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정보원 - 국내 문화체육관광 분야 통계 데이터(이용건수 등 포함)
공공데이터포털
ㅇ 데이터 소개 - 지역문화재단의 홈페이지, 주소, 조직, 인력, 예산, 사업 등을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데이터 - 문화체육관광부 2022년 문화기반시설총람데이터를 기준으로 생성되었으며, 원천데이터의 조사일자는 2022년 01월 01일입니다 ㅇ 활용 분야 - 지역문화재단 현황 파악 ㅇ 데이터 출처 - 한국문화정보원
한국문화정보원 - 국내 문화체육관광 분야 통계 데이터(이용건수 등 포함)
공공데이터포털
ㅇ 데이터 소개 - 전국 지역별 문화의집 현황 데이터 - 시설명 위치(XY좌표, GRID격자정보), 홈페이지, 운영시간, 시설면적 등 데이터 제공 - 문화체육관광부 2021년 문화기반시설총람데이터를 기준으로 생성되었으며, 원천데이터의 조사일자는 2021년 01월 01일입니다 ㅇ 데이터 활용 - 전국 문화의 집 현황 파악 및 관련 정보서비스에 활용 ㅇ 데이터 출처 - 한국문화정보원
한국문화정보원 - 국내 문화체육관광 분야 통계 데이터(이용건수 등 포함)
공공데이터포털
ㅇ데이터 소개 - 국내 문화체육관광 분야 박물관 시설의 행정동, 개관연월일, 등록현황, 면적, 관람인원, 전시횟수, 강좌프로그램(종), 대상별 관람료, 학예인력, 오디오가이드 제공여부, 소장유물개수 등 현황 통계 데이터 - 대한민국에서 관람객이 제일 많은 박물관은 어디일까? - 박물관 시설 및 소장자료 현황을 기반으로 계산된 전시관람 지수를 알려드립니다 - 2022년 12월 문화체육관광부에서 발행한 [2022 전국 문화기반시설 총람]을 기반으로 생산된 데이터로, 시설 통계의 기준시점은 2022년 1월 1일입니다. ㅇ활용 분야 - 지역별 문화체육관광분야 박물관 지수 비교분석 가능 - 박물관 전시, 프로그램, 소장유물, 학예인력 등을 활용한 전시관람 수요 분석 및 기획가능 ㅇ데이터 출처 - 한국문화정보원
한국문화정보원 - 문화예술체육소비 시군구별 인구 표준화 시설 점수
공공데이터포털
기초지자체별 인구수 대비 문화여가 시설 수를 표준화한 점수 데이터 ㅇ문화여가 관련 시설이란? - 국민여가 활성화 기본법상 여가의 정의 및 여가 활동 관련 시설로 정의함 - 문화예술, 체육, 휴식 및 소비활동을 위한 공공/민간 시설을 포함함 ㅇ문화여가 시설 원천데이터 -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하는 국토정보플랫폼(https://map.ngii.go.kr/)의 국가관심지점정보(POI) - 전국의 국가관심지점정보(900만건 이상)에서 문화예술, 체육, 휴식, 소비활동 등의 4개 대분류 및 하위를 구성하는 18개 중분류와 관련이 있는 197만건을 추출하여 지역별로 분류하여 제공함 ㅇ인구(천명당)대비 문화여가시설 표준화 점수 - 원시설수는 기초지차체와 분류체계간 편차가 심하여 직접적인 비교 불가능함 - 따라서, 지역별 및 분류체계별 시설물 수 비교가 가능하도록 지역별 인구수 및 시설물 수 분포를 고려한 표준화 점수로 변환 제공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