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셋 상세
산림 빅데이터
BA - 2020년 충청전라 일부지역 밀원수종별 분포도
■ 상품 설명 및 특징 - 지역별 밀원수종에 따른 개화시기 및 화밀량 정보 - 제공되는 데이터는 네모파트너즈의 공간분석 기술로 정제 가공한 데이터 - 제공되는 데이터는 시선아이티에서 제공하는 수종별 임상도 데이터를 기준으로 개발 수행 [활용 데이터] 1) 수종별 임상도 (시선아이티) 2) 밀원수종 정보 - 수종명, 개화기간, 분비량 (네모파트너즈BA) ■ 기간 및 범위 - 공간적 범위 : 충청북도 충주시(43130000000), 충청남도 공주시(44150000000), 전라남도 장흥군(4680000000) - 좌표체계 : EPSG5179('+proj=tmerc +lat_0=38 +lon_0=127.5 +k=0.9996 +x_0=1000000 +y_0=2000000 +ellps=GRS80 +units=m +no_defs') ■ 컬럼(속성) 정보 -오브젝트ID -입목존재코드 -임종코드 -임상코드 -수종그룹코드 1) 39 : 밤나무 2) 46 : 벚나무 3) 49 : 아까시나무 -경급코드 -영급코드 -밀도코드 -개화시기 -개화기간 -총면적(단위 : ha) -화밀량(단위 : kg) -geometry ■ 데이터 키워드 - 밀원수종, 화밀량, 개화시기 [원본 데이터](https://www.bigdata-forest.kr/product/NMO006001)는 로그인 후 구매하여 다운로드 하십시오.
데이터 정보
연관 데이터
BA - 2020년 전국 떫은감 재배적지 주변 용수로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 상품 설명 및 특징 - 떫은감 재배적지 주변 용수로 현황 (주변 환경 분석) - 제공되는 데이터는 네모파트너즈의 공간분석 기술로 정제 가공한 데이터 - 제공되는 데이터는 우림엔알에서 제공하는 임산물 재배적지 데이터를 기준으로 개발 수행 [활용 데이터] 1) 떫은감 재배적지 (우림엔알) 2) 용수로 (국가공간정보포털) ■ 기간 및 범위 - 공간적 범위 : 전국 - 좌표체계 : EPSG5181("+proj=tmerc +lat_0=38 +lon_0=127 +k=1 +x_0=200000 +y_0=500000 +ellps=GRS80 +towgs84=0,0,0,0,0,0,0 +units=m +no_defs") ■ 컬럼(속성) 정보 -시군구코드 -오브젝트ID -geometry -반경200미터개수 -반경500미터개수 -반경1000미터개수 -최단거리 : 1500m내에 최단거리 * 재배적지 기준 1.5km 내에 용수로가 없는 경우 속성값은 결측값으로 대체 ■ 데이터 키워드 - 떫은감재배적지, 임산물, 귀촌, 산촌, 재배, 관개용수, 환경분석 [원본 데이터](https://www.bigdata-forest.kr/product/NMO005701)는 로그인 후 구매하여 다운로드 하십시오.
BA - 2020년 전국 떫은감 재배지역 주변 도로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 상품 설명 및 특징 - 떫은감 재배지역 주변 도로 현황 (주변 환경 분석) - 제공되는 데이터는 네모파트너즈의 공간분석 기술로 정제 가공한 데이터 - 제공되는 데이터는 우림엔알에서 제공하는 임산물 재배적지 데이터를 기준으로 개발 수행 [활용 데이터] 1) 떫은감 재배적지 (우림엔알) 2) 도로구간 (국가공간정보포털) ■ 기간 및 범위 - 공간적 범위 : 전국 - 좌표체계 : EPSG5181("+proj=tmerc +lat_0=38 +lon_0=127 +k=1 +x_0=200000 +y_0=500000 +ellps=GRS80 +towgs84=0,0,0,0,0,0,0 +units=m +no_defs") ■ 컬럼(속성) 정보 -시군구코드 -오브젝트ID -geometry -최단거리 : 1500m내에 최단거리 * 재배적지 기준 1.5km 내에 도로가 없는 경우 속성값은 결측값으로 대체 ■ 데이터 키워드 - 떫은감재배적지, 임산물, 귀촌, 산촌, 재배, 도로, 개발, 환경분석 [원본 데이터](https://www.bigdata-forest.kr/product/NMO005901)는 로그인 후 구매하여 다운로드 하십시오.
