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 - 서울시 대형소매점 판매액 및 지수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대형소매점 판매액 및 지수 * 통계종류 : 서울시 대형소매점판매액 및 지수를 제공하는 일반·지정통계(승인번호10150) * 작성목적 : 정부의 경제정책과 기업의 경영계획 수립 등에 필요한 서비스업생산지수와 소매판매액 통계 작성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 * 조사체계 : 조사대상처(사업체, 기업, 기관)→지방 통계청 및 사무소→통계청 * 공표주기 : 정기(매월)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내용 ? 대형소매점판매액 및 지수 ○ 용어설명 * 백화점 : 단일 경영체제하에 매장면적이 3,000㎡이상이고, 주된 취급품목없이 다수의 매장으로 구획된 판매시설을 갖추고 의류, 가구, 귀금속, 식료품 등 각종 상품을 종합적으로 소매하는 점포 * 대형마트 : 대형매장(백화점 제외)을 갖추고 식료품, 의류 등 각종 유형의 상품을 판매 하는 종합소매점[매장면적 3,000㎡ 이상, 47119(기타 대형 종합소매업)] ○ 기 타 * 경상지수 : 월별로 조사한 대표업종별 매출액을 대표업종별 기준액(기준년도의 월평균 매출액)으로 나누어 작성한 지수(가격변동분 포함) -> 산업의 구조변화 등을 파악하는데 이용 * 불변지수 : 경상지수를 디플레이터로 나누어 작성한 지수(가격변동분 제거) -> 전년동월비, 전년동분기비 등 업종의 실질 성장을 분석하는데 이용 (디플레이터: 2010년기준 생산자물가지수 및 소비자물가지수) * 최근 2개월 수치는 잠정치로서 다음달에 확정치로 수정되며, 매년 1월분 통계 공표 (2월말 또는 3월초)시에는 연간보정으로 인해 최근 몇 개년 자료가 수정될 수 있습니다 ○ 출 처 : 통계청 경제통계국 서비스업동향과
서울특별시 - 서울시 특용작물 생산량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특용작물 생산량 * 통계종류 : 서울시 특용작물 생산량 현황을 제공하는 지정ㆍ조사통계 * 작성목적 : 식량생산 계획, 토지이용의 개선, 농업경영 개선, 농산물 가격안정, 유통대책 등의 농업정책수행과 학술연구 및 국민계정 등 타 가공통계의 기초자료로 활용 * 조사체계 : 조사담당자 → 지방통계청 → 통계청 * 공표주기 : 정기(매년, 작물별수확기)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내용 - 특용작물(참깨, 들깨, 땅콩, 유채)등의 재배면적 및 생산량 현황 ○ 용어설명 * 단위면적(10a)당 수량 : 10a(1,000㎡)의 면적 내에서 수확한 농작물의 수량, 수확량 * 특용작물 : 유채, 참깨, 들깨, 땅콩, 해바라기 등 주로 특수용도에 쓰이는 농작물 ○ 기 타 * 통계 수치는 반올림 등으로 총계와 내역별 숫자의 합계가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음 ○ 출 처 : 통계청「농작물생산조사」
서울특별시 - 서울시 식량작물 생산량(정곡)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식량작물 생산량(정곡) * 통계종류 : 서울시 식량작물 생산량 현황을 제공하는 지정ㆍ조사통계 * 작성목적 : 식량생산계획, 토지이용개선, 농업경영개선, 농산물 가격안정, 유통대책 등의 농업정책 수행과 학술연구 등 가공통계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조사체계 : 조사담당자 → 지방통계청 → 통계청 * 공표주기 : 정기(매년, 작물별수확기)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내용 - 식량작물(미곡·맥류·잡곡·두류·서류)의 재배면적 및 생산량 현황 ○ 용어설명 * 식량작물 : 미곡, 잡곡, 두류, 서류 등 식량을 생산할 수 있는 작물 * 정곡 : 도정된 곡물(쌀, 보리쌀 등) * 미곡 : 논벼+밭벼 * 잡곡 : 조+수수+옥수수+메밀+기타 잡곡 * 두류 : 콩+팥+녹두+기타 콩 * 서류 : 고구마+감자 * 맥류 : 겉보리+쌀보리+맥주보리+밀 ○ 기 타 * 통계 수치는 반올림 등으로 총계와 내역별 숫자의 합계가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음 * 현미를 쌀로 환산하는 비율(현백률) 92.9%(9분도) 적용 * M/T : 메트릭톤(Metric ton) = 1,000kg ○ 출 처 : 통계청 ?농작물생산조사?
○ 통계개요 * 통계명 : 육류 섭취빈도율 * 통계종류 : 조사통계, 일반통계 * 작성목적 : 서울시민의 먹거리에 대한 인식, 행태분석 등 기초자료를 수집하고 연도별 추이분석을 통해 서울시 먹거리정책 방향을 설정하고 서울시민의 새로운 요구에 대응하는 서울시 먹거리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 조사체계 : 조사기관 → 서울시 식품정책과 * 공표주기 : 정기(매년)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및 자치구 내용 - 서울시민(성별, 연령별, 학력별 등)의 주관적 비율 ○ 용어설명 * 육류 : 돼지 삼겹살/목살, 소고기(갈비)구이, 돼지/소불고기 또는 갈비찜, 제육볶음, 장조림, 수육(삶은고기), 보쌈, 족발, 치킨, 닭갈비, 닭도리탕, 닭조림, 돈가스, 탕수육, 깐풍기 등 * 육류-찌개 및 국 : 돼지고기 김치찌개, 소머리국밥, 수육국밥, 갈비탕, 설렁탕, 곰탕, 소고기미역국, 삼계탕, 백숙, 소고기뭇국, 육개장 등 ○ 기타 * 서울시 거주 가구 내 만 18세 이상 가구원 조사 ※ 문 : 최근 1년 동안 귀하의 식단을 바탕으로 다음 식품을 평균적으로 섭취한 빈도를 말씀해 주십시오. ○ 출 처 : 식품정책과 「서울시 먹거리 통계」 ○ 담 당 : 시민건강국 식품정책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