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 - 서울시 자치구별 노년부양비 (추계인구)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자치구별 노년부양비(추계인구) * 통계종류 : 서울시 자치구별 장래 노년부양비를 추계하여 제공하는 일반?가공통계 * 작성목적 : 서울시 자치구별 인구추이 분석을 통해, 보건?복지 등 맞춤형 서비스 증진을 위한 공공 및 민간분야의 소지역 장래인구에 대한 수요 증가에 부응하고, 이를 활용한 다양한 주제별 추계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및 자치구 내용 - 서울시 자치구별 장래추계(2017-2037) 노년부양비 ○ 용어설명 * 추계인구 : 장래인구추계 시?도편의 결과를 기초로 서울시 자치구 성?연령별 기준인구 를 확정하고, 자치구별 인구변동요인(출생, 사망, 국내이동 등)을 분석, 출산력?사망력?국내 이동모형 및 장래 변동수준에 대한 가정을 설정하여 추계한 인구 * 부양비 : 유소년부양비와 노년부양비의 합 - 총부양비 : 유소년부양비와 노년부양비의 합 - 유소년부양비는 유소년인구(0~14세) 대 생산가능인구(15~64세)의 비 - 노년부양비는 고령인구(65세 이상) 대 생산가능인구(15~64세)의 비 ○ 기 타 * 본 자료는 2020년 6월 공표한 서울시 자치구별 장래인구추계(2017-2037) 자료 * 인구는 국적에 관계없이 국내에 거주하는 인구임(외국인도 포함) ○ 출 처 : 스마트도시담당관 「서울특별시 자치구별 장래인구추계」
서울특별시 - 서울시 자치구별 노령화지수 (추계인구)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자치구별 노령화지수(추계인구) * 통계종류 : 서울시 자치구별 장래 노령화지수를 추계하여 제공하는 일반?가공통계 * 작성목적 : 서울시 자치구별 인구추이 분석을 통해, 보건?복지 등 맞춤형 서비스 증진을 위한 공공 및 민간분야의 소지역 장래인구에 대한 수요 증가에 부응하고, 이를 활용한 다양한 주제별 추계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및 자치구 내용 - 서울시 자치구별 장래추계(2017-2037) 노령화지수 ○ 용어설명 * 추계인구 : 장래인구추계 시?도편의 결과를 기초로 서울시 자치구 성?연령별 기준인구 를 확정하고, 자치구별 인구변동요인(출생, 사망, 국내이동 등)을 분석, 출산력?사망력?국내 이동모형 및 장래 변동수준에 대한 가정을 설정하여 추계한 인구 * 노령화지수 : 고령인구에 대한 유소년인구의 비 ○ 기 타 * 본 자료는 2020년 6월 공표한 서울시 자치구별 장래인구추계(2017-2037) 자료 * 인구는 국적에 관계없이 국내에 거주하는 인구임(외국인도 포함) ○ 출 처 : 스마트도시담당관 「서울특별시 자치구별 장래인구추계」
서울특별시 - 서울시 주요연령계층별 추계인구(생산연령인구,고령인구등)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주요 연령계층별 추계인구(생산연령인구, 고령인구 등) * 통계종류 : 서울시 자치구별 장래인구를 추계하여 제공하는 일반ㆍ가공통계 * 작성목적 : 서울시 자치구별 인구추이 분석을 통해, 보건ㆍ복지 등 맞춤형 서비스 증진을 위한 공공 및 민간분야의 소지역 장래인구에 대한 수요 증가에 부응하고, 이를 활용한 다양한 주제별 추계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및 자치구 내용 - 서울시 자치구별 주요 연령계층별 추계인구(생산연령인구, 고령인구, 학령인구 등) ○ 용어설명 * 추계인구 : 장래인구추계 시ㆍ도편의 결과를 기초로 서울시 자치구 성?연령별 기준인구을 확정하고, 자치구별 인구변동요인(출생, 사망, 국내이동 등)을 분석, 출산력ㆍ사망력ㆍ국내 이동모형 및 장래 변동수준에 대한 가정을 설정하여 추계한 인구 ○ 기 타 * 인구는 국적에 관계없이 국내에 거주하는 인구임(외국인도 포함) ○ 출 처 : 디지털정책관「서울특별시 자치구별 장래인구추계」