BA - 2019년 성/연령/지역 등 이용자 분류별 표고버섯 관심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 상품 설명 및 특징 - 표고버섯의 월별 관심도 추이와 주로 관심 인구 유형(성별, 연령별, 시도, 시군구)에 대한 정보 제공 [활용 데이터]1) 표고버섯 관심 패널 데이터 - 출처 : 마켓링크 - 제공되는 데이터는 네모파트너즈의 데이터 전처리 기술로 정제 가공한 데이터 - 제공되는 데이터는 정보획득일자를 기준으로 관심 인구 유형별 관심도를 카운드(개수)한 정보를 제공 ■ 기간 및 범위 - 제공되는 데이터는 2019년 3월부터 2019년 11월까지의 관심도 정보를 기준으로 관심도를 산출 ■ 컬럼(속성) 정보 - 정보획득년도 : 관심 정보를 획득한 년도 - 정보획득년월 : 관심 정보를 획득한 월 - 이용자성별코드 : 해당 키워드에 관심을 가진 이용자 성별 (F/M) - 연령그룹코드 : 키워드에 관심을 가진 이용자 연령대(2 : 20대, 3 : 30대, 4 : 40대, 5 : 50대) - 이용자지역시도명 : 키워드에 관심을 가진 이용자의 시도명 - 이용자지역구명 : 키워드에 관심을 가진 이용자의 시군구명 - 추출단어명 : 키워드명 - 관심도개수 : 월별 키워드에 관심을 가진 관심도 개수 (단위: 개) ■ 데이터 키워드 - 산림자원, 버즈량, 임산물, 표고버섯, 관심인구 ■ 활용 예제 - 본 데이터 상품을 활용하여 사용자는 다음과 같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1) 표고버섯 관심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분석의 근거 자료로 활용 가능2) 표고버섯 키워드에 대한 버즈량 추이 [원본 데이터](https://www.bigdata-forest.kr/product/NMO002901)는 로그인 후 구매하여 다운로드 하십시오.
시선아이티 - 수종별임상도(나무종류지도) 도엽
공공데이터포털
■ 상품 설명 및 특징 - 공간 범위 : 도엽별 제공 (1:5,000) (2020년 기준 데이터 제공) - 특징 : 1:5,000 도엽별 추출/가공(1개 도엽 기준 51개의 수종별로 추출가공) - 도엽(17,669개) X 수종(51개) - 주요수종 : 소나무, 잣나무, 리기다 소나무 등 총 51개의 수종으로 구분됨 - 파일형식 : 도엽번호(8자리).shp(shp, shx, dbf, prj) - 제공파일형식 : zip파일 - 파일타입 : polygon - 좌표계 : 단일평면직각좌표계 UTM-K (100000, 200000), EPSG:5179 * 우리나라 국토의 산림이 어떻게 분포하고 있는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산림지도로 임종·임상· 수종·경급·영급·수관밀도 등 다양한 속성정보를 포함 * 지형도, 토양도, 지질도 등과 더불어 국가기관에서 전국적 규모로 제작하는 주요 주제도 * 디지털 항공사진(국토지리정보원제공)을 판독하고 현지대조 후 임상 구획 및 속성을 확정하여 제작됨 * 수종별 임상도(1:5,000)에 대한 조회는 산림빅데이터플랫폼 시각화포털을 통해 확인가능 (기타침엽수, 소나무, 낙엽송, 기타활엽수, 상수리나무, 신갈나무 등 주요수종 6종만 확인가능) [원본 데이터](https://www.bigdata-forest.kr/product/FRT001104)는 로그인 후 구매하여 다운로드 하십시오.
