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셋 상세
서울특별시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 중증정신질환자 정신건강복지센터 등록관리율(자치구)
서울시 및 자치구 별 추계중증정신질환자 수, 정신건강복지센터 등록 중증정신질환자 수, 추계중증정신질환자 대비 등록 중증정신질환자 수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입니다. 추계중증정신질환자 수는 해당연도 12월 31일 기준 주민등록인구의 1%로 산정하고 있습니다. 제공된 자료의 정신건강복지센터 등록 중증정신질환자 수는 정신병적장애, 분열정동장애, 양극성정동장애, 반복성우울장애로 진단받은 정신건강복지센터 등록 회원 수를 의미합니다.
데이터 정보
연관 데이터
경기도 - 정신질환 상병별 진료실인원 집계현황
공공데이터포털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제공하는 경기도 정신질환 상병별 진료실인원 집계현황(건강보험) 입니다. * 2016년 자료는 2017년 6월 청구분까지 반영 ※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연구 종료로 인하여 집계가 중단된 데이터입니다(향후 연구 재개 시 갱신도 재개될 수 있음).
대구광역시 수성구 정신 장애인등록현황(동별)
공공데이터포털
대구광역시 수성구 2021년 읍면동별 정신장애등록현황에 데이터입니다. 동별 전체 장애 등록 수, 정신장애 등록 수 항목을 제공합니다.
서울특별시 - 서울시 우울증 진단경험률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우울증 진단경험률 * 통계종류 : 보건복지부 '지역사회 건강조사',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서울특별시 '주민등록인구' 등을 활용한 가공통계 * 작성목적: 서울 시민들의 건강문제를 진단하고, 건강격차에 대한 인식과 관심을 증가시켜 건강한 공공보건정책 수립의 기초자료 제공 * 공표주기 : 정기(매년)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및 자치구 내용 - 성별, 생애주기별, 학력별, 직업별, 자치구별 ○ 용어설명 * 비율 : 표본조사 자료의 경우 제공된 가중치를 사용하여 가중치 적용조율로 분석가공 * 3년 이동합계 평균율 : 기대여명, 건강기대여명이나 사망률을 자치구 단위로 분석하는 경우 기준시점 전후 1년을 포함하여 3년을 윈도우로 하는 이동합(moving sum)을 분자와 분모에 각기 적용, 3년 이동합계 평균율 산출 * 표준화율 : 남녀 모두 있는 경우는 성·연령표준화를, 하나의 성만 있는 경우에는 연령표준화 * 신뢰도 : 표본수가 작거나 상대표준오차 큰 경우 통계 값 제외 - 상대표준편차가 20%를 초과하는 경우 해석에 주의하라는 의미로 수치대신 '*'로 표시 - 상대표준편차가 33.3%를 초과하는 경우 수치를 제시하지 않고 'F'로 표시 ○ 기 타 * 가중치적용조율로 분석한 결과임 * 2014년이후 조사항목에서 제외 ○ 출 처 : 보건의료정책과, 서울시 건강격차 모니터링 결과
서울특별시 - 서울시 사회복지시설(정신보건기타) 목록
공공데이터포털
서울시 정신보건기타(정신건강증ㄹ진 센터등)의 시설 정보(시설명, 시설유형, 시설종류, 시설장명)
서울특별시 - 최근 1년 간 우울감, 자살충동 생각 시 극복 방법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승인통계명 : 서울특별시복지실태조사(Seoul Welfare Panel Study) * 통계종류 : 일반ㆍ조사통계(승인201013) * 작성목적 : 서울시민 삶의 질적 수준, 복지 수요, 복지서비스 이용실태 등을 파악하여 서울시 복지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 * 조사대상 : 조사기준 현재 서울시 소재 일반주거시설에 거주하는 모든 가구(※ 기숙시설 및 사회시설 등 제외) * 조사방법 : 가구방문 면접조사 * 표본추출 방법 : 등록센서스 조사구 추출 ? 2018년 등록센서스의 아파트 및 보통조사구만 대상으로 5개권역, 25개 구별 층화 ? 표본조사구(PSU) 추출 : 확률비례계통추출 ? 표본가구(USU)추출 : 계통추출 * 조사내용 : 7개 항목 278개 문항 ? (A.가구일반사항) 이름 등 34개 항목 ? (B.경제활동) 근로능력 정도 등 26개 항목 ? (C.건강과 의료 이용) 건강상태 등 45개 항목 ? (D.식생활) 식생활 형편 등 7개 항목 ? (E.사회적 관계 및 활동) 만남 및 연락빈도 등 26개 항목 ? (F.복지서비스 이용) 기초생활보장급여 신청 경험 등 총 111개 항목 ? (G.복지의식 및 욕구) 생활만족도 등 29개 항목 * 조사체계 : 서울시 ⇔ 서울연구원 ⇔ 용역기관 ⇔ 가구 * 작성주기 : 2년 * 통계간행물명 : 서울시 복지실태조사 * 공표범위 : 서울시 25개 자치구별, 권역별 * 공표방법 : 간행물, 인터넷 등 ○ 기타 * 관련 URL : https://news.seoul.go.kr/welfare/?p=530461
서울특별시 - 서울시 사회복지시설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서울시 통계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사회복지시설에 대한 통계정보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