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셋 상세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 - 서울시 주택 소유 비율 통계
○ 통계개요 * 통계명 : 주택 소유 비율 * 통계종류 : 서울서베이의 서울시민 주택 소유 비율을 제공하는 일반ㆍ조사통계 * 작성목적 : 도시정책지표에 대한 포괄적인 자료구축 및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서울의 현재 상태에 대한 객관적이고 심층적인 분석과 현재 도시발전 수준을 모니터링 하는 한편, 시정의 변화에 따른 시민과 기업의 입장에서 느끼는 정책의 실효성을 객관적으로 측정하여 보다 발전된 정책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음 * 조사체계 : 조사기관 → 서울특별시 스마트도시담당관 * 공표주기 : 정기(매년)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및 자치구 내용 - 서울시민(성별ㆍ연령별ㆍ지역별 등)의 주택 소유 유무 비율 ○ 용어설명 ○ 기 타 ○ 출 처 : 서울특별시 스마트도시담당관
데이터 정보
  • 데이터 포털
  • 서울특별시
  • META URL
  • 라이선스
  • cc-zero
  • 비용
  • 제공기관
  • 관리부서
  • 데이터
연관 데이터
서울특별시 - 서울시 부동산 자산 비율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부동산 자산 비율 * 통계종류 : 서울서베이의 서울시민 부동산 자산 비율 정보를 제공하는 일반ㆍ조사통계 * 작성목적 : 도시정책지표에 대한 포괄적인 자료구축 및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서울의 현재 상태에 대한 객관적이고 심층적인 분석과 현재 도시발전 수준을 모니터링 하는 한편, 시정의 변화에 따른 시민과 기업의 입장에서 느끼는 정책의 실효성을 객관적으로 측정하여 보다 발전된 정책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음 * 조사체계 : 조사기관 → 서울특별시 스마트도시담당관 * 공표주기 : 정기(매년)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및 자치구 내용 - 서울시민(성별ㆍ연령별ㆍ지역별 등)의 부동산 자산 비율(20% 미만/ 40% 미만/60% 미만/80% 미만/100% 이하) ○ 용어설명 ○ 기 타 ○ 출 처 : 서울특별시 스마트도시담당관
서울특별시 - 서울시 최초 주택 구입년도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최초 주택 구입년도 * 통계종류 : 서울서베이의 서울시민 최초 주택 구입년도 정보를 제공하는 일반ㆍ조사통계 * 작성목적 : 도시정책지표에 대한 포괄적인 자료구축 및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서울의 현재 상태에 대한 객관적이고 심층적인 분석과 현재 도시발전 수준을 모니터링 하는 한편, 시정의 변화에 따른 시민과 기업의 입장에서 느끼는 정책의 실효성을 객관적으로 측정하여 보다 발전된 정책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음 * 조사체계 : 조사기관 → 서울특별시 스마트도시담당관 * 공표주기 : 정기(매년)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및 자치구 내용 - 서울시민(성별ㆍ연령별ㆍ지역별 등)의 최초 주택 구입년도(70년대 이하/ 80년대/90년대/2000년대) ○ 용어설명 ○ 기 타 ○ 출 처 : 서울특별시 스마트도시담당관
서울특별시 - 서울시 최초 주택구입시 대출금 비율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최초 주택구입시 대출금 비율 * 통계종류 : 서울서베이의 서울시민 최초 주택구입시 대출금 비율을 제공하는 일반ㆍ조사통계 * 작성목적 : 도시정책지표에 대한 포괄적인 자료구축 및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서울의 현재 상태에 대한 객관적이고 심층적인 분석과 현재 도시발전 수준을 모니터링 하는 한편, 시정의 변화에 따른 시민과 기업의 입장에서 느끼는 정책의 실효성을 객관적으로 측정하여 보다 발전된 정책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음 * 조사체계 : 조사기관 → 서울특별시 스마트도시담당관 * 공표주기 : 정기(매년)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및 자치구 내용 - 서울시민(성별ㆍ연령별ㆍ지역별 등)의 최초 주택구입시 대출금 비율 (10% 미만/10%~20% 미만/20%~30% 미만/30%~40% 미만/40%~50% 미만/ 50% 이상/대출금 없음) ○ 용어설명 ○ 기타 ○ 출 처 : 서울특별시 스마트도시담당관
