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센스 - 식단 조절을 하는 사람의 케톤, 혈당, 체중 데이터
공공데이터포털
식단 조절을 하고 있는 사람들로부터 수집한 케톤, 혈당, 체중 측정 데이터 측정 값은 블루투스 연동 혹은 수기 입력 방법으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집 [특징] - 일별/시간별 케톤, 혈당, 체중 변화 파악 가능 [제공 항목] - 생년(나이), 측정 시간, 혈당 값, 케톤 값, 측정 시 식사 여부, 체중 값 [활용 예시] - 케톤 값과 혈당 값의 상관관계 분석 - 케톤 값과 혈당 값 변화에 따른 체중 변화 파악 가능 [데이터 상품성] - 식단 조절을 하고 있는 사람들의 케톤 혈당 체중 데이터 - 케톤과 혈당 그리고 체중의 상관 관계 분석 가능 - 일상생활에서 얻어진 케톤 혈당 체중 측정 데이터 [데이터 속성 설명] DATA_ID: 데이터 아이디 USER_DV_NO: 사용자 구분 번호 BRTH_YR: 출생 연도 MSRM_DT: 측정 일시 ISN_MSRM_ERA_CD: 아이센스 측정 시기 코드 - B0: 공복 - B2: 아침식사 후 2시간 - L0: 점심식사 전 - L2: 점심식사 후 2시간 - D0: 저녁식사 전 - D2: 저녁식사 후 2시간 - S0: 취침전 - N0: 기타 BLSG_NMVL: 혈당 수치(mg/dL) BLSG_INPT_WAY_NM: 혈당 입력 방식 명 - manual: 수동입력 - meter: 혈당측정계 데이터 (혈당측정계에서 받은 데이터는 수정 불가) - health, shealth: 핸드폰의 내장된 기본 건강 어플과 연동된 데이터 KTN_NMVL: 케톤 값(mmol/L) KTN_INPT_WAY_NM: 케톤 입력 방식 명 - manual: 수동입력 - meter: 혈당측정계 데이터 (혈당측정계에서 받은 데이터는 수정 불가) - health, shealth: 핸드폰의 내장된 기본 건강 어플과 연동된 데이터 WT: 체중 값(kg) WT_INPT_WAY_NM: 체중 입력 방식 명 - manual: 수동입력 - meter: 혈당측정계 데이터 (혈당측정계에서 받은 데이터는 수정 불가) - health, shealth: 핸드폰의 내장된 기본 건강 어플과 연동된 데이터
케이플러스 - 외식 소비패턴 데이터(음식 블로그 데이터)
공공데이터포털
※ 본 데이터는 매 월 단위로 작성 및 배포됩니다. ■ 데이터 개요 ※ 음식 블로그 데이터 POS 데이터 중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요식업 POS 가맹점에 대해 이용객의 소비 패턴을 파악하기 위해 맛집 블로그 내용에 대한 수집을 시행하였습니다. ※ 메뉴 트렌드 데이터 음식 블로그 데이터 내에서 표준 품목(메뉴)에 대한 언급 횟수를 수치화한 데이터입니다. 한 게시글 내에서 언급되는 횟수를 모두 고려할 경우 짧은 글에 비해 긴 글에 대한 편향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언급 횟수는 한 게시글 당 한 번으로 제한하였습니다. ■ 데이터 형태 ※ 음식 블로그 데이터 블로그에 대한 주소와 게시일, 제목, 본문 내용 등이 제공됩니다.