서울특별시 - 서울시 자치구별 총부양비 (추계인구)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자치구별 총부양비(추계인구) * 통계종류 : 서울시 자치구별 장래 총부양비를 추계하여 제공하는 일반?가공통계 * 작성목적 : 서울시 자치구별 인구추이 분석을 통해, 보건?복지 등 맞춤형 서비스 증진을 위한 공공 및 민간분야의 소지역 장래인구에 대한 수요 증가에 부응하고, 이를 활용한 다양한 주제별 추계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및 자치구 내용 - 서울시 자치구별 장래추계(2017-2037) 총부양비 ○ 용어설명 * 추계인구 : 장래인구추계 시?도편의 결과를 기초로 서울시 자치구 성?연령별 기준인구 를 확정하고, 자치구별 인구변동요인(출생, 사망, 국내이동 등)을 분석, 출산력?사망력?국내 이동모형 및 장래 변동수준에 대한 가정을 설정하여 추계한 인구 * 부양비 - 총부양비 : 유소년부양비와 노년부양비의 합 - 유소년부양비는 유소년인구(0~14세) 대 생산가능인구(15~64세)의 비 - 노년부양비는 고령인구(65세 이상) 대 생산가능인구(15~64세)의 비 ○ 기 타 * 본 자료는 2020년 6월 공표한 서울시 자치구별 장래인구추계(2017-2037) 자료 * 인구는 국적에 관계없이 국내에 거주하는 인구임(외국인도 포함) ○ 출 처 : 스마트도시담당관 「서울특별시 자치구별 장래인구추계」
서울특별시 - 서울시 기초연금 수급자 현황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기초연금 수급자 현황 * 통계종류 : 서울시 기초연금 수급자 현황을 자치구별로 제공하는 일반 ·보고통계 * 작성목적 : 공적 노후소득 보장의 사각지대를 완화하고, 노인의 생활안정을 지원하기 위해 ‘08년 1월부터 시행(’07년 4월 기초노령연금법 제정)하여 기초연금 수급자 현황을 파악하여 복지 정책의 기초자료로 제공하는 목적으로 함 * 조사체계 : 면/동 및 국민연금공단(지사) → 시군구 → 시도 → 보건복지부(행복e음) * 공표주기 : 정기(매년, 12월 말 기준)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자치구 내용 ? 노인인구수, 기초연금수급자수, 수급률 등 ○ 용어설명 * 노인인구수 : 주민등록 인구통계의 65세 이상 거주자 및 거주불명자(재외국민 제외) * 수급자수 : 기초연금 수급자수 (각 연도 12월말 기준) * 수급률 : (수급자수/노인인구수) * 100 ○ 기 타 ○ 출 처 : 보건복지부
서울특별시 - 서울시 자치구별 고령인구 (추계인구)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자치구별 고령인구(추계인구) * 통계종류 : 서울시 자치구별 장래 고령인구를 추계하여 제공하는 일반?가공통계 * 작성목적 : 서울시 자치구별 인구추이 분석을 통해, 보건?복지 등 맞춤형 서비스 증진을 위한 공공 및 민간분야의 소지역 장래인구에 대한 수요 증가에 부응하고, 이를 활용한 다양한 주제별 추계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및 자치구 내용 - 서울시 자치구별 장래추계(2017-2037) 고령인구 ○ 용어설명 * 추계인구 : 장래인구추계 시?도편의 결과를 기초로 서울시 자치구 성?연령별 기준인구를 확정하고, 자치구별 인구변동요인(출생, 사망, 국내이동 등)을 분석, 출산력?사망력?국내 이동모형 및 장래 변동수준에 대한 가정을 설정하여 추계한 인구 ○ 기 타 * 본 자료는 2020년 6월 공표한 서울시 자치구별 장래인구추계(2017-2037) 자료 * 인구는 국적에 관계없이 국내에 거주하는 인구임(외국인도 포함) ○ 출 처 : 스마트도시담당관 「서울특별시 자치구별 장래인구추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