서울특별시 - 서울시 향후 주거 형태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향후 주거 형태 * 통계종류 : 일반·조사통계 * 작성목적 : 도시정책지표에 대한 포괄적인 자료구축 및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서울의 현재 상태에 대한 객관적이고 심층적인 분석과 현재 도시발전 수준을 모니터링 하는 한편, 시정의 변화에 따른 시민과 기업의 입장에서 느끼는 정책의 실효성을 객관적으로 측정하여 보다 발전된 정책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음 * 조사체계 : 조사기관 → 서울특별시 스마트도시담당관 * 공표주기 : 정기(매년, 8월)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및 자치구 내용 - 서울시민(성별·연령별·지역별 등)의 10년 후 예상주거 형태 ○ 용어설명 ○ 기 타 * 문항 : 귀하는 10년 후에 어떤 주택에서 살고 있을 것 같습니까? * 해당연도가 없는 것은 그해 조사항목에서 제외된 것임 ○ 출 처 : 서울특별시 스마트도시담당관 「서울서베이(도시정책지표조사)」
서울특별시 - 서울시 주택재개발사업 추진실적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주택재개발사업 추진실적 * 통계종류 : 서울시 시행 주택재개발사업의 시행현황을 제공하는 일반ㆍ보고통계 * 근거법령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의한 주택재개발사업 * 작성목적 : 서울시에서 시행하는 주택재개발사업 진행 현황를 파악하여, 토지의 효율적 이용과 도시 및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조사체계 : 자치구 → 서울특별시 주거재생과 * 공표주기 : 정기(매년, 12월 기준) * 공표범위 : 지역 - 해당기관 및 자치구 내용 - 서울시 주택재개발사업의 진행상황별(완료, 시행중, 미시행) 구역수 및 시행면적, 정비건축물(동), 건립가구 등 ○ 용어설명 * 주택재개발사업 : 정비기반시설이 열악하고 노후ㆍ불량건축물이 밀집한 지역에서 주거 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시행하는 사업 - 완료 : 당해연도의 준공인가된 구역 - 시행중 : 당해연도에 사업시행인가 또는 관리처분 계획인가된 구역 - 미시행 : 당해연도에 정비구역으로 지정된 구역 ○ 기 타 * 뉴타운사업의 주택재개발사업 실적은 제외된 수치임 ○ 출 처 : 서울특별시 주거재생과
서울특별시 - 서울 거주기간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서울 거주기간 * 통계종류 : 서울서베이의 서울시민 서울 거주기간을 제공하는 일반ㆍ조사통계 * 작성목적 : 도시정책지표에 대한 포괄적인 자료구축 및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서울의 현재 상태에 대한 객관적이고 심층적인 분석과 현재 도시발전 수준을 모니터링 하는 한편, 시정의 변화에 따른 시민과 기업의 입장에서 느끼는 정책의 실효성을 객관적으로 측정하여 보다 발전된 정책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음 * 조사체계 : 조사기관 → 서울특별시 스마트도시담당관 * 공표주기 : 정기(매년) ※ 2008년 조사종료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및 자치구 내용 - 서울시민(자치구별)의 서울 거주기간 및 평균 거주년수 등 ○ 용어설명 ○ 기 타 * 2009년부터 조사 항목에서 제외함 * 조사항목 변경으로 인해 2008년부터 거주 년수만 표기함 ○ 출 처 : 서울특별시 스마트도시담당관
서울특별시 - 서울시 주택현황 및 보급률(새로운산정방식)(2015년 이후)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주택현황 및 보급률(새로운산정방식) * 통계종류 : 서울시 주택현황 및 보급률을 제공하는 일반ㆍ가공통계 * 작성목적 : 생활을 같이하는 가구가 거주하는 공간으로써 주택의 보급 정도를 파악하여 주택관련 정책수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공표주기 : 정기(매년)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내용 - 서울시 주택현황(종류별 주택수) 및 보급률 ○ 용어설명 * 주택보급률 : 특정국가 또는 특정지역의 주택재고의 과부족을 총체적으로 나타내주는 지표. 일반적으로 주택수를 가구수로 나누어 산정(총 주택수/일반가구수)하고 있음 * 연립주택 : 한 건물내에 여러가구가 살 수 있도록 건축된 4층이하의 영구건물로서 건축당시 연립주택으로 허가받은 주택을 말함 * 다세대주택 : 한 건물내에 여러 가구가 살 수 있도록 건축된 4층 이하의 영구건물로서 건물의 연면적이 200평 이하이면서 건축당시 다세대 주택으로 허가받은 주택을 말함 * 비거주용건물내 주택 : 영업용 목적으로 건축된 건물내에 사람이 거주할 수 있도록 구획된 부분으로서 주택의 요건을 갖추고 있는 것을 말함. 단, 사람이 살고 있으나 주택의 요건을 갖추지 못한 거처는 주택이외의 거처로서 주택에서 제외함 ○ 기 타 *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부터 방문조사가 아닌 행정자료를 활용한 등록센서스로 조사를 수행함에 따라 일부 변동이 존재하여 기존 2010년~2014년 주택보급률을 재산정 * 영업겸용이란 주거용과 영업용 부분이 함께 있는 건물 중 주거부분이 50%이상인 주택을 말함 (구분이 어려운 경우 단독기타로 처리) * 신 주택보급률 산정기준 : 주택수의 경우 다가구 주택 구분거처를 반영(1동->00호), 가구수의 경우 1인가구 및 5인 이하 비혈연가구를 포함 ○ 출 처 : 서울특별시 주택정책과
