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셋 상세
공공데이터포털
한국자산관리공사 금융업권별 인수채권액
한국자산관리공사가 인수한 부실채권을 금융업권별(은행, 저축은행, 상호금융업 등)로 구분 기재하여 제공하고 있습니다.
데이터 정보
연관 데이터
한국자산관리공사 채권유형별 인수채권액
공공데이터포털
한국자산관리공사 부실채권 인수채권액을 채권유형별(일반채권, 특별채권,PF채권 등)로 구분 기재하여 제공하고 있습니다.
한국자산관리공사 국민행복기금 구상채권 보유건수
공공데이터포털
국민행복기금의 자산관리자로서 한국자산관리공사가 위탁관리하고 있는 구상채권 계좌수를 위임사별로 분류한 데이터입니다.
한국장학재단 채무감면 분할상환약정 현황
공공데이터포털
학자금 대출 장기연체 채무자 대상 신용회복지원을 위해 한국장학재단이 운영 중인 채무감면 분할상환약정 현황 데이터입니다. 관련 정보는 한국장학재단 누리집(https://www.kosaf.go.kr/ko/tuition.do?pg=tuition07_03)을 참고바랍니다.
한국자산관리공사 하우스푸어 월별 지원현황
공공데이터포털
하우스푸어(3개월 이상 연체된 주택담보대출)에 대한 월별 채무조정액 및 약정건수 등 정보입니다.특히 2020년 3월 2일부터 제1금융권과 "주택담보대출 연체 서민을 위한 채무조정 및 주택 매각 후 임차 거주 지원 협약"을 체결해 기존의 채무조정 지원을 강화하였습니다.
㈜한국금융솔루션 - 국내채권형ETF의 위험조정평가지표 데이터
공공데이터포털
국내채권형ETF_위험조정지표( 베타, 결정계수, 트레이너지수, 샤프지수 등등), 설명은 "국내주식_위험조정지표" 참조
한국장학재단 신용회복지원 제도
공공데이터포털
학자금 대출 장기연체 채무자 대상으로 한국장학재단이 운영 중인 신용회복지원 제도 현황입니다.관련 상세 정보는 한국장학재단 누리집을 참고 바랍니다.(https://www.kosaf.go.kr/ko/tuition.do?pg=tuition07_01)
한국자산관리공사 학자금대출 채무조정 현황
공공데이터포털
학자금대출 채무조정 현황(인수차주수, 채무원금액, 약정체결액, 1인평균 채무액)을 제공합니다14년9월 국민행복기금이 한국장학재단으로 부터 인수하여 채무조정 지원한 현황입니다.
서울특별시 - 서울시 금융기관 예금, 대출 및 어음 통계
공공데이터포털
○ 통계개요 * 통계명 : 금융기관 예금, 대출 및 어음 * 통계종류 : 금융기관에서 이루어진 금융거래 현황을 제공하는 지정ㆍ가공통계 * 근거법령 :「한국은행법」제86조에 따라 수집ㆍ제공되는 금융거래 현황 * 작성목적 : 통화당국과 예금취급기관 등의 대차대조표 등을 파악ㆍ분석하여, 통화신용 정책 및 관련금융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조사체계 : 금융결제원, 은행및신용카드사, 전자금융업자→한국은행 * 공표주기 : 정기 * 공표범위 : 지역 - 서울시 내용 - 서울시 월별 금융기관 예금(저축성예금, 요구불예금), 대출, 어음부도율 등 ○ 용어설명 * 예금 : 은행 등 금융기관이 불특정다수인으로부터 그 보관과 운용을 위탁받은 자금. 예금은 계약의 내용에 따라 저축성예금과 요구불예금으로 분류 * 저축성예금 : 예금납입 및 인출방법에 대해 특정 조건이 있는 기한부 예금으로 주로 장기저축이나 이자수입을 목적으로 하는 예금을 이르는 말 ** 정기예금 : 예금주가 일정 기간 환급(還給)을 요구하지 않을 것을 약정하고 일정 금액을 은행에 예치, 은행은 이에 대하여 일정 이율의 이자를 지급할 것을 약속하고 증서 또는 통장을 발행·교부하는 예금 ** 정기적금 : 일정 금액을 계약하고, 일정기간 매월 일정액을 불입하여 기간 만료후에 계약금액을 환불받는 예금제도. 푼돈으로 목돈을 마련하는 목적에 이용됨 ** 저축예금 :개인이 저축 및 이자를 늘려 나가기 위하여 하는 예금. 정기 예금의 형태를 취하는 경우가 많으며, 보통 예금보다 이율이 높고 수시로 인출이 가능 * 요구불예금 : 예금자가 언제든지 찾아 쓸 수 있는 예금을 통틀어 이르는 말 * 어음교환 : 일정지역의 은행 등 금융기관이 매일 일정한 장소, 일정한 시각에 모여 각기 보유하고 있는 어음류를 교환함으로써 대차(貸借)를 집합적으로 상계(相計) 하고 그 잔액만을 결제하는 방법이나 제도 ○ 기 타 * 예금 취급점포 소재지 기준(2017. 2월이후 인터넷전문은행은 서울지역으로 분류) * 예금총계는 외화예금 및 동업자 예금 제외 * 자유저축예금이 포함(1996. 9월부터) * 부도율은 부도금액 기준임(전자결제조정전) * 2018년부터 어음교환 및 부도액 지역별 생산 중단 ○ 출 처 :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