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셋 상세
환경 빅데이터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갯벌공간정보 하구역 갯벌 인공위성 노출시간 분포도 전남 강진1
* 위성영상 기반 갯벌 노출 시간 분포도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에서 제공하는 과거 갯벌 노출시간 분포도* 데이터 설명 *확장자 : geotiff좌표계 : UTM52NGSD : 4m 갯벌 지질분포, 생물분포, 지형변화, 지형분석, 안전관리 등 기초 자료연구 및 교육용
데이터 정보
연관 데이터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갯벌공간정보 하구역 갯벌 인공위성 노출시간 분포도 전남 강진2
공공데이터포털
* 위성영상 기반 갯벌 노출 시간 분포도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에서 제공하는 과거 갯벌 노출시간 분포도* 데이터 설명 *확장자 : geotiff좌표계 : UTM52NGSD : 4m 갯벌 지질분포, 생물분포, 지형변화, 지형분석, 안전관리 등 기초 자료연구 및 교육용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갯벌공간정보 하구역 갯벌 인공위성 노출시간 분포도 곰소만
공공데이터포털
* 위성영상 기반 갯벌 노출 시간 분포도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에서 제공하는 과거 갯벌 노출시간 분포도* 데이터 설명 *확장자 : geotiff좌표계 : UTM52NGSD : 4m 갯벌 지질분포, 생물분포, 지형변화, 지형분석, 안전관리 등 기초 자료연구 및 교육용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갯벌공간정보 하구역 갯벌 인공위성 노출시간 분포도 황도
공공데이터포털
* 위성영상 기반 갯벌 노출 시간 분포도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에서 제공하는 과거 갯벌 노출시간 분포도* 데이터 설명 *확장자 : geotiff좌표계 : UTM52NGSD : 4m 갯벌 지질분포, 생물분포, 지형변화, 지형분석, 안전관리 등 기초 자료연구 및 교육용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갯벌공간정보 낙동강 하구역 인공위성 사주면적변화도
공공데이터포털
* 인공위성 기반 사주면적변화도 *낙동강 하구역 사주면적 변화도, 2004년 부터 2015년까지 낙동강 하구역 갯벌의 사주 면적 변화를 나타낸 자료* 데이터 설명 *확장자 : geotiff좌표계 : UTM52Nband1 : 2004년06월16일band2 : 2007년08월25일band3 : 2015년07월30일 갯벌 지질분포, 생물분포, 지형변화, 지형분석, 안전관리 등 기초 자료연구 및 교육용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갯벌공간정보 하구역 갯벌 드론 DEM 변화도 곰소만
공공데이터포털
* 무인항공기 기반 갯벌 지형변화도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에서 제공하는 무인항공기 기반 갯벌 지형 변화도* 데이터 설명 *확장자 : geotiff좌표계 : UTM52NGSD : 10cm 갯벌 지질분포, 생물분포, 지형변화, 지형분석, 안전관리 등 기초 자료연구 및 교육용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갯벌공간정보 하구역 갯벌 드론 DEM 변화도 황도
공공데이터포털
* 무인항공기 기반 갯벌 지형변화도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에서 제공하는 무인항공기 기반 갯벌 지형 변화도* 데이터 설명 *확장자 : geotiff좌표계 : UTM52NGSD : 10cm 갯벌 지질분포, 생물분포, 지형변화, 지형분석, 안전관리 등 기초 자료연구 및 교육용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갯벌공간정보 가고림만 갯벌 인공위성 면적변화도
공공데이터포털