서울특별시 - 서울시 주택가격지수 (매매)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주택가격지수(매매) * 통계종류 : 서울시 주택매매가격지수 현황을 제공하는 지정·조사통계 * 근거법령 :「주택법」제86조 및 동법 시행령 118 * 작성목적 : 주택매매 및 전세가격을 조사하여 주택시장의 평균적인 가격변화를 측정하고, 주택시장 판단지표 또는 주택정책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 * 조사체계 : 조사대상 주택 → 한국감정원 전문조사자 → 한국감정원 주택통계부 * 공표주기 : 정기(매월)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및 자치구 내용 - 서울시 및 자치구의 월별 주택매매가격지수 ○ 용어설명 * 주택가격지수 : 기준시점과 매기 조사되는 조사시점의 가격비를 이용하여 기준시점이 100인 수치로 환산한 값을 의미 조사의 기준시점과 조사시점의 가격은 표본을 선정하고, 선정된 동일한 표본에 대하여 매 시점 가격을 산정 * 주택가격지수는 표본의 가격 비율로 산정되는 통계이기 때문에 이 지수를 이용하여 지역간의 직접적인 가격차이를 비교할 수는 없음. * 기준시점 : 2015년 6월 (2015.06=100.0) ○ 기 타 * 2013년부터 국가통계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의 통계작성기관이 KB국민은행에서 한국감정원으로 변경됨 * 2003년 11월부터 2011년 12월까지의 변동률은 KB국민은행으로부터 기존의 표본가격을 협조받아 개선된 지수산식(기하평균)에 의해 작성된 것으로, 기 공표된 KB지수의 변동률과 다를 수 있음 (KB지수의 변동률이 반영된 (구)시계열통계표는 http://www.r-one.co.kr 참조) * 연도별 자료는 12월 기준 ○ 출 처 : 국민은행 부동산통계「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한국감정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서울특별시 - 서울시 1인당 거주면적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1인당 거주면적 * 통계종류 : 서울시 인구 1인당 거주면적을 제공하는 일반ㆍ가공통계 * 작성목적 : 서울시 자치구별 주택평균 면적과 평균 가구원수 산출을 통해 1인당 거주 면적을 파악, 주택관련 정책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조사체계 : 조사기관 → 서울특별시 스마트도시담당관 * 공표주기 : 정기(매년) ※ 2007년 조사종료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및 자치구, 내용 - 서울시 1인당 거주면적 등 ○ 용어설명 ○ 기 타 * 2008년부터 조사 항목에서 제외함 ○ 출 처 : 서울특별시 스마트도시담당관
서울특별시 - 서울시 부채이유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부채이유 * 통계종류 : 서울서베이의 서울시민 부채이유 정보를 제공하는 일반ㆍ조사통계 * 작성목적 : 도시정책지표에 대한 포괄적인 자료구축 및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서울의 현재 상태에 대한 객관적이고 심층적인 분석과 현재 도시발전 수준을 모니터링 하는 한편, 시정의 변화에 따른 시민과 기업의 입장에서 느끼는 정책의 실효성을 객관적으로 측정하여 보다 발전된 정책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음 * 조사체계 : 조사기관 → 서울특별시 스마트도시담당관 * 공표주기 : 정기(매년, 8월)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및 자치구 내용 - 서울시민(성별ㆍ연령별ㆍ지역별 등)의 주된 부채 이유 ○ 용어설명 ○ 기 타 * 기타는 사업자금, 보증, 혼인자금, 자동차 할부금, 사기, 상속 및 증여세금 납부 등 * 문항 : 귀댁에 부채가 있다면 주된 이유는 무엇입니까? * 해당연도가 없는 것은 그해 조사항목에서 제외된 것임 ○ 출 처 : 서울특별시 스마트도시담당관「서울서베이(도시정책지표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