BA - 2020년 전국 떫은감 재배적지 주변 호수/저수지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 상품 설명 및 특징 - 떫은감 재배적지 주변 호수/저수지 현황 (주변 환경 분석) - 제공되는 데이터는 네모파트너즈의 공간분석 기술로 정제 가공한 데이터 - 제공되는 데이터는 우림엔알에서 제공하는 임산물 재배적지 데이터를 기준으로 개발 수행 [활용 데이터] 1) 떫은감 재배적지 (우림엔알) 2) 호수/저수지 (국가공간정보포털) ■ 기간 및 범위 - 공간적 범위 : 전국 - 좌표체계 : EPSG5181("+proj=tmerc +lat_0=38 +lon_0=127 +k=1 +x_0=200000 +y_0=500000 +ellps=GRS80 +towgs84=0,0,0,0,0,0,0 +units=m +no_defs") ■ 컬럼(속성) 정보 -시군구코드 -오브젝트ID -geometry -반경200미터개수 -반경500미터개수 -반경1000미터개수 -최단거리 : 1500m내에 최단거리 * 재배적지 기준 1.5km 내에 호수/저수지가 없는 경우 속성값은 결측값으로 대체 ■ 데이터 키워드 - 떫은감재배적지, 임산물, 귀촌, 산촌, 재배, 호수, 저수지, 관개용수, 환경분석 [원본 데이터](https://www.bigdata-forest.kr/product/NMO005801)는 로그인 후 구매하여 다운로드 하십시오.
시선아이티 - 수종별임상도(나무종류지도) 전국
공공데이터포털
■ 상품 설명 및 특징 - 공간 범위 : 전국 (2020년 기준 데이터 제공) - 특징1 : 전국데이터 51개 파일로 추출 (대용량으로 인한 파일분할 - 2GB) - 특징2 : 임상도 수종이 51개의 수종으로 되어 있어 전국 수종별 임상도 파일개수가 51개로 추출/가공됨 - 주요수종 : 소나무, 잣나무, 리기다 소나무 등 총 51개의 수종으로 구분됨 - 파일형식 : ALL.shp(shp, shx, dbf, prj) - 제공파일형식 : zip파일 - 파일타입 : polygon - 좌표계 : 단일평면직각좌표계 UTM-K (100000, 200000), EPSG:5179 * 우리나라 국토의 산림이 어떻게 분포하고 있는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산림지도로 임종·임상· 수종·경급·영급·수관밀도 등 다양한 속성정보를 포함 * 지형도, 토양도, 지질도 등과 더불어 국가기관에서 전국적 규모로 제작하는 주요 주제도 * 디지털 항공사진(국토지리정보원제공)을 판독하고 현지대조 후 임상 구획 및 속성을 확정하여 제작됨 * 수종별 임상도(1:5,000)에 대한 조회는 산림빅데이터플랫폼 시각화포털을 통해 확인가능 (기타침엽수, 소나무, 낙엽송, 기타활엽수, 상수리나무, 신갈나무 등 주요수종 6종만 확인가능) [원본 데이터](https://www.bigdata-forest.kr/product/FRT001101)는 로그인 후 구매하여 다운로드 하십시오.
BA - 2018년 월별 산림 집중호우지수
공공데이터포털
■ 상품 설명 및 특징 - 산악기상정보를 활용하여 년월별 특정 지점에 대한 집중호우지수 산출 - 제공되는 데이터는 네모파트너즈의 데이터전처리 기술로 정제 가공한 데이터 - 제공되는 데이터는 강우량 정보를 가공하여 지니계수 계산법을 적용하여 강우의 불평등지수 생성 ■ 기간 및 범위 - 제공되는 데이터는 2018년도를 기준으로함 - 제공되는 데이터의 기간적 범위 : 월단위 ■ 컬럼(속성) 정보 - 집계년도 : 기준년도(YYYY) - 집계기준년월 : 기준월(MM) - 지점번호 : 관측지점번호 - 관측산명 : 관측지점명 - 지니지수 : 강우의 불평등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 (0~1사이의 수치로 표시) * 강우완전평등 : 0 * 강우완전불평등 : 1 - 강우집계일 : 강우일수 합계(기준월 기준) - 강우확률 : 월별 강우확률 - 평균전도식강우량 : 전도식 강우량 평균(기준월 기준) - 등록일자 : 데이터 등록일자■ 데이터 키워드 - 산림, 집중호우, 강우량, 지니지수 ■ 활용 예제 - 본 데이터 상품을 활용하여 사용자는 다음과 같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1) 산악기상정보를 활용한 년월별 집중호우지수 정보 [원본 데이터](https://www.bigdata-forest.kr/product/NMO000201)는 로그인 후 구매하여 다운로드 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