격차에 대한 인식과 관심을 증가시켜 건강한 공공보건정책 수립의 기초자료 제공 * 공표주기 : 정기(매년)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및 자치구 내용 - 성별, 생애주기별, 학력별, 직업별, 자치구별 ○ 용어설명 * 비율 : 표본조사 자료의 경우 제공된 가중치를 사용하여 가중치 적용조율로 분석가공 * 3년 이동합계 평균율 : 기대여명, 건강기대여명이나 사망률을 자치구 단위로 분석하는 경우 기준시점 전후 1년을 포함하여 3년을 윈도우로 하는 이동합(moving sum)을 분자와 분모에 각기 적용, 3년 이동합계 평균율 산출 * 표준화율 : 남녀 모두 있는 경우는 성·연령표준화를, 하나의 성만 있는 경우에는 연령표준화 * 신뢰도 : 표본수가 작거나 상대표준오차 큰 경우 통계 값 제외 - 상대표준편차가 20%를 초과하는 경우 해석에 주의하라는 의미로 수치대신 '*'로 표시 - 상대표준편차가 33.3%를 초과하는 경우 수치를 제시하지 않고 'F'로 표시 ○ 기 타 * 가중치적용조율로 분석한 결과임 ○ 출 처 : 보건의료정책과, 서울시 건강격차 모니터링 결과
서울특별시 - 서울시 청소년 비만 및 체중조절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청소년 비만 및 체중조절 * 통계종류 : 조사, 일반통계(승인번호 117058) * 근거법령 : 국민건강증진법 제19조 * 작성목적 : 청소년(중·고등학생)의 건강행태에 대한 현황파악을 통해 청소년 건강증진사업 계획 및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 * 조사체계 : 표본학교→보건복지부(질병관리본부) - 학교컴퓨터실에서 일괄조사 * 공표주기 : 매년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내용 - 청소년 비만 및 체중조절 등에 대한 응답률 ○ 용어설명 * 비만율 : 2017년 소아청소년 성장도표 연령별 체질량지수 기준 95백분위수 이상인 사람의 분율 또는 체질량지수 25 이상인 사람의 분율, ** 체질량지수(BMI)=체중(kg)/[신장(m)]2 * 월간 체중감소 시도율 : 최근 30일 동안 체중 감소를 위해 노력한 적이 있는 사람의 분율 * 신체이미지 왜곡 인지율 : 2017년 소아청소년 성장도표 연령별 체질량지수 기준 85백분위수 미만인 자 중에서 자신의 체형을 살이 찐 편이라고 인지하는 사람의 분율 ○ 기타 * 중1~고3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 * 2017년 소아성장도표 제정에 따라 연도비교를 위해 ’06~’17년 결과 재산출 ○ 출처 :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한림대학교산학협력단 - 서울시 건강공동체 서비스 서비스피드백(2018년~2020년)
공공데이터포털
대상자의 생활습관 정보(e.g. 식이, 활동량), 생체정보(e.g. 혈압, 혈당) 등을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코디네이터가 제공한 콘텐츠 정보(e.g. 문자, 인포그래픽, 동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