천리안해양위성 2호(GOCI-II)의 Green(555 nm)밴드와 NIR(865 nm) 밴드를 가공하여 만든 강화도와 가로림만 일대 갯벌면적 변화 자료이다.자료는 2021년 2월 4일 하루 내에 조위에 따라 변화하는 갯벌 면적에 대해 Stacking하여 나타내었다.-데이터 사용법-본데이터를 사용하려면 상용프로그램인 ArcGIS S/W나 무료지원프로그램인 QGIS을 사용하면됩니다.-데이터 확장자 설명-geotiff : 지리참조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이미지 파일형식의 데이터 입니다.(.tiff) 갯벌면적 분석을 위한 기초데이터갯벌면적과 관련된 인공지능분석기술 적용을 위한 기본데이터하구역 갯벌 퇴적 변화 기초 데이터블루카본 관련 연구 기초 데이터해양생물 양식장 정보 제공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갯벌공간정보 강화도 하구역 갯벌 인공위성 면적변화도
공공데이터포털
천리안해양위성 2호(GOCI-II)의 Green(555 nm)밴드와 NIR(865 nm) 밴드를 가공하여 만든 강화도와 가로림만 일대 갯벌면적 변화 자료이다.자료는 2021년 2월 4일 하루 내에 조위에 따라 변화하는 갯벌 면적에 대해 Stacking하여 나타내었다.-데이터 사용법-본데이터를 사용하려면 상용프로그램인 ArcGIS S/W나 무료지원프로그램인 QGIS을 사용하면됩니다.-데이터 확장자 설명-geotiff : 지리참조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이미지 파일형식의 데이터 입니다.(.tiff) 갯벌면적 분석을 위한 기초데이터갯벌면적과 관련된 인공지능분석기술 적용을 위한 기본데이터하구역 갯벌 퇴적 변화 기초 데이터블루카본 관련 연구 기초 데이터해양생물 양식장 정보 제공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갯벌환경정보 강화도 하구역 갯벌 현장퇴적물 분급도, 왜도, 첨도
공공데이터포털
KIOST(한국해양과학기술원)에서 낙동강 하구 및 강화도 갯벌에서 취득한 현장데이터를 가공하여 만든 갯벌 표층퇴적물의 분급도(Ф), 왜도, 첨도 데이터이며, 데이터 포맷은 CSV이다.-퇴적물 분석용 샘플 현장조사 취득년-* 강화도 하구역: 1997년 8월, 1999년 9월-데이터 사용법-* 본 데이터는 텍스트 파일로 텍스트 에디터나 엑셀에서 매우 쉽게 불러올 수 있습니다.* 전문적 프로그램 활용이 어려운 일반 사용자들을 위해 이미지 파일을 제공합니다.-단위 설명-* 입도의 등급을 표시할 때, 등배수적(Arithmetic) 척도보다는 대수적(Logarithmic) 척도가 유용하기 때문에 ø (파이) 척도를 사용 하였습니다. 변환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여기서, d는 mm로 나타낸 퇴적물 입자의 직경에 해당됩니다.ø = -log2 d-단어 설명-* 분급도(Ф)란 퇴적물의 입도 조성이 얼마나 균일한가를 측정하는 지표로서 통계적인 표준편차의 의미를 갖으며, 양호(Well Sorted), 불량(Poorly Sorted) 등의 7개 등급으로 분류됩니다.* 왜도는 입도 정규분포 곡선의 비대칭성 정도를 측정한 값을 의미하며 0을 기준으로 조립질 퇴적물의 양이 많을 경우에는 양(+, Positive)의 값(오른쪽으로 치우친 세립질 꼬리, tail to the right)을 갖고, 세립질 퇴적물의 양이 많을 경우에는 음(-, Negative)의 값(왼쪽으로 치우친 조립질 꼬리, tail to the left)을 나타냅니다.* 첨도는 분포곡선이 어느 정도 뾰족한가를 측정한 값으로서 정규분포곡선에 비해 중앙으로 집중되어 있으면 Leptokurtic, 넓게 분산된 형태를 보이면 Platykurtic이라 합니다.-데이터 확장자 설명-* CSV: 각 항목마다 쉼표(comma)로 구분하여 기록합니다. CSV 형식의 파일은 텍스트 파일로 보존하여 문서 처리기나 편집기에서 열람 ·편집할 수 있습니다. 수많은 애플리케이션에서 취급하는 범용 형식이기 때문에 표의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에도 데이터 파일을 CSV 형식으로 변환해서 송수신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강화도 하구역의 1997년 8월 자료를 추가하여 데이터 열람자의 이해를 돕고자 하였습니다. 