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셋 상세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 - 장애인 현황(유형별/연령별)
○ 통계개요 * 통계명 : 장애인 현황(유형별/연령별) * 통계종류 : 서울시 장애인 현황을 자치구별로 제공하는 일반ㆍ보고통계 * 근거법령 :「장애인복지법」및 동법 시행규칙에 의거 자치구에 등록된 장애인 현황 * 작성목적 : 장애인의 전반적인 현황을 파악하여 장애인 관련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조사체계 : 해당시설 → 자치구 → 서울특별시 장애인자립지원과 * 공표주기 : 정기(매년)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및 자치구 내용 - 서울시 등록장애인의 연령별, 장애유형별 현황 ○ 용어설명 ○ 기타 ○ 출 처 : 서울특별시 장애인자립지원과
데이터 정보
  • 데이터 포털
  • 서울특별시
  • META URL
  • 라이선스
  • cc-zero
  • 비용
  • 제공기관
  • 관리부서
  • 데이터
연관 데이터
서울특별시 - 서울시 장애인 현황 (연령별/동별)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장애인 현황(연령별/동별) * 통계종류 : 서울시 장애인 현황을 연령별로 제공하는 일반ㆍ보고통계 * 근거법령 :「장애인복지법」및 동법 시행규칙에 의거 자치구에 등록된 장애인 현황 * 작성목적 : 장애인의 전반적인 현황을 파악하여 장애인 관련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조사체계 : 해당시설 → 자치구 → 서울특별시 장애인자립지원과 * 공표주기 : 정기(매년, 12월 기준)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및 자치구, 행정동 내용 - 서울시 등록장애인의 연령별, 구ㆍ동별 현황 ○ 용어설명 ○ 기 타 ○ 출 처 : 서울특별시 장애인자립지원과
서울특별시 - 서울시 장애인 현황 (등급별/연령별)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장애인 현황(등급별/연령별) * 통계종류 : 서울시 장애인 현황을 자치구별로 제공하는 일반ㆍ보고통계 * 근거법령 :「장애인복지법」및 동법 시행규칙에 의거 자치구에 등록된 장애인 현황 * 작성목적 : 장애인의 전반적인 현황을 파악하여 장애인 관련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조사체계 : 해당시설 → 자치구 → 서울특별시 장애인자립지원과 * 공표주기 : 정기(매년, 12월 기준)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및 자치구 내용 - 서울시 등록장애인의 장애등급별ㆍ연령별 현황 ○ 용어설명 ○ 기 타 ○ 출 처 : 서울특별시 장애인자립지원과
서울특별시 서울시 장애인 현황 등급별 동별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장애인복지법 및 동법 시행규칙에 의거 자치구에 등록된 장애인 현황으로 서울특별시 등록장애인의 장애등급별, 구ㆍ동별 현황을 제공합니다.
서울특별시 - 서울시 장애인 현황 (등급별/동별)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장애인 현황(등급별/동별) * 통계종류 : 서울시 장애인 현황을 장애등급별로 제공하는 일반ㆍ보고통계 * 근거법령 :「장애인복지법」및 동법 시행규칙에 의거 자치구에 등록된 장애인 현황 * 작성목적 : 장애인의 전반적인 현황을 파악하여 장애인 관련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조사체계 : 해당시설 → 자치구 → 서울특별시 장애인자립지원과 * 공표주기 : 정기(매년, 12월 기준)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및 자치구, 행정동 내용 - 서울시 등록장애인의 장애등급별(1급-6급), 구ㆍ동별 현황 ○ 용어설명 ○ 기 타 ○ 출 처 : 서울특별시 장애인자립지원과
서울특별시 장애인 현황 (장애유형별)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서울시 통계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장애인 현황(장애유형별)에 대한 통계정보 입니다. 서울시 장애인 현황을 자치구별로 제공하는 일반ㆍ보고통계
서울특별시 장애인 현황 (장애유형별 동별)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서울특별시 장애인 현황을 자치구별로 제공하는 일반ㆍ보고통계입니다. 서울특별시 등록장애인의 장애유형별(지체, 뇌병변, 시각, 청각 등), 자치구ㆍ동별 현황을 제공합니다.