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우려가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숫자 및 영문 텍스트 데이터는 모두 제거하였습니다. ※ 메뉴 트렌드 데이터 메뉴 트렌드를 보고자 하는 기준년월과 메뉴 코드, 메뉴명, 총 게시글 수, 게시글 당 평균 언급 수 등이 제공됩니다. ■ 데이터 산출 과정 1. 블로그 데이터 수집을 위한 크롤러 작성 2. 맛집 블로그 내용 수집 3. 텍스트 데이터 전처리 및 개인정보 제거 4. 블로그 데이터에 대한 게시글 언급 수 계산 ■ 데이터 컬럼 설명 BLOG_URL(블로그URL) : 블로그 URL SRCH_WRD_NM(검색단어명) : 블로그 게시글을 찾기 위한 검색어 PSTG_YMD(게시일자) : 블로그 게시물이 게시된 날짜 SRCH_CN(검색내용) : 검색 결과에 출력되는 짧은 문장 NTT_TTL(게시물제목) : 블로그 게시글 제목 BLOG_CN(블로그내용) : 블로그 게시글 본문
케이플러스 - 외식 소비패턴 데이터(메뉴 트렌드 데이터)
공공데이터포털
※ 본 데이터는 매 월 단위로 작성 및 배포됩니다. ■ 데이터 개요 ※ 음식 블로그 데이터 POS 데이터 중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요식업 POS 가맹점에 대해 이용객의 소비 패턴을 파악하기 위해 맛집 블로그 내용에 대한 수집을 시행하였습니다. ※ 메뉴 트렌드 데이터 음식 블로그 데이터 내에서 표준 품목(메뉴)에 대한 언급 횟수를 수치화한 데이터입니다. 한 게시글 내에서 언급되는 횟수를 모두 고려할 경우 짧은 글에 비해 긴 글에 대한 편향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언급 횟수는 한 게시글 당 한 번으로 제한하였습니다. ■ 데이터 형태 ※ 음식 블로그 데이터 블로그에 대한 주소와 게시일, 제목, 본문 내용 등이 제공됩니다.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우려가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숫자 및 영문 텍스트 데이터는 모두 제거하였습니다. ※ 메뉴 트렌드 데이터 메뉴 트렌드를 보고자 하는 기준년월과 메뉴 코드, 메뉴명, 총 게시글 수, 게시글 당 평균 언급 수 등이 제공됩니다. ■ 데이터 산출 과정 1. 블로그 데이터 수집을 위한 크롤러 작성 2. 맛집 블로그 내용 수집 3. 텍스트 데이터 전처리 및 개인정보 제거 4. 블로그 데이터에 대한 게시글 언급 수 계산 ■ 데이터 컬럼 설명 BASE_YM(기준연월) : POS 가맹점이 영업을 실시한 년월 MENU_CODE(메뉴코드) : 메뉴명에 대한 분류코드 MENU_NM(메뉴명) : POS 기기에서 판매된 상품을 표준화된 메뉴로 분류 NTT_CNT(게시물수) : 기준년월에 수집한 맛집 관련 블로그 게시글 개수 NTT_PER_AVRG_MENTN_CNT(게시물당평균언급수) : 한 게시글에 메뉴가 언급된 평균 수 (NTT_PER_AVRG_MENTN_CNT 항목은 메뉴에 대한 평균 언급 수인데, 한 게시글 당 한 개의 메뉴 갯수를 체크하며 블로그 게시글 하나에 여러 개의 메뉴가 언급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맛있는 라멘 집에 가서 라멘 먹은 후 스시로 입가심했다" 라는 게시글이 존재한다고 가정했을 때 해당 게시글은 라멘을 1회, 스시를 1회 언급한 것으로 계산합니다.)
