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셋 상세
경기도
경기도 - 소하천 수질 오염도 현황
경기도 내 소하천 수질 오염도 현황입니다. 소하천에 대한 BOD, COD 부유물질 등 수질에 대한 측정값 정보를 제공합니다. ※ 2022년 12월 31일부로 소하천 수질오염현황 조사 사업이 종료됨에 따라 2023년 1월부터 갱신이 중단됩니다.
데이터 정보
연관 데이터
서울특별시 - 서울시 수질현황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수질현황 * 통계종류 : 서울시 주요지점 수질의 측정내용을 제공하는 일반ㆍ보고통계 * 작성목적 : 환경부 수질측정 계획에 의거 주요지점별로 측정한 수질현황을 파악하여, 수질의 안전관리 및 오염방지를 위한 정책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조사체계 : 한강유역환경청, 보건환경연구원 → 시도 → 환경부 * 공표주기 : 정기(매년, 12월 기준)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내용 - 한강서울 주요지점별(하천) 온도, 수소이온농도, 용존산소 등 수질측정 현황 ○ 용어설명 * PH (수소이온농도) : 용액 속의 수소 이온 또는 옥소늄 이온의 농도. 보통, 수소이온 지수 pH 로서 표시함 * DO (용존산소) : Dissolved Oxygen. 물의 오염상태를 나타내는 지표항목중의 하나로 물에 녹아 있는 산소의 농도임(단위는 mg/ℓ 또는 ppm) * BOD(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 :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은 통상 BOD(Biochemical Oxygen Demand)라고 부른다. 물의 유기오염 지표의 한가지로서 어떤 물속의 미생물이 산소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유기물을 분해, 안정시키는데 요구되는 산소량임(단위는 mg/ℓ) * COD(화학적 산소요구량) : 생물화학적 산소 요구량과 마찬가지로 하천 오염상태를 나타내는 수치로서, 물속의 유기물 등 오염이 되는 물질을 산화제로 산화시키는데 요구되는 산소의 양을 말함(단위는 mg/ℓ) * SS(부유물질) :입경 2mm이하의 물에 용해되지 않는 물질, Suspended Solids 의 약칭. 또는 현탁물질이라고 함(단위는 mg/ℓ) * 총대장균군 : 단위는 MPN/100㎖ ○ 기 타 * 더 구체적인 사항 : http://hangang.seoul.go.kr/archives/2578 참고 ○ 출 처 : 서울특별시 물관리정책과
경기도 - 수질오염원설치시설(기타) 현황
공공데이터포털
점오염원(폐수배출시설, 하수발생시설, 축사 등으로서 관거·수로 등을 통하여 일정한 지점으로 수질오염물질을 배출하는 배출원) 및 비점오염원(도시, 도로, 농지, 산지, 공사장 등으로서 불특정 장소에서 불특정하게 수질오염물질을 배출하는 배출원)으로 관리되지 아니하는 수질오염물질을 배출하는 경기도 내 수질오염원 설치 시설(기타) 현황입니다. ※경기도 31개 시군의 인ㆍ허가 데이터입니다.
서울특별시 - 서울시 요일별 한강 수질 현황(2020년)
공공데이터포털
서울특별시 한강하천에 있는 2020년도 각 요일별 측정한 수질 현황 자료입니다. 자료 문의 : 보건환경연구원 물환경연구부 (T.573-3402)
대전광역시 대전하수처리시설 방류수질 현황
공공데이터포털
대전하수처리시설의 월별 방류수 수질현황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BOD(생화학적 산소요구량), TOC(총유기탄소량), SS(부유물질), T-N(총질소), T-P(총인), 대장균군수 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대전광역시 석면해체제거사업장 석면비산 측정결과 현황
공공데이터포털
대전광역시 2021년 석면해체제거사업장 석면비산 측정결과 공개_실적입니다. 2022년 공공데이터 기업매칭지원사업으로 수행되었습니다.
대전광역시 대전하수처리장 부지경계선 복합악취 분석 결과
공공데이터포털
대전광역시 하수처리장 부지경계선(문지1,문지2,침사지) 복합악취 2018년부터 2022년까지 대전보건환경연구원에서 측정한 분기별 측정결과 데이터 분석결과 입니다.
서울특별시 - 서울시 환경오염물질 배출시설 (수질)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환경오염물질 배출시설(수질) * 통계종류 : 서울시 수질오염물질 배출시설 현황을 제공하는 일반ㆍ보고통계 * 작성목적 : 서울시 환경오염물질 배출시설 실태를 파악하여 시설의 효율적인 관리ㆍ 지도 및 환경보전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조사체계 : 자치구 → 시도 → 환경부 * 공표주기 : 정기(매년, 12월 기준) * 공표범위 : 지역- 서울시 및 자치구 내용 - 서울시 수질오염물질 배출시설(1종~5종)개소 ○ 용어설명 * 수질오염물질 : 수질오염의 원인이 되는 물질로서 유기물질(BOD/COD), 부유물질 등 29개 항목에 대하여 환경부령이 정하는 것 ○ 기 타 * 사업장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배출량에 따라 1~5종으로 구분 1종 : 연간 오염물질배출량이 80톤이상이거나 1일 평균 폐수배출량 2,000㎥이상 2종 : 연간 오염물질배출량이 20톤이상 80톤미만이거나, 1일평균 폐수배출량 700㎥이상 2,000㎥미만 3종 : 연간 오염물질배출량이 10톤이상 20톤미만이거나 1일평균 폐수배출량 200㎥이상 700㎥미만 4종 : 연간 오염물질배출량이 2톤이상 10톤미만이거나 1일평균 폐수배출량 50㎥이상 200㎥미만 5종 : 그외 기타 배출시설 또는 소음진동 배출시설 사업장, 폐수배출량에는 용수상용량을 기준함 ○ 출 처 : 서울특별시 물재생시설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