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셋 상세
카톨릭병원 빅데이터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 (서울)고지혈증 환자의 주효과 혈액 검사 데이터
고지혈증 환자들이 시행한 혈액 검사 중에 스타틴 약물의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주요 검사 데이터를 포함하며 검체 채취 일자와 접수 일자를 이용하여 처방시점으로 부터의 기간을 계산한 시점 데이터를 생성함. 검사항목은 LDL Cholesterol, HDL Cholesterol,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등 지질검사항목이 포함됨 - LDL(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 나쁜 콜레스테롤이라고도 불리는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신체 콜레스테롤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수치가 높으면 심장질환 및 뇌놀중 위험이 높아짐 - HDL(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 좋은 콜레스테롤이라고도 불리는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로 콜레스테롤을 흡수하여 간으로 다시 운반함. 높은 HDL cholesterol은 심장질환과 뇌졸중 위험을 낮출 수 있음 - Total Cholesterol(TC, 총콜레스테롤) : 혈액 내에 있는 모든 콜레스테롤을 뜻함 - Triglyceride(TG, 중성지방) : 대게 인체의 지방조직에 저장되며, 아주 일부만이 혈액 내에 존재합니다. ‘고중성지방혈증’ 또한 고지혈증의 하나이며, 피부와 내장, 혈관 등에 축적되어 비만과 각종 질환을 일으킴
데이터 정보
연관 데이터
가톨릭대학교 은평성모병원 - (은평)고지혈증 환자의 주효과 혈액 검사 데이터 2020
공공데이터포털
고지혈증 환자들이 시행한 혈액 검사 중에 스타틴 약물의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주요 검사 데이터를 포함하며 검체 채취 일자와 접수 일자를 이용하여 처방시점으로 부터의 기간을 계산한 시점 데이터를 생성함. 검사항목은 LDL Cholesterol, HDL Cholesterol,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등 지질검사항목이 포함됨 - LDL(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 나쁜 콜레스테롤이라고도 불리는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신체 콜레스테롤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수치가 높으면 심장질환 및 뇌놀중 위험이 높아짐 - HDL(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 좋은 콜레스테롤이라고도 불리는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로 콜레스테롤을 흡수하여 간으로 다시 운반함. 높은 HDL cholesterol은 심장질환과 뇌졸중 위험을 낮출 수 있음 - Total Cholesterol(TC, 총콜레스테롤) : 혈액 내에 있는 모든 콜레스테롤을 뜻함 - Triglyceride(TG, 중성지방) : 대게 인체의 지방조직에 저장되며, 아주 일부만이 혈액 내에 존재합니다. ‘고중성지방혈증’ 또한 고지혈증의 하나이며, 피부와 내장, 혈관 등에 축적되어 비만과 각종 질환을 일으킴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 (서울)고지혈증 환자의 생체징후 데이터
공공데이터포털
고지혈증 환자들의 최초 처방시점의 키, 몸무게와 같은 신체 계측 정보와 수축기/이완기 혈압을 포함하는 생체 징후 데이터. 키와 몸무게 데이터를 이용한 Body Mass Index(BMI)를 생성할 수 있으며 혈압 데이터를 이용하여 고혈압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음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 (서울)고지혈증 환자의 선행 및 병용 약물 투약 데이터
공공데이터포털
