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셋 상세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 - 서울시 화재예방 교육을 받은 주민의 비율 통계
○ 통계개요 * 통계명 : 화재예방교육을 받은 주민의 비율 * 통계종류 : 서울시 화재예방교육을 받은 시민 현황을 제공하는 일반ㆍ보고통계 * 작성목적 : 서울시 치안·화재·구급구조 등에 대비한 인력·시설 등의 배치 및 운영현황을 파악하여, 도시안전망 강화 및 대국민서비스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조사체계 : 소방서 → 서울소방재난본부 → 소방방재청, 행정자치부 * 공표주기 : 정기(매년, 12월 기준)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및 자치구 내용 - 서울시 자치구별 화재예방교육을 받은 시민비율 ○ 용어설명 ○ 기 타 * 2004~2005년 소방방재청「주요통계 및 자료」, 2006년부터 행정자치부 내고장알리미(www.laiis.go.kr) 참조 * 화재예방교육을 받은 시민 비율 = {화재예방교육을 받은 시민수÷주민등록인구(내국인)}×100 - 화재예방교육을 받은 시민수는 소방공무원 및 외래강사에 의하여 화재예방 교육을 받은 시민으로 견학, 출장교육 등을 포함함 ○ 출 처 : 소방방재청, 행정자치부 내고장알리미
데이터 정보
  • 데이터 포털
  • 서울특별시
  • META URL
  • 라이선스
  • cc-zero
  • 비용
  • 제공기관
  • 관리부서
  • 데이터
연관 데이터
서울특별시 - 서울시 특정소방대상물당 화재발생건수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특정소방대상물당 화재발생건수 * 통계종류 : 서울시 특정소방대상물당 화재발생건수를 제공하는 일반ㆍ보고통계 * 작성목적 : 서울시 치안ㆍ화재ㆍ구급구조 등에 대비한 인력ㆍ시설 등의 배치 및 운영현황을 파악하여, 도시안전망 강화 및 대국민서비스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조사체계 : 소방서 → 서울소방재난본부 → 소방방재청, 행정자치부 * 공표주기 : 정기(매년, 12월 기준)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및 자치구 내용 - 서울시 자치구별 특정소방대상물 및 화재발생 현황 ○ 용어설명 * 특정소방대상물 : 소방시설을 설치하여야 하는 소방대상물 ○ 기 타 * 특정소방대상물당 화재발생건수 = 특정소방대상물 중 화재발생건수÷특정소방대상물 수 ○ 출 처 : 소방방재청, 행정자치부 내고장알리미
서울특별시 - 서울시 장소별 화재발생 (동별)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장소별 화재발생(동별) * 통계종류 : 서울시 각 동별 화재발생 건수를 발생장소별로 제공하는 일반ㆍ보고통계 * 작성목적 : 화재발생 건수를 주거, 비주거, 임야 등 장소별 정보(동별)를 제공하여 사고 방지 및 대응 등 효과적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조사체계 : 소방서 → 서울소방재난본부 재난대응과 * 공표주기 : 정기(매년, 12월 기준) * 공표범위 : 지역 - 자치구 및 소방서 내용 - 화재발생 장소(주거, 비주거, 임야 등)별 화재발생 건수 등 ○ 용어설명 * 임야화재 : 숲이나 초지, 덤불, 툰드라 등 개간되지 않은 자연상태의 대지에서 발생한 화재. 그러나 숲지대에서 발생한 화재의 경우에는 그 구성 관목의 종류에 관계 없이 모두 임야화재로 봄 ○ 기타 * 국가화재분류체계(2007.1.1)변경. 쓰레기소각, 음식물조리, 빨래삼기, 전기스파크 등 오인처리를 화재로 분류 ○ 출 처 : 서울특별시 소방재난본부
서울특별시 - 서울시 장소별 화재발생 (구별)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장소별 화재발생(구별) * 통계종류 : 서울시 각 구별 화재발생 건수를 발생장소별로 제공하는 일반ㆍ보고통계 * 작성목적 : 화재발생 건수를 주거, 비주거, 임야 등 장소별 정보(구별)를 제공하여 사고 방지 및 대응 등 효과적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함 * 조사체계 : 소방서 → 서울소방재난본부 재난대응과 * 공표주기 : 정기(매년, 12월 기준) * 공표범위 : 지역 - 자치구 및 소방서 내용 - 화재발생 장소(주거, 비주거, 임야 등)별 화재발생 건수 등 ○ 용어설명 * 임야화재 : 숲이나 초지, 덤불, 툰드라 등 개간되지 않은 자연상태의 대지에서 발생한 화재. 그러나 숲지대에서 발생한 화재의 경우에는 그 구성 관목의 종류에 관계 없이 모두 임야화재로 봄 ○ 기 타 * 국가화재분류체계(2007.1.1)변경. 쓰레기소각, 음식물조리, 빨래삼기, 전기스파크 등 오인처리를 화재로 분류 ○ 출 처 : 서울특별시 소방재난본부