케이플러스 - 외식 소비패턴 데이터(메뉴 트렌드 데이터)
공공데이터포털
※ 본 데이터는 매 월 단위로 작성 및 배포됩니다. ■ 데이터 개요 ※ 음식 블로그 데이터 POS 데이터 중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요식업 POS 가맹점에 대해 이용객의 소비 패턴을 파악하기 위해 맛집 블로그 내용에 대한 수집을 시행하였습니다. ※ 메뉴 트렌드 데이터 음식 블로그 데이터 내에서 표준 품목(메뉴)에 대한 언급 횟수를 수치화한 데이터입니다. 한 게시글 내에서 언급되는 횟수를 모두 고려할 경우 짧은 글에 비해 긴 글에 대한 편향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언급 횟수는 한 게시글 당 한 번으로 제한하였습니다. ■ 데이터 형태 ※ 음식 블로그 데이터 블로그에 대한 주소와 게시일, 제목, 본문 내용 등이 제공됩니다.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우려가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숫자 및 영문 텍스트 데이터는 모두 제거하였습니다. ※ 메뉴 트렌드 데이터 메뉴 트렌드를 보고자 하는 기준년월과 메뉴 코드, 메뉴명, 총 게시글 수, 게시글 당 평균 언급 수 등이 제공됩니다. ■ 데이터 산출 과정 1. 블로그 데이터 수집을 위한 크롤러 작성 2. 맛집 블로그 내용 수집 3. 텍스트 데이터 전처리 및 개인정보 제거 4. 블로그 데이터에 대한 게시글 언급 수 계산 ■ 데이터 컬럼 설명 BASE_YM(기준연월) : POS 가맹점이 영업을 실시한 년월 MENU_CODE(메뉴코드) : 메뉴명에 대한 분류코드 MENU_NM(메뉴명) : POS 기기에서 판매된 상품을 표준화된 메뉴로 분류 NTT_CNT(게시물수) : 기준년월에 수집한 맛집 관련 블로그 게시글 개수 NTT_PER_AVRG_MENTN_CNT(게시물당평균언급수) : 한 게시글에 메뉴가 언급된 평균 수 (NTT_PER_AVRG_MENTN_CNT 항목은 메뉴에 대한 평균 언급 수인데, 한 게시글 당 한 개의 메뉴 갯수를 체크하며 블로그 게시글 하나에 여러 개의 메뉴가 언급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맛있는 라멘 집에 가서 라멘 먹은 후 스시로 입가심했다" 라는 게시글이 존재한다고 가정했을 때 해당 게시글은 라멘을 1회, 스시를 1회 언급한 것으로 계산합니다.)
케이플러스 - 외식 소비패턴 데이터(메뉴 트렌드 데이터)
공공데이터포털
※ 본 데이터는 매 월 단위로 작성 및 배포됩니다. ■ 데이터 개요 ※ 음식 블로그 데이터 POS 데이터 중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요식업 POS 가맹점에 대해 이용객의 소비 패턴을 파악하기 위해 맛집 블로그 내용에 대한 수집을 시행하였습니다. ※ 메뉴 트렌드 데이터 음식 블로그 데이터 내에서 표준 품목(메뉴)에 대한 언급 횟수를 수치화한 데이터입니다. 한 게시글 내에서 언급되는 횟수를 모두 고려할 경우 짧은 글에 비해 긴 글에 대한 편향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언급 횟수는 한 게시글 당 한 번으로 제한하였습니다. ■ 데이터 형태 ※ 음식 블로그 데이터 블로그에 대한 주소와 게시일, 제목, 본문 내용 등이 제공됩니다.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우려가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숫자 및 영문 텍스트 데이터는 모두 제거하였습니다. ※ 메뉴 트렌드 데이터 메뉴 트렌드를 보고자 하는 기준년월과 메뉴 코드, 메뉴명, 총 게시글 수, 게시글 당 평균 언급 수 등이 제공됩니다. ■ 데이터 산출 과정 1. 블로그 데이터 수집을 위한 크롤러 작성 2. 맛집 블로그 내용 수집 3. 텍스트 데이터 전처리 및 개인정보 제거 4. 블로그 데이터에 대한 게시글 언급 수 계산 ■ 데이터 컬럼 설명 BASE_YM(기준연월) : POS 가맹점이 영업을 실시한 년월 MENU_CODE(메뉴코드) : 메뉴명에 대한 분류코드 MENU_NM(메뉴명) : POS 기기에서 판매된 상품을 표준화된 메뉴로 분류 NTT_CNT(게시물수) : 기준년월에 수집한 맛집 관련 블로그 게시글 개수 NTT_PER_AVRG_MENTN_CNT(게시물당평균언급수) : 한 게시글에 메뉴가 언급된 평균 수 (NTT_PER_AVRG_MENTN_CNT 항목은 메뉴에 대한 평균 언급 수인데, 한 게시글 당 한 개의 메뉴 갯수를 체크하며 블로그 게시글 하나에 여러 개의 메뉴가 언급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맛있는 라멘 집에 가서 라멘 먹은 후 스시로 입가심했다" 라는 게시글이 존재한다고 가정했을 때 해당 게시글은 라멘을 1회, 스시를 1회 언급한 것으로 계산합니다.)