하구역(낙동강, 강화도) 표층퇴적물 입도 분포의 표준편차(분급), 비대칭 상태(왜도), 분포도 정점의 편평 정도(첨도) 파악을 위한 기초 데이터분급도는 퇴적물 입도 분포 범위와 분산 정도를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 왜도는 입도 분포의 조립 혹은 세립 입도쪽으로 치우친 정도를 나타내는 데이터, 첨도는 퇴적물 입도분포에서 성인적인 의미 부여를 위한 데이터, 하구역의 퇴적물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기초데이터, 해양환경/갯벌 퇴적물 특성 분석을 위한 기초 데이터, 지형 및 지질과 관련된 인공지능 비즈니스 적용을 위한 기본 데이터로 활용, 엔지니어링/대학/연구기관/공공기관의 실무 및 교육/연구용 데이터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갯벌환경정보 낙동강 하구역 갯벌 현장퇴적물 분급도, 왜도, 첨도
공공데이터포털
KIOST(한국해양과학기술원)에서 낙동강 하구 및 강화도 갯벌에서 취득한 현장데이터를 가공하여 만든 갯벌 표층퇴적물의 분급도(Ф), 왜도, 첨도 데이터이며, 데이터 포맷은 CSV이다.-퇴적물 분석용 샘플 현장조사 취득년-* 낙동강 하구역: 2015년 8월, 2016년 8월-데이터 사용법-* 본 데이터는 텍스트 파일로 텍스트 에디터나 엑셀에서 매우 쉽게 불러올 수 있습니다.* 전문적 프로그램 활용이 어려운 일반 사용자들을 위해 이미지 파일을 제공합니다.-단위 설명-* 입도의 등급을 표시할 때, 등배수적(Arithmetic) 척도보다는 대수적(Logarithmic) 척도가 유용하기 때문에 ø (파이) 척도를 사용 하였습니다. 변환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여기서, d는 mm로 나타낸 퇴적물 입자의 직경에 해당됩니다.ø = -log2 d-단어 설명-* 분급도(Ф)란 퇴적물의 입도 조성이 얼마나 균일한가를 측정하는 지표로서 통계적인 표준편차의 의미를 갖으며, 양호(Well Sorted), 불량(Poorly Sorted) 등의 7개 등급으로 분류됩니다.* 왜도는 입도 정규분포 곡선의 비대칭성 정도를 측정한 값을 의미하며 0을 기준으로 조립질 퇴적물의 양이 많을 경우에는 양(+, Positive)의 값(오른쪽으로 치우친 세립질 꼬리, tail to the right)을 갖고, 세립질 퇴적물의 양이 많을 경우에는 음(-, Negative)의 값(왼쪽으로 치우친 조립질 꼬리, tail to the left)을 나타냅니다.* 첨도는 분포곡선이 어느 정도 뾰족한가를 측정한 값으로서 정규분포곡선에 비해 중앙으로 집중되어 있으면 Leptokurtic, 넓게 분산된 형태를 보이면 Platykurtic이라 합니다.-데이터 확장자 설명-* CSV: 각 항목마다 쉼표(comma)로 구분하여 기록합니다. CSV 형식의 파일은 텍스트 파일로 보존하여 문서 처리기나 편집기에서 열람 ·편집할 수 있습니다. 수많은 애플리케이션에서 취급하는 범용 형식이기 때문에 표의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에도 데이터 파일을 CSV 형식으로 변환해서 송수신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낙동강 하구역의 2016년 8월 자료를 추가하여 데이터 열람자의 이해를 돕고자 하였습니다. 하구역(낙동강, 강화도) 표층퇴적물 입도 분포의 표준편차(분급), 비대칭 상태(왜도), 분포도 정점의 편평 정도(첨도) 파악을 위한 기초 데이터분급도는 퇴적물 입도 분포 범위와 분산 정도를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왜도는 입도 분포의 조립 혹은 세립 입도쪽으로 치우친 정도를 나타내는 데이터,첨도는 퇴적물 입도분포에서 성인적인 의미 부여를 위한 데이터하구역의 퇴적물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기초데이터해양환경/갯벌 퇴적물 특성 분석을 위한 기초 데이터지형 및 지질과 관련된 인공지능 비즈니스 적용을 위한 기본 데이터로 활용엔지니어링/대학/연구기관/공공기관의 실무 및 교육/연구용 데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