고지혈증 환자들의 스타틴 처방 데이터와 스타틴 처방 이전이나 이후에 처방된 선행 약물과 병용 약물 현황을 분석할 수 있는 데이터. 스타틴 약물 처방 데이터는 1일 기준 용량과 수량, 처방횟수, 처방 일수 데이터를 이용하여 총 투여량을 생성할 수 있음. 약물 처방 데이터는 RxNorm 코드로 매핑됨 -선행 약물 여부 : 0은 No, 1은 Yes로 구분 하였음 -병용 약물 여부 : 0은 No, 1은 Yes로 구분 하였음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 (서울)고지혈증 환자의 공존질환 데이터
공공데이터포털
고지혈증 환자들의 최초 진단과와 다양한 공존 질환의 진단명과 진단코드 데이터. 진단명은 고혈압성 질환, 허혈성심장질환, 고밀도 및 구조장애, 신생물 등이 포함됨. 진단코드는 ICD-11 코드와 SNOMED-CT 코드로 매핑됨. -질환에 관한 진단코드 유무 : 0은 No, 1은 Yes로 구분 하였음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 (서울)고지혈증 환자의 인구학적 특성 데이터
공공데이터포털
병원정보시스템에 저장되어 있는 전체 데이터로 부터 고지혈증 연구를 위한 선정기준을 적용한 쿼리문을 생성하여 추출한 코호트의 인구통계학적 정보 데이터임. 스타틴을 최초 처방받은 환자들의 최초 처방 당시의 연령, 성별 데이터를 이용하여 연령대별 특성과 성별 특성을 분석할 수 있음. -SEX : 0은 남자, 1은 여자로 구분 하였음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 (서울)고지혈증 환자의 부작용 혈액 검사 데이터
공공데이터포털
고지혈증 환자들이 시행한 혈액 검사 중에 스타틴 약물의 부작요을 평가할 수 있는 검사 데이터를 포함함. 검체 채취 일장, 접수 일자를 이용하여 처방시점으로 부터의 기간을 계산한 시점 데이터를 생성함. 검사항목은 AST(GOT), ALT(GPT), ALP, γ-GTP, Creatinine, Glucose, CPK 등 고지혈증의 간독성과 신독성 등 다양한 부작용을 평가할 수 있는 주요 검사항목이 포함됨 -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 GOT(Glutamic Oxalacetic Transaminase)), ALT(alanine aminotransferase, GPT(glutamic pyruvate transaminase)) : 간세포 손상을 반영하는 아미노전이효소(Aminotransferases)로 기본적인 간기능검사 항목임 - ALP(alkaline phosphatase, 알칼리인산분해효소) : 간세포 내 담관에 존재하는 효소로 즈로 담즙 배설 장애 시 빠르게 상승함 - γ-GTP(gamma(γ)-glutamyl transferase, GGT, 감마-글루타밀전이효소) : 간세포 내 담관에 존재하는 효소로 ALP와 함께 담즙 배설 장애를 판단하는데 사용되나, 간질환 없이도 알코올 중독자, 비만한 사람의 일부, 아세트아미노펜, 페니토인, 카르바마제핀 같은 약물의 과다복용 때도 상승할 수 있음 - Creatinine : 근육에서 크레틴(Creatine)으로부터 생성되며 신장 기능 이외의 영향이 적어 신기능을 평가하는데 유용함 - CPK(creatine phosphokinase, 크레아틴인산활성효소)
가톨릭대학교 은평성모병원 - (은평)고지혈증 환자의 선행 및 병용 약물 투약 데이터 2020
공공데이터포털
고지혈증 환자들의 스타틴 처방 데이터와 스타틴 처방 이전이나 이후에 처방된 선행 약물과 병용 약물 현황을 분석할 수 있는 데이터. 스타틴 약물 처방 데이터는 1일 기준 용량과 수량, 처방횟수, 처방 일수 데이터를 이용하여 총 투여량을 생성할 수 있음. 약물 처방 데이터는 RxNorm 코드로 매핑됨 -선행 약물 여부 : 0은 No, 1은 Yes로 구분 하였음 -병용 약물 여부 : 0은 No, 1은 Yes로 구분 하였음
연세대학교원주산학협력단 - 대사증후군의 약물력 및 혈액검사 융합 데이터(평창)
공공데이터포털
평창 코호트군 중 대사증후군 환자의 혈액 검사 데이터와 약물력
가톨릭대학교 은평성모병원 - (은평)고지혈증 환자의 생체징후 데이터 2020
공공데이터포털
고지혈증 환자들의 최초 처방시점의 키, 몸무게와 같은 신체 계측 정보와 수축기/이완기 혈압을 포함하는 생체 징후 데이터. 키와 몸무게 데이터를 이용한 Body Mass Index(BMI)를 생성할 수 있으며 혈압 데이터를 이용하여 고혈압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음
가톨릭대학교 은평성모병원 - (은평)고지혈증 환자의 공존질환 데이터 2020
공공데이터포털
고지혈증 환자들의 최초 진단과와 다양한 공존 질환의 진단명과 진단코드 데이터. 진단명은 고혈압성 질환, 허혈성심장질환, 고밀도 및 구조장애, 신생물 등이 포함됨. 진단코드는 ICD-11 코드와 SNOMED-CT 코드로 매핑됨. -질환에 관한 진단코드 유무 : 0은 No, 1은 Yes로 구분 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