서울특별시 서울시 장애인 현황(연령별 동별)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서울특별시 장애인 현황을 연령별로 제공하는 일반ㆍ보고통계입니다. 서울특별시 등록장애인의 연령별, 구ㆍ동별 현황을 제공합니다.
서울특별시 장애인 생활시설 (입퇴소현황)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서울시 장애인 생활시설 입퇴소현황을 자치구별로 제공하는 일반ㆍ조사통계입니다. 서울시 장애인 생활시설수, 입소자 및 퇴소자 관련 현황 등을 제공합니다.
서울특별시 - 서울시 장애인 편의시설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장애인 편의시설 * 통계종류 : 서울시 장애인 편의시설 현황을 자치구별로 제공하는 일반ㆍ조사통계 * 근거법령 :「장애인ㆍ노인ㆍ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편의증진법)」제11조 * 작성목적 : 장애인 편의시설 실태에 대한 전반적인 현황을 파악하여 장애인 관련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조사체계 : 해당시설 → 자치구 → 서울특별시 장애인자립지원과 * 공표주기 : 정기(매년)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및 자치구 내용 - 서울시 장애인 편의시설(매개시설, 내부시설 등) 설치대상 및 설치 현황 ○ 용어설명 * 장애인 편의시설 - 매개시설 : 주출입구 등 장애인등의 통행이 가능한 접근로, 장애인전용 주차구역, 주출입구 높이차이 제거 - 내부시설 : 출입구(문), 복도, 계단 또는 승강기 - 위생시설 : 화장실, 욕실, 샤워실, 탈의실 - 안내시설 : 점자블록, 유도및 안내설비, 경보 및 피난설비 - 기타시설 : 객실ㆍ침실, 관람석ㆍ열람석, 매표소ㆍ판매기ㆍ음료 * 대상 : 법적으로 해당 편의시설을 설치해야 하는 시설 수 ○ 기 타 * 서울시 편의시설 설치실태 조사결과와 5년마다 조사실시하는 보건복지가족부 조사결과와 차이가 발생되어 설치율이 감소한 사유는, - 조사대상수 차이 : 보건복지가족부는 2006.1.28부터 시행하고 있는 교통약자이동편의 증진법의 여객시설(지하철역사, 버스승강장), 보행시설(도로 및 부속물, 횡단보도, 신호기 등)을 제외하고 법정설치의무시설만을 조사대상으로 하였으나, 서울시는 매년 기존에 조사했던 여객시설 및 보행시설과 법정설치의무시설외 권장시설 포함조사로 조사대상수에 현격한 차이가 있음 - 조사방법 차이 : 보건복지가족부는 체감만족도 제고 등 근거제시를 위해 실태조사내용의 '설치율조사'를 '설치수준'조사로 변경[4점 척도{4(적정)→3(보통)→2(미흡)→1(미설치)} 설치수준 평가]하여 세분화로 조사대상 편의시설수가 격증함 ○ 출 처 : 서울특별시 장애인자립지원과, 보건복지부
서울특별시 - 서울시 장애인 생활시설 (입퇴소현황)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장애인 생활시설(입퇴소현황) * 통계종류 : 서울시 장애인 생활시설 입퇴소현황을 자치구별로 제공하는 일반ㆍ조사통계 * 근거법령 :「장애인복지법」제48조에 규정된 장애인 생활시설 * 작성목적 : 장애인 생활시설의 입소 및 퇴소자 현황을 파악하여 장애인 관련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조사체계 : 해당시설 → 자치구 → 서울특별시 장애인복지정책과 * 공표주기 : 정기(매년, 12월 기준)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및 자치구 내용 - 서울시 장애인 생활시설수, 입소자 및 퇴소자 관련 현황 ○ 용어설명 * 장애인 생활시설 : 장애인이 필요한 기간 생활하면서 재활치료를 받거나 장기간 요양하는 시설 ○ 기 타 * 수용시설이 없는 시설은 제외됨 ○ 출 처 : 서울특별시 장애인복지정책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