서울특별시 - 서울시 방화에 의한 화재발생(소방서별)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방화에 의한 화재발생현황(소방서별) * 통계종류 : 일반, 보고통계 * 작성목적 : 화재발생 현황 및 인적ㆍ물적 피해 현황을 파악하여, 사고 방지 및 대응 등 효과적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조사체계 : 소방서 → 서울소방재난본부 * 공표주기 : 정기(매년)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및 소방서별 내용 - 소방서별 방화에 의한 화재건수 ○ 용어설명 ○ 기 타 ○ 출 처 : 국민안전처 국가화재정보센터, 화재통계
서울특별시 - 서울시 부주의에 의한 화재발생(소방서별)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부주의에 의한 화재발생현황(소방서별) * 통계종류 : 일반, 보고통계 * 작성목적 : 화재발생 현황 및 인적ㆍ물적 피해 현황을 파악하여, 사고 방지 및 대응 등 효과적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조사체계 : 소방서 → 서울소방재난본부 * 공표주기 : 정기(매년)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및 소방서별 내용 - 소방서별 부주의로 인한 화재발생건수 ○ 용어설명 ○ 기 타 ○ 출 처 : 국민안전처 국가화재정보센터, 화재통계
서울특별시 - 서울시 응급처치 교육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응급처리 교육 * 통계종류 : 서울시 응급처리교육을 받은 시민 현황을 제공하는 일반ㆍ보고통계 * 작성목적 : 서울시 치안·화재·구급구조 등에 대비한 인력·시설 등의 배치 및 운영현황을 파악하여, 도시안전망 강화 및 대국민서비스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조사체계 : 소방서 → 서울시 소방재난본부 → 소방방재청, 행정자치부 * 공표주기 : 정기(매년, 12월 기준)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및 자치구 내용 - 서울시 자치구별 응급처리교육 받은 시민비율 ○ 용어설명 ○ 기타 * 2005년 소방방재청「주요통계 및 자료」, 2007년부터 행정자치부 내고장알리미 참조 * 응급처리교육을 받은 시민 비율 = {응급처리교육을 받은 시민수 ÷ 주민등록인구(내국인)} × 100 - 응급처리교육을 받은 시민수는 소방공무원 및 외래강사에 의하여 심폐소생술 등 교육을 받은 시민으로 견학, 출장교육 등을 포함함 ○ 출 처 : 소방방재청, 행정자치부 내고장알리미
서울특별시 - 서울시 장소별 화재발생 (소방서별)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장소별 화재발생(소방서별) * 통계종류 : 소방서별 화재발생 건수를 발생장소별로 제공하는 일반ㆍ보고통계 * 작성목적 : 화재발생 건수를 주거, 비주거, 임야 등 장소별 정보(소방서별)를 제공하여 사고 방지 및 대응 등 효과적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조사체계 : 소방서 → 서울소방재난본부 재난대응과 * 공표주기 : 정기(매년, 12월 기준) * 공표범위 : 지역 - 자치구 및 소방서 내용 - 화재발생 장소(주거, 비주거, 임야 등)별 화재발생 건수 등 ○ 용어설명 * 임야화재 : 숲이나 초지, 덤불, 툰드라 등 개간되지 않은 자연상태의 대지에서 발생한 화재. 그러나 숲지대에서 발생한 화재의 경우에는 그 구성 관목의 종류에 관계 없이 모두 임야화재로 봄 ○ 기 타 * 명칭 변경 : 성동소방서 → 광진소방서 (2008.01.01) * 국가화재분류체계(2007.1.1)변경. 쓰레기소각, 음식물조리, 빨래삼기, 전기스파크 등 오인처리를 화재로 분류 ○ 출 처 : 서울특별시 소방재난본부 ○ 담 당 : 서울특별시 스마트도시담당관
서울특별시 - 서울시 화재발생 현황 (구별)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화재발생 현황(구별) * 통계종류 : 서울시 각 구별 화재발생 현황 및 피해 현황을 제공하는 일반ㆍ보고통계 * 작성목적 : 화재발생 현황 및 인적 물적 피해 현황을 파악하여, 사고 방지 및 대응 등 효과적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조사체계 : 소방서 → 서울소방재난본부 재난대응과 * 공표주기 : 정기(매년) * 공표범위 : 지역 - 자치구 및 소방서 내용 - 화재건수, 화재피해(인명ㆍ재산피해), 구조인원 현황 등 ○ 용어설명 * 화재건수의 결정 : 1건의 화재란 1개의 발화점으로부터 확대된 것으로 발화부터 진화까지를 말하지만, 다음의 경우에는 당해 각 호에 의함 - 동일범이 아닌 각기 다른 사람에 의한 방화, 불장난은 동일 대상물에서 발화했더 라도 각각 별건의 화재로 집계 - 동일 소방대상물의 발화점이 2개소 이상 있는 다음의 화재는 1건의 화재로 함 ㆍ누전점이 동일한 누전에 의한 화재 ㆍ지진, 낙뢰 등 자연현상에 의한 다발화재 * 세대수의 산정 : 세대수의 산정은 거주와 생계를 함께 하고 있는 사람들의 집단 및 하나의 가구를 구성하여 살고 있는 독신자로서 자신의 주거에 사용 되는 건물에 대하여 재산권을 행사할 수 있는 사람을 말함 * 소실면적의 산정 - 건물의 소실면적 산정은 소실 바닥면적으로 산정 - 소손 및 기타 파손의 경우도 위 항의 규정을 준용 ○ 기 타 * 국가화재분류체계(2007.1.1)변경. 쓰레기소각, 음식물조리, 빨래삼기, 전기스파크 등 오인처리를 화재로 분류 * 화재건수의 기타는 자연적 요인과 미상임 * 숫자의 단위미만은 반올림하였으므로, 내용의 계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 ○ 출 처 : 서울특별시 소방재난본부
서울특별시 - 서울시 소방서 1개소당 담당인구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소방서당 담당인구 * 통계종류 : 소방서ㆍ소방공무원 대비 담당인구 수 현황을 제공하는 일반ㆍ보고통계 * 작성목적 : 현재 관할 지역의 소방서와 인구 수를 비교하고, 소방공무원 1인당 담당 인구수 현황을 파악하여 효율적인 소방행정과 사고방지 및 대응 등의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조사체계 : 소방서 → 서울소방재난본부 소방행정과 * 공표주기 : 정기(매년, 12월 기준) * 공표범위 : 지역 - 자치구 및 소방서 내용 - 소방서당 인구 및 소방공무원 1인당 담당인구 수 현황 ○ 용어설명 ○ 기타 * 인구는 주민등록상 인구로 외국인은 제외 * 소방공무원에 본부, 종합방재센터, 소방학교, 청와대소방대, 항공대소속 소방직은 제외 ○ 출 처 : 서울특별시 소방재난본부
서울특별시 - 서울시 화재발생 현황 (동별)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화재발생 현황(동별) * 통계종류 : 서울시 각 동별 화재발생 현황 및 피해 현황을 제공하는 일반ㆍ보고통계 * 작성목적 : 화재발생 현황 및 인적 물적 피해 현황을 파악하여, 사고 방지 및 대응 등 효과적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조사체계 : 소방서 → 서울소방재난본부 재난대응과 * 공표주기 : 정기(매년, 12월 기준) * 공표범위 : 지역 - 자치구 및 소방서 내용 - 화재건수, 화재피해(인명ㆍ재산피해), 구조인원 현황 등 ○ 용어설명 * 화재건수의 결정 : 1건의 화재란 1개의 발화점으로부터 확대된 것으로 발화부터 진화까지를 말하지만, 다음의 경우에는 당해 각 호에 의함 - 동일범이 아닌 각기 다른 사람에 의한 방화, 불장난은 동일 대상물에서 발화했더 라도 각각 별건의 화재로 집계 - 동일 소방대상물의 발화점이 2개소 이상 있는 다음의 화재는 1건의 화재로 함 ㆍ누전점이 동일한 누전에 의한 화재 ㆍ지진, 낙뢰 등 자연현상에 의한 다발화재 * 세대수의 산정 : 세대수의 산정은 거주와 생계를 함께 하고 있는 사람들의 집단 및 하나의 가구를 구성하여 살고 있는 독신자로서 자신의 주거에 사용 되는 건물에 대하여 재산권을 행사할 수 있는 사람을 말함 * 소실면적의 산정 - 건물의 소실면적 산정은 소실 바닥면적으로 산정 - 소손 및 기타 파손의 경우도 위 항의 규정을 준용 ○ 기 타 * 국가화재분류체계(2007.1.1)변경. 쓰레기소각, 음식물조리, 빨래삼기, 전기스파크 등 오인처리를 화재로 분류 * 화재건수의 기타는 자연적 요인과 미상임 ○ 출 처 : 서울특별